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young long Mar 15. 2023

생의 주기를 읽는 중입니다.

생로병사

  새싹이 돋고 꽃이 핀다. 얼마 전에 계곡의 얼음이 녹아내리는 걸 멍하니 지켜보고 있었다. 봄과 겨울이 맞닿아 있는 걸 우리는 안다. 봄과 겨울처럼 생과 사는 한 몸과 같이 맞닿아 있다. 해가 뜨면 일을 하고 일을 하는 중에는 호떡집에 불이라도 난 것처럼 정신없이 움직인다. 그런 정신없는 시간들을 지나고 나면 지는  해와 함께 귀가를 한다. 마치 하루가 한 생의 축소판처럼 여겨진다. 오십 중반, 무엇이 보이는가?


  사람이면 보험도 들고 연금도 들고 본인들의 노후를 위해 엄청 많이 신경을 쓰면서 산다. 무슨 배짱인지 나는 한 번도 노후를 걱정하거나 준비하지 않았다. 나만 그러느냐 그 방면으로 나보다 더한 사람이 내 남편이다. 내 남편은 신앙처럼 교주처럼 생각하는 부모님이 1번이겠지만 나의 1번은 자식이다. 어떤면으로든 자식들을 위해 나는 기꺼이 밀알이 되겠노라가 나의 삶의 방향이다. 그렇다고 시도 때도 없이 퍼주거나 허용적이라는 말은 아니다. 종합적으로 훌륭한 사람이 될 수 있는 소양을 기르는데 제대로 역할을 하고 싶은 게 나의 생각이다.


  자식을 위하는 길 중에 한 가지가 때가 되면 놓아주는 것이 또 부모의 중요한 역할이다. 캥거루족이 되길 원치 않는다. 스스로 땅을 씩씩하게 뛰어다니길 원한다. 자식을 독립된 사람이 되도록 놓아주는 시간들을 보내다 보면 서서히 내가 보이기 시작한다. 나를 보는 건 그야말로 찰나다. 눈을 똑바로 뜨면 노령의 부모님이 보인다. 전화벨 소리에 깜짝깜짝 놀라곤 한다. 노쇄한 모습에 애처롭기도 하지만 부모님의 모습이 미래의 나의 모습과 오버랩되면서 막을 수 없는 세월을 어떻게 이겨낼까를 생각한다.


  준비 없는 노후는 나에 대해 초연한 게 아니라 자식들에게 짐이 되는 일이다. 뭘 그렇게 본인을 챙기느냐고 생각할 일이 아니다. 어느 때가 되면 사실 정정당당하게 본인을 챙길 필요도 있다. 생각이 있는 성인이 되고부터 매번 본인보다 주변을 걱정하고 챙기는 게 일상이었다. 그래서 자식이 독립할 때가 되면 누구를 위해서가 아니라 그냥 순수하게 본인을 위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생각은 굴뚝같아도 늘 본인에게 인색했던 습관을 벗어나지 못한다. 그래서 자식의 짐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본인의 노후를 준비해야 된다고 생각할 때 비로소 움직인다.  


  첫 번째로 챙길 건 경제적으로 스스로를 건사할 수 있어야 한다. 적게라도 받기보다 줄 수 있는 사람으로 살아야 한다. 죽는 그날까지. 쌀독에서 인심 난다는 속담이 있다. 모든 인간관계가 그러하듯이 기본은 갖추고 있어야 사람도리도 가능해질 거라고 생각한다. 자식은 또 그 자식을 부양해야 되는데 부모까지 부양하도록 하는 건 좀 가혹하지 않겠는가 하는 생각이다. 그래서 부모로서 최소한의 쌀독은 채워놓고 살아야 된다는 생각이다.


  둘째는 무엇이든 꾸준하게 할 일이 있어야 된다고 생각한다. 쉽지 않다. 하지만 꼭 필요하다. 육신의 쌀독만 채우면 능사가 아니다. 정신적 정서적 쌀독도 제대로 채워야 비로소 사람다워진다.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젊을수록 시간이 더디 가고 늙을수록 시간이 빨리 간다고 생각하는 건 같은 시간에 하는 일의 양 때문에 그렇게 느낀다고 생각한다. 간혹 늙어서도 많은 일을 하거나 바쁜 시간을 보낼 경우 '하루가 너무 길었다.'이렇게 느끼곤 하는 걸 보면  무슨 일이든 꾸준히 하면서 사는 건 세월을 붙잡는 최선의 방법이 아닌가 한다.


  굳이 세 번째라고 이름 붙이기도 모호한 괘변 같은 생각을 쏟아내어 본다. 스스로의 마음을 무장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특히 '외로움'에 대한 심오한 성찰이 필요하며 그 외로움을 신체의 일부처럼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목숨은 어느 순간에 끊어지는 것 같지만 우리는 서서히 죽음을 향해 간다. 세포가 하나 둘 역할을 멈추기 시작하면 그때부터 우리는 의식하지는 못하지만 죽어가는 거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몸이 곤궁해지면 마음도 점점 황폐해질 거라는 추측을 할 수 있다. 그러다 보면 빈자리를 외로움이 점령할 거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동거인이 될 수밖에 없는 외로움을 나만 겪는 게 아니라 우리 모두는 다 겪어야 하고 이겨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이는 연습이 필요하다. 연금이나 보험보다 더 필요한 일일지도 모른다.


  국어책을 읽다가 재미있는 책도 읽게 되고 제법 살만해지면 아무 글자도 보이지 않는 노후까지 읽어내야 한다. 내 나이도 잘 모르게 되는 나이가 되면 내 나이는 그냥 두고 마음먹고 주변인들의 나이를 헤아려보며 깜짝 놀라곤 한다. 나이만 나이를 먹은 게 아니다. 사실 몸도 나이를 먹어서 놀라면서 태연한 척한다. 순리를 받아들이고 준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자기가 바라는 자기를 완성해갈 필요가 있다. 멋지게 붉은 노을을 그리는 화가처럼.

작가의 이전글 어찌 이리 나약한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