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라고 부르고 강사라고 씁니다
대학 졸업 후 대기업에 입사해 화려하고 치열한 20대를 보냈다. 약 1년간의 장거리연애 끝에 주말부부와 워킹맘을 동시에 경험했다. 이후 퇴사를 하고 남편과 살림을 합쳤다. 둘째를 임신하면서 출산과 육아로 경단녀가 됐다. 주말부부, 워킹맘, 경단녀.. 3관왕 아무나 하는 건 아니라는 자부심이 들기도 한다.
두 돌까지는 내 품에서 키워야겠다는 소신과 욕심으로 전업주부를 자처했다. 자존감에 대해서 진지하게 고민했던 시기였고, 내면을 많이 들여다보는 시기였다. 즉, 정신적으로 많이 힘들었던 시기였다. 둘째를 어린이집에 보내면서 다시 일을 해보기로 했다. 그러나 두 아이를 키우면서 마음 편히 할 수 있는 일은 거의 없었다. 정규직은 출퇴근이 부담스러웠고, 일반 기업은 자신이 없었다. 대기업 출신 이력은 쓸모가 없었다.
나에게 남은 카드는 교원자격증. 전공을 활용해 교육청이나 과학관에서 주관하는 프로그램 강사로 시작했다. 아이들 등하원에 거의 지장이 없었고, 전공을 살려 수업을 하는 일도 보람 있었다. 몇 년 지나자 학생들 앞에서 수업하는 일에 제법 자신이 생겼고, 우연한 기회에 중학교 시간강사로 근무하게 됐다.
다른 교사들과 같은 교사실에서 근무하고, 한 학기 또는 일 년 동안 한 과목을 맡아 내가 준비한 대로 수업하는 일은 근사했다. 같은 공간에 계시는 선생님들도 임용에 합격한 정교사인지 기간제 교사인지는 쉽게 구별되지 않았다. 계약이 끝나고 시작되는 시기가 아니면 그분들도 크게 개의치 않는 것 같았다.
일주일에 이틀 출근하기로 했다. 시간강사의 편의를 위해 시간표를 이틀에 모두 모아서 짜준 학교의 배려 덕에 워킹맘과 전업주부를 요일별로 병행했다. 일어나서 단장하고 출근할 곳이 있어서 좋았다. 내 책상, 내 컴퓨터, 내 시간표가 있는 학교로 가는 길이 즐거웠다. 같은 교무실에 계시는 선생님들은, 내가 강사라고 더 배려주신 건지 특별한 접점이 없어서 친절할 수밖에 없었는지 모르겠지만 편하게 대해주셨다. 시간 맞춰 따뜻하고 영양소가 골고루 갖춰진 점심 급식이 있어서 든든했다. 준비한 대로 아이들이 수업을 잘 따라오면 뿌듯했다.
아주 가끔씩 내 직위를 써야 할 때가 있었다. 나는 교사일까 강사일까. 계약서에 강사라고 명시되어 있다. 교육청에서 정한 기준에 따르면 나는 강사다. 내가 받는 수당도 오직 수업에 대한 시간당 강사료가 전부다. 나는 강사다. 그래도 모두 나를 선생님으로 부른다. 아이들도 선생님도.
가끔 혼란스러웠다. 물론 대학에서 시간강사도 교수님이라고 부른다. 교수들 중에도 시간강사가 제법 많을 거다. 중고등학교에서도 전일제강사, 시간강사가 제법 있다. 겉으로는 교사인지 강사인지 잘 모른다. 어쩌면 나만 신경 쓰고 있었던 걸까.
누구의 사정 때문이든 수업을 못하게 되면 수당을 받지 못하는, 본 교무실에서 하나씩 받아가라는 간식도 누군가 직접 전달해주지 않으면 손 내밀어 달라고 하기 조심스러운, 왜 선생님은 축제날 안보였냐고 묻는 학생들에게 뭐라고 답해야 할지 조금은 고민하는, 나는 프리랜서다.
대기업 정규직에서 바로 프리랜서가 됐다면 더 많은 부정적 감정을 느꼈을지도 모른다. 프리랜서로 지내면서 난생 처음 느끼는 감정을 경험할 때가 종종 있었다. 그렇지만 퇴사 후 몇 년간 전업주부로 지내는 동안, 일 그 자체가 중요해졌다. 생산성 있는 사람, 사회 구성원으로서 보람을 느끼며 일을 하는 사람, 집 밖에서도 내 가치를 인정받고 내 몫을 해내는 사람이 되고 싶었고 다행히 그 꿈을 이뤘다. 그래서 프리랜서라는 이름도 반갑고, 내 인생에서 의미 있는 부분을 차지하게 됐다.
"내가 비정규직으로 일해보니까 말이야..."
근속 중인 입사동기를 만나면, 임용고시에 합격해 정교사로 근무 중인 대학동기를 만나면, 그들이 모르는 세상을 이야기한다. 나 또한 프리랜서가 되지 않았다면 몰랐을 세상이다. 관심 가지지 않았을 거고, 궁금해하지 않았을 거다.
프리랜서가 되면서 인생을 좀 더 깨우친 것 같다. 좀 더 어른이 된 느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