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자'에 관하여
진입장벽.
투자자는 기업이 가진 진입장벽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워런버핏은 이를 ‘경제적 해자(Moat, 垓子)’라고 표현했다. 해자란 적의 침입을 방어하기 위해 성 주위를 판 경계를 말한다. 해자가 없는 성이 적에게 쉽게 점령당하는 것처럼, 해자가 없는 기업은 경쟁자에게 쉽게 점령당한다. 즉, 해자가 있는 기업은 스스로의 경쟁력을 보호하며 살아남을 수 있고,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기업이 될 수 있다. 그렇다면 기업이 가진 진입장벽(해자)란 무엇이 있을까?
첫째, 규모의 경제.
사업의 규모가 클수록 원가 우위를 누릴 수 있다. 즉, 신규 진입한 경쟁자가 아무리 서비스와 제품을 따라 하더라도, 규모의 경제를 이룬 기업이라면 자신들의 서비스와 제품을 싸게 팔 수 있으므로 승리할 수 있다.
둘째, 자본력.
막대한 자본이 소요되는 사업이라면 경쟁자들이 쉽게 들어올 수 없다. 예를 들어 커피 산업보다 제약 산업이 더 많은 예산을 필요로 한다. 신약 개발을 위한 막대한 연구개발 예산이 들기 때문이다.
셋째, 차별된 제품
핸드폰 산업에 신규 진입한 기업은 애플과 삼성보다 차별화된 제품을 만들어야 고객을 확보할 수 있다. 차별화된 제품을 만들려면 막대한 예산, 시간과 경험이 필요하며, 이미 명확한 승리자가 있는 시장에서 고객을 뺏어오려면 광고에 막대한 투자를 해야 한다.
넷째, 유통채널.
기존 업체들이 유통채널을 장악하고 있다면, 신규 진입 기업은 제품을 고객에게 보여줄 수도, 팔 수도 없다. 예를 들어 신규로 아이스크림 사업에 진출한 기업은 편의점과 슈퍼마켓을 장악한 기존 아이스크림 기업을 이기기 어렵다.
다섯째, 기타 원가 우위
독점 지식, 특허, 입지, 원자재 확보 면에서 신규 진입 기업은 기존 업체보다 매우 불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규 진입 기업은 이미 수많은 과학자와 논문을 보유한 AI 기업, 이미 수많은 특허를 가진 가전 기업, 이미 수많은 금광을 보유한 금광 회사를 이기기 어렵다.
여섯째, 정부 규제
정부가 신규 진입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유틸리티나 통신 산업 등은 정부의 진입 규제로 인해 일반 기업이 진출할 수 없고, 나라 간의 패권 전쟁 중에는 정부가 상대국 기업에 높은 관세를 부여해 신규 진출을 막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