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슈망 Apr 16. 2024

손님이 왕? 프랑스는 노동자가 왕이다.

프랑스인이 불친절한 이유

프랑스인이 불친하다는 편견은 사실일까.

프랑스에 사는 입장에서 보자면 어떤 면에서는 사실이고 어떤 면에서는 사실이 아니다.  


먼저 ‘불친절’이란 단어는 보통 내가 손님일 때 느끼는 감정이다. ‘고객님’이 왕인 한국에서는 프랑스에서 이해되지 않는 일을 겪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줄이 너무 긴데 언제 끝나나 너무 고개를 빼들고 급한 모습을 보이면 주인에게 혼날 수 있다.


또한 가장 대표적으로 카페나 식당에서 직원의 허락 없이 먼저 가서 자리를 차지하고 앉으면 직원의 불친절함을 맛볼 수 있다. (프랑스는 아무리 바빠도 직원이 안내해 줄 때까지 입구에서 기다려야 한다. )


이 모든 것은 고객이 왕이라는 사고방식으로는 이해가 되지 않는다. 프랑스에서는 일하는 사람의 공간과 질서를 존중해줘야 한다는 상식이 가장 먼저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노동자와 고객이 상호존중하는 관계에서만 서로 친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프랑스에서는 가게나 식당 직원들에게 처음에 ‘봉쥬 Bonjour’ (안녕하세요)라고 인사하는 것과 나에게 물건이나 음식을 가져다주는 직원에게  ‘메흐씨 Merci” (감사합니다)라고 인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예절이다.


식당에서 주문하기 위해 식당직원이 나를 쳐다볼 때까지 눈치 보며 기다리는 것은 프랑스인들도 마찬가지다. (프랑스 친구들과 함께 식사할 때마다 느끼는 점이다.)  그들의 일하는 공간의 시스템을 결정하는 ‘왕’은 직원들이다.


한 번은 슈퍼에서 장을 보고 나왔는데 뭔가 추가결제가 된 느낌이 들어 영수증을 다시 보니 내가 사지 않은 제품의 내역이 있었다. 아무래도 새로 온 캐셔 아르바이트생이 실수한 것 같았다. 안에 들어가서 확인하고 내가 사지 않은 물건이 결재되었다는 것을 확인했다. 새로 온 아르바이트생을 가르치는 선배 격의 직원이 일을 대신 처리해 줬는데 그는 내게 미안하다는 말을 하지 않았다. 본인이 잘못한 것이 아니라 아르바이트생이 잘못한 것이고. 아르바이트생은 새로왔기 때문에 당연하다는 약간 그런 느낌이었다.


딱히 그 선배직원도 아르바이트생을 그렇게 혼내지도 않았고, 그 아르바이트생은 나에게 엄청 미안해하지도 않았다. 프랑스에 처음 왔던 시절 같으면 화가 났겠지만 이젠 '돈을 돌려받았으니 됐다.' 이제 뭐 그런 마음이었다. 이제 고객에게 그렇게까지 스트레스를 많이 안 받아서 프랑스 아르바이트생들은 한국아르바이트생들보단 편할까 그런 생각도 들었다.


공무원의 세계는 더 하다. 우리나라 같은 민원인의 갑질은 상상할 수 없다. 공무원들은 행정처리할 때 매우 칼같이 잘라버린다. 물론 나 같은 외국인 입장에서는 행정처리를 할 때마다 열받는 일이 한두 번이 아니다. 하지만 한국의 공무원에 대한, 혹은 서비스업 직원들에 대한 너무 심한 갑질문화를 보면 어쨌든 한쪽이 불편하다더라도 그 일로 정신적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아 사람이 죽지는 않는 여기가 나은 건가라는 생각도 든다.


노동을 한다는 것은 존중받아야 하는 일이다. ‘갑질’은 내가 그 사람보다 사회적, 재물의 권력이 우위에 있다는 심리에서 나오는 것이다. 각자 일하는 노동현장을 존중해 준다면 조금은 불편할 수 있어도 서로의  인간다움을 존중해 줄 수 있는 사회가 만들어지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작가의 이전글 프랑스 의료시스템의 단점과 장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