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떡상 유튜브 Sep 04. 2023

마스크걸, 한국 사회의 문제점을 어디까지 담았을까

[챗GPT가 말하는 마스크걸]


넷플릭스 마스크걸은 지난 8월 30일 기준으로 TV 비영어 부문 1위를 기록하며 한국 콘텐츠의 위상을 다시 한번 세계에 확인시켜줬다. (웹툰으로도 이미 재밌게 봐서 개봉일자 손꼽아 기다림)


마스크걸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1인 다역이 아닌 3인 1역이라는 부분. 세 명이 한 명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그만큼 주인공 김모미의 인물적 색채가 다양하다는 뜻이다. 그러나 김모미의 인생은, 사실 화려하지는 않았다. 다양하게 비극적이었을 뿐이다.


마스크걸에서는 한국 사회의 단면이 총체적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내용은 챗GPT와 함께 작성해보았다.



크게 세 가지 시선으로 나누어 보았다.


1) 신자유주의의 외모지상주의 (Neoliberalism and Appearance-Based Judgement): 이 드라마는 한국 사회에서 신자유주의의 영향으로 외모가 상당한 가치를 갖게 된 현실을 보여줍니다. 자본주의의 원칙 중 하나인 경쟁과 개인주의가 강조되며, 이는 외모 콤플렉스와 외모 중심의 가치 판단을 더욱 부각시킵니다. 이러한 외모지상주의로 인해 사회적 불평등이 심화되며, 개인들은 외모에 대한 과도한 압력을 느끼게 됩니다.

챗GPT는 외모 지상주의가 나타난 원인부터 분석해주고 있다. 자본주의로 인한 경쟁과 개인주의가 외모에 집중하는 사회를 만들며, 사회적 불평등까지 가져왔다고 지적한다.


2) 인지자본주의의 플랫폼 노동자 문제 (Cognitive Capitalism and Platform Labor): 김모미가 인터넷 방송 BJ로 활동하는 모습은 인지자본주의의 한 측면을 잘 보여줍니다. 이러한 노동 형태는 일자리의 불안정성, 노동자 보호 부재, 그리고 노동시장의 불평등을 낳고 있습니다. '마스크걸'은 이러한 플랫폼 노동자들의 애환과 어려움을 다루며, 이들이 현대 사회에서 직면하는 현실적인 문제를 드러냅니다.

자본이 되는 노동력이 기존 신체적 노동에서 교육, 봉사, 예술, 감정 등의 인지분야로 이행되면서 자본과 노동의 관계도 재정립이 필요한 시기에, 플랫폼 노동자에 대한 우리 사회 기반의 부족한 현실이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 불안정한 노동자의 사회적 문제를 챗GPT는 언급하고 있는 것이다.


3) 고독한 한국인의 삶 (Loneliness in Korean Society): 드라마에서 주인공이 혼자 살아가는 모습은 한국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경험하는 현실을 반영합니다. 사회적 압력과 경쟁으로 인해 고독한 삶이 더욱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정서적 문제와 사회적 고립을 촉발시키고 있습니다. '마스크걸'은 이러한 고독한 삶의 한 측면을 다루며, 개인의 정신적 건강과 사회적 연결성에 대한 생각을 유발합니다.

고독한 한국인의 삶은 사실 주오남의 상황을 생각하며 제시한 소주제였지만 김모미와 그녀의 주변인들 모두가 사실은 고독한 삶을 이어가고 있었다. 한국인의 출생률은 날이 갈수록 감소하고 있는 추세에서 고독사 또한 증가하고 있는 모습은 우리 사회의 암울한 미래를 더욱 부각시키는 현상이다.(아래 기사 'AI가 예측한 2060년의 한국' 참조)

AI의 경고 : 90년대생 65세 되는 2060년엔 '고독사 10배 증가' < 트렌드 < 기사본문 - 여성경제신문 (womaneconomy.co.kr)


이 외에도 마스크걸에서는 '모성의 무관심 속 집착 ', '교정시설의 수용자 처우와 인권보호', '직장 내 갑질과 젠더 차별'  등의 다양한 우리 사회 문제를 한번에 볼 수 있다.


챗GPT에게 마무리 글도 부탁해보았다.


마무리 : 마스크걸은 한국 사회의 다양한 문제와 고민을 다루는 작품으로, 현실을 비추며 우리에게 여러 가지 생각과 고민을 전달합니다. 이 작품은 외모지상주의, 불평등한 노동, 모성의 집착과 희생, 고독한 삶과 같은 여러 측면에서 우리 사회의 복잡한 면모를 논의하며, 더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합니다.

 앞으로 우리가 고민해야 하는 것은 더욱 공정하고 포용적인 사회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입니다. 외모나 경제적 가치만이 사회적 가치를 결정하지 않는, 다양성을 존중하고 인간의 본질을 인정하는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또한, 플랫폼 노동자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고독한 삶을 살고 있는 이들을 위한 사회적 지원 체계를 확립하는 것 역시 중요한 과제입니다.

 마스크걸은 우리에게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깊은 고민을 하게끔 만들어주며, 이러한 이야기를 통해 우리 사회의 미래 방향을 고민하는 계기가 됩니다. 우리는 이러한 문제들을 고려하며 미래를 준비하고, 더욱 공평하고 포용적인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습니다.


마스크걸의 원작자 매미(스토리)와 희새(그림)는 사회적인 문제를 다루는 웹툰을 주로 그려왔다. 마스크걸 외에도 집단 이기주의가 극단적으로 나타나는 '위대한 방옥숙' 그리고 소셜네트워크 속 불법행위 에피소드를 다룬 '팔이 피플' 등으로 우리 사회 단면을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다.




참고로 마스크걸 BJ의 목소리도 AI라고 한다. 인공지능 오디오 기업 수퍼톤이 김모미역을 맡은 나나와 이한별의 목소리를 연기 톤, 음색 등 여러 요소로 분석한 뒤 재조합해 만든 것이라고 한다.

‘마스크걸’ BJ 목소리, 이한별도 나나도 아니었다-국민일보 (kmib.co.kr)


AI기술을 활용한 디즈니플러스의 카지노도 같이 참고해보자. 디에이징이라는 기술로 60대의 실제 최민식이 극 중 30대 최민식을 자연스럽게 연기하는 것처럼 보이게 한 중요한 기술이다.

드라마 ‘카지노’ 속 30대 최민식…“이 기술이 만들었다”|동아일보 (donga.com)


우리 영화가 세계적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이유는 인간에 대한 깊은 철학과 더불어 인공지능의 이해와 기술력 활용의 수준도 높기 때문일 것이다. 챗GPT와 함께하는 마스크걸 리뷰는 여기까지!

작가의 이전글 아이돌이 있어서 조회수가 잘 나온단건 핑계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