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달린 절벽에서 손을 뗄 수 있는가? 거리의 철학자라고 하는 강신주 박사의 책이다. 강신주 박사는 학부 때 공학을 전공했으나 석박사를 동양철학으로 취득한 특이한 이력이 있는 사람이다. 해마다 책을 출간하면서 철학을 통한 대중과의 소통을 지향하는 사람으로 강연활동도 활발하게 하고 있다. 이 책은 무문관(無門關, gateless gate)이라는 선불교의 선문답을 작가 나름대로 해석한 책으로 불교를 철학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책은 선택하는 게 아니라 선택되는 것이라는 말이 있다. 내가 읽겠다고 골라도 안 읽힐 수 있고, 우연히 잡은 책이 잘 읽힐 수도 있는 것이 책이기 때문이다. 책은 어쩌면 사람보다 더 드라마틱한 인연으로 골라지는 것이 아닐까? 그래서 읽게 되는 것 같다. 이제 매달린 절벽에서 손을 뗄 수 있을 것 같다.
글을 쓰는 이유는 사람마다 이유가 있을 것이다. 일단 작가는 평소 관심을 가지고 있던 분야여서 쓰게 됐다고 한다. 한 주에 주제 하나씩 1년에 걸쳐 48개 주제를 나름대로 검토했다고 한다. 하루아침에 쓴 글이 아니라 평소 생각했던 내용을 밀도있게 담아내려 노력했다는 말일 것이다.
파스칼이 ‘생각하는 갈대’라고 표현한 것은 인간이 많이 휘둘리는 존재라는 것을 말한다. 생각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널뛰기도 한다. 이처럼 한없이 자유로울 것 같은 생각은 오히려 우리의 발목을 붙잡는 장애물이 된다. 생각 때문에 하지 못하는 것이 얼마나 많은지 생각해 보면 이를 알 수 있다.
우리는 생각 때문에 본질을 보지 못한다. 석가에게 대중들이 법을 청하자 그는 아무 말없이 꽃을 들어 보였다는 일화가 있다. 석가의 이런 행동에 대해 다들 의아하게 생각하던 중 제자 중에 가섭이 유일하게 미소를 지었다. 일견 뜬금없고 맥락도 없다. 작가는 다른 표현을 사용하긴 했지만 이 일화가 생각에 사로잡힌 보통 사람들의 습성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라고 한다. 대중들은 석가의 위상을 생각하고 석가가 왜 꽃을 들었을까를 생각했지만, 가섭은 꽃의 아름다움을 봤기 때문에 미소를 지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 권위와 모양에 흔들리는 우리의 모습을 인식하게 하는 말이다.
작가는 관념이 아니라 실체를 보라고 한다. 실체를 보기 위해서는 자기의 눈으로 보아야 하고, 그러려면 용기를 가져야 한다고 한다. 그리고 빨간 색 불을 피우지 못했다고 해서 좌절할 게 아니라 나의 색을 지닌 불을 피우며 살면 된다고 강조한다. 장미는 장미로, 개나리는 개나리로 만개할 따름인 것이다. 결론적으로 작가는 마음을 잘 잡아야 셀체를 볼 수 있고, 그래야 진정한 어른으로 거듭날 수 있다고 말한다.
매달려 있는 곳은 절벽이 아니다. 절벽이 아닌데 절벽이라고 생각할 뿐이다. 한 발자국 더 나아가면, 손을 놓으면 자유가 있음을 모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