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성수행 Jul 21. 2019

불교가 가진 문화콘텐츠 Chips. I

불교 콘텐츠도 맛있다 - 법구



[佛불]

佛具 불구/법구 Dharma instrument

‘법구’는 불교의식 등에 쓰이는 모든 도구를 가리키며, ‘불구’라고도 한다.











I-1


I-1-1 四物 사물


四物 사물 @봉은사




法鼓 법고 Dharma Drum


법을 전하는 북으로, 쇠가죽으로 만들며 짐승을 비롯한 중생을 깨우치기 위해 울린다.


雲版 운판 Cloud Shaped Gong


청동이나 철로 만든 넓은 판으로, 공중을 날아다니는 중생과 허공을 떠도는 영혼을 제도하기 위해서 친다.


木魚 목어 Wooden Fish


나무를 물고기 모양으로 깎아 배 부분을 파낸 것으로, 두 개의 나무 막대기로 두드려서 소리를 내며, 물에 사는 모든 중생들을 제도하기 위해서이다.


梵鐘 범종 Temple Bell


범종은 조석예불과 사찰의 큰 행사 때 사용한다. 아침에는 28번, 저녁에는 33번을 친다. 천상과 지옥의 중생을 제도하기 위함이다.




I-1-2 木鐸 목탁 Wooden Gong


의식을 집전할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법구로, 대중을 모을 때 신호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I-1-3 竹扉 죽비 Bamboo Clapper


선방 등에서 수행자를 지도할 때 사용한다. 중국 선원에서 처음 사용했으며, 통대나무나 그 뿌리로 만든다. 선방에서 입선과 방선, 그리고 공양할 때 신호하는 도구로 쓴다.





I-1-4 搖鈴 요령 Temle Bell


법요식 등을 할 때 사용된다. 본래 밀교 계통에서 사용했는데, 북방계통의 사찰로 전해져 지금은 모든 의식 때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법구로 자리잡았다.





I-1-5 念珠 염주 Prayer Beads


부처님께 기도하거나 절을 하면서 참회할 때 그 수를 세기 위해서 사용한다. 보통 108개로 되어 있다. 본래 부처님의 깨달음을 상징하는 보리수 열매로 만들었는데, 지역에 따라 독특한 나무나 그 밖의 재료로도 만든다.





I-1-6 坐服 좌복 Cushion


앉을 때나 좌선을 할 때 자리에 깔고 앉는 방석. 수좌의(隨坐衣)ㆍ좌와구(坐臥具)ㆍ좌구(坐具)라고도 한다. 좌식생활을 주로 해온 우리 민족의 일상생활에 있어서 좌복은 편안한 앉을 자리로 추위와 더위 등을 고려하게 되었다. 특히 선방에 있어서 좌복은 예로부터 죽비와 함께 이우(二友)라 불리는 것처럼 필수였고, 교당의 법회 등에 있어서도 널리 애용된다.





I-1-7 袈裟 가사 Monastic Robe

                      

가사는 인도의 불교복식인 가사야(kasaya)에서 나온 말로 법의어의 하나이다. 가사는 괴색(壞色), 부정색(不正色), 탁색(濁色), 탁염색(濁染色), 염색(染色) 등으로 번역된다.


장삼위에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이 밑으로 걸쳐있는데, 종파와 법계에 따라 그 색과 형태의 엄격한 규정이 있다. 색에 대한 명칭으로 가사, 염의, 염색의, 부정색의 괴색의, 탁적의, 황갈색의 등이 있고, 용도에 따라서는 삼의(三衣), 승의(僧衣), 비구의라 하며, 공덕의 측면을 강조하여서 법복, 법의, 불의, 공덕의라고도 한다.  

                               


가사는 원래 의복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출가 수행자의 제복의 색깔을 의미한다. 산스크리스트어 카사야, 카라사예(kasaya) 팔리어 kasava, 티베트명 snigs-nia라고 부르는데 ‘선명하지 않다’,‘곱지 않다(濁)’의 뜻으로 괴색(壞色), 부정색(不正色), 적색(赤色), 염색(染色) 등으로 번역된다. 범어 카사야(kasaya)를 중국에서는 가사(袈裟)라 음역하였고 우리나라에서도 가사라 부른다.



가사의 종류에는 용도에 따라 삼의(三衣)가 있다. 삼의는 대의, 7조의, 5조의로 구분할 수 있다. 가사를 공덕에 의한 분류로 불교의 계율에 따라 만든 의복이라는 의미로 여법의(如法衣)라는 의미, 불법을 구하는 수행자가 입는 옷이라는 의미로 법복(法服), 법의(法衣), 불의(佛衣), 해탈을 구하는 사람이 입는 옷으로 해탈복(解脫服)의 이름이 있다. 그리고 이 옷을 입으면 번뇌를 없앤다는 무구의(無垢衣), 최고로 행복한 의복이라는 의미로 길상복 (吉祥服) 그리고 조(條)와 제(提)에 의해서 밭 모양의 형태로 나타내어 보시와 공덕을 연결시킨다는 의미의 복전의(福田衣)라 부른다. 또 다르게는 소재에 의한 분류로 더럽고 버려진 옷감으로 만든 옷의 의미로 분소의(糞掃衣), 이와 상대적으로 비단 바탕에 금색실로 모양을 짠 직물로 만든 금란(金襴)가사, 가사에 직접 수를 놓았기에 수(繡)가사 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I-2 


I-2-1 鉢盂 발우 Wooden Bowls


 승려들이 공양(식사)할 때 사용하는 식기를 발우(鉢盂)라고 한다. 부처님 당시부터 출가 수행자들이 공양할 때 쓰는 밥그릇이다. 보통은 바리때라는 말을 쓰는데 이는 식기를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파트라(patra)’에서 유래한 것이다. 발우는 네 가지로 이루어지며 큰 것부터 보면 밥그릇, 국그릇, 물그릇, 찬그릇이다. 가장 큰 밥그릇에 나머지가 크기대로 차곡차곡 들어가도록 만들어져 있다. 공양 때 위치를 보면 밥그릇이 왼쪽, 국그릇이 오른쪽이며, 각각의 뒤에 찬그릇과 물그릇이 놓인다. 네 가지를 정사각형이 되게 놓으며 수저 한 벌, 발우 받침대, 발우 수건, 수저집이 하나의 발우 세트가 된다.



승려들의 밥그릇을 발우라 하고, 승려가 식사하는 것을 공양이라고 한다.










I-3




I-3-1 塔 탑 Pagoda


산스크리트어로 ‘스투파’(Stupa), 팔리어로 ‘투파’(Thupa)라 한다. 부처님께서 입멸하신 뒤 여덟 날 국왕이 부처님 사리를 여덟 등분하여 각기 탑을 세우고 봉안했다는 경전 기록이 있는데, 이것이 불교 탑의 기원이다. 탑은 부처님의 진신사리 또는 부처님의 말씀을 보존하고 있는 곳으로 불자들의 숭배 대상이다.


탑은 초기불교에서는 가장 중요한 신앙의 대상이었으나, 사리의 수가 한계가 있어 탑을 세우기 어려워지자, 탑 대신 불상을 조성하여 신앙의 대상으로 삼게 되었다. 3층, 5층, 9층, 13층 탑 등으로 분류된다.




전탑 (중국)

벽돌로 쌓은 전탑은 탑을 건립하기에 앞서 우선적으로 인공을 가하여 벽돌을 생산하여야 했기 때문에, 수고가 많이 들고 작업의 과정에 어려움이 많아 전국적으로 파급되지 못하고 지역에 따라 일부만 건축되었다. (분황사 전탑)


석탑 (한국)

양질의 좋은 화강암이 많이 채취되는 우리나라의 자연 조건 하에서는 1천 여기의 탑파 가운데 대부분이 석탑이고 그 모양도 다양하며 다채로운 수법을 선보이고 있어 한국의 탑파를 이해하고 탑의 역사를 연구하려면 곧 석탑에 대한 것을 아는 것이 빠른 길이다.


석탑 @조계사



목탑 (일본)

목탑은 재료가 목재이므로 불에 타기 쉬워서, 사실상 여러 차례의 방화로 모두 타버리고 고대에 만들어졌던 우리나라 목탑의 실물은 없다. 신라시대 있었던 흔적으로는 경주 황룡사 9층 목탑지와 사천왕사 목탑지, 망덕사 목탑지 등이 남아 있으며, 백제 시대로는 익산 미륵사지 중앙의 목탑지를 비롯하여 부여 군수리 사지의 목탑지와 금강사 목탑지를 볼 수 있다.





1-3-2 건축물


一柱門 일주문 One Pillar Gate


사찰에 들어갈 때 처음 지나는 문으로 기둥이 한 줄로 늘어서 있다고 붙여진 이름. 세속의 번뇌로 흩어진 마음을 사찰에 들어섬으로써 하나로 모아 진리의 세계로 들어간다는 상징적 의미, 즉 일심, 사바에서 열반으로 향하는 첫째 관문인 것.


一柱門 일주문 @진관사




天王門 천왕문


불법을 수호하는 외호신인 사천왕을 모신 건물. 사천왕은 고대 인도 종교에서 숭앙했던 신들의 왕이었으나, 석가모니 부처님께 귀의하여 불법을 수호하는 신이 되었다고 한다. 사천왕들은 수미산 중턱의 동서남북 네 방향을 지키면서 불법을 수호한다고 한다. 일주문을 지나 불이문과의 중간 위치에 천왕문이 있는 이유는 일주문을 통과하면서 한 마음이 된 구도자의 앞을 가로막는 숱한 역경들을 이겨낼 수 있도록 보호해 주고 격려해 주는 것이 四天王 사천왕이다.


天王門 천왕문 @봉은사





東方 持國天王 동방 지국천왕


오행 중 청색靑(木)을 띠고 있으며, 선한 이에게 복을, 악한 자에게는 벌을 주는 역할. 양 손으로 비파를 들고 연주하는 모습.


東方 持國天王 동방 지국천왕 @조계사




南方 增長天王 남방 증장천왕


오행 중 적색紅(火)을 띠고 있으며, 만물을 소생시키는 덕을 베푸는 역할로서, 손에 칼을 쥐고 있다.


南方 增長天王 남방 증장천왕 @조계사




西方 廣目天王 서방 광목천왕


오행 중 백색白(金)을 띠고 있으며, 악인에게 고통을 줘 구도심을 일으키게 하며, 손에는 각각 용과 여의주를 쥐고 있다.


西方 廣目天王 서방 광목천왕 @조계사




北方 多聞天王 북방 다문천왕


오행 중 흑색墨(水)을 띠고 있으며, 어둠 속을 방황하는 중생을 구제하는 역할로서 손에는 보탑을 들고 있다.


北方 多聞天王 북방 다문천왕 @조계사




不二門 불이문


‘불이’의 경지를 상징하는 문. 부처님 세계로 들어가는 마지막 관문으로서 해탈의 경지를 상징하는 문.





樓 누


대웅전 전면에 지은 누각. 대법회 때 설법을 하는 곳.




窯舍 요사 Monk's Living Quarters


스님들의 일상생활과 관련되는 건물들의 통칭 (기능에 따라 심검당, 적묵당, 해행당, 수선당, 선열당 / 큰 스님 총림(방장스님), 총림 아랫단계의 절(조실스님))











殿 전: 불보살이 모셔진 법당

閣 각: 그 외 법당(산신각, 칠성각, 독성각, 영각 등)




大雄殿 대웅전 Buddha Hall


석가모니 부처님을 주불로 모신 법당. 협시보살로 좌우에 지혜를 상징하는 문수보살과 우측에 행원이 원대함을 상징하는 보현보살을 모시기도 한다.


대웅전 @조계사




大寂光殿 대적광전


연화장세계의 교주이신 비로자나불을 본존으로 모신 건물로, 화엄종 계통 사찰의 본전으로 건립, 화엄경에 근거하여 '비로전’ 혹은 ‘화엄전’이라고도 한다. 비로자나불 좌우에 아미타불, 석가불을 모시는 것이 상례이다..




極樂殿 극락전


아미타불은 미래의 덕을 칭송하고 보살이 닦은 온갖 행을 닦아 중생을 제도하려는 원을 세운다. 아미타불은 관음보살과 세지보살을 협시한다..이러한 전각을 '무량수전’ 또는 ‘미타전’이라고도 한다. (ex.부석사 무량수전)




藥師殿 약사전


약사여래는 현재 중생의 재난이나 질병을 없애고 고통을 구제하는 부처님으로 일광보살, 월광보살을 협시로 왼손에 약병을 오른손은 시무외인을 하고 있다.




彌勒殿 미륵전


석가 다음에 출연하실 부처님인 미륵불을 본존으로 봉안한 전각이다. 또는 새로운 불국토 용화세계를 상징한다고 해서 ‘용화전’이라고도 한다. 미륵불은 현재 오고 계시기 때문에 그를 기념하기 위하여 대부분 옥외에 조성한다.


彌勒殿 미륵전 @봉은사




觀音殿 관음전


관음보살을 모신 전각이며 모든 곳에 두루하여 원융통을 갖추어 중생의 고뇌를 소멸해주시기 때문에 '원통전’이라고도 한다.




八相殿 팔상전


석가모니 부처님의 일생을 여덟 가지로 나누어 그린 그림을 봉안한 법당




羅漢殿 나한전


석가모니불의 제자로 아라한과를 취득한 성인, 즉 나한을 모신 법당 (16나한, 500나한)




地藏殿/冥府殿 지장전/명부전


지장보살을 본존으로 시왕을 모시고 있다. 시왕은 모든 중생들의 죄의 경중을 심판한다.




大藏殿 대장전


대장경을 보관한 법당. (용문사 대장전, 금산사 대장전)




寂滅寶宮 적멸보궁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법당이다. 진신사리는 법신불로 부처님의 진신이 상주하고 있음을 의미해서 불상을 모시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5대보궁: 통도사 상원사, 법흥사, 정암사, 봉정암)




영각, 삼성각, 범종각, 누각




戒壇 계단


수계의식을 집행하는 장소. 수계자를 중앙에 앉히고 삼사칠증이 둘러앉아서 계법을 전수하는 곳 (통도사 금강계단, 금산사 방등계단)




浮屠 부도 Pudo


고승의 사리를 모신 묘탑을 부처님 사리탑과 구분하여 부르는 말. 건립 위치도 탑이 사찰의 중심 법당 앞에 세워지는데 부도는 사찰 경내 변두리에 세워지는 것이 다르다.




石燈 석등 Stone Lantern


등불을 밝히는 시설물로 연등의 의미를 상징. 후대 법당 앞, 탑 등에 설치하는 가람배치상의 기본 건축물.


石燈 석등




작가의 이전글 불교가 가진 문화콘텐츠 Chips. I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