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윽고 슬픈 독서가 Jan 12. 2019

새벽의 색

리스본 여행 에세이 #8. 프라제르스 묘지




18g의 원두를 핸드밀에 넣는다. 왼손으로는 통을 잘 잡아 고정하고 오른손으로 손잡이를 돌린다. 드륵 소리와 함께 천천히 원두가 갈아진다. 그동안 포트에 물이 다 끓으면 컵과 서버에 뜨거운 물을 부어둔다. 남은 물은 드립 포트로 옮긴다. 그리고 다시 원두를 간다. 겨우 18g이지만 손으로 가는 일에는 상당한 체력과 인내가 필요하다. 그 시간을 견디고 마침내 원두를 다 갈았다면 이제는 조금 편한 일이 남아있다. 바로 드립용 여과지를 접는 일이다. 공들여 접을 필요도 없다. 그저 드리퍼에 잘 들어가도록 접으면 그만이다. 이제 준비는 끝났다. 여과지 놓은 드리퍼, 뜨거운 물을 담을 드립 포트, 추출된 커피를 받아 줄 서버, 그리고 손잡이 있는 머그잔. 


다음 단계는 여과지를 물로 가볍게 적시는 것이다. 여과지에는 언제나 종이 냄새가 배어 있기 때문에 미리 그것을 빼두는 것이 좋다. 그 후에 갈아진 원두를 드리퍼에 넣고 평평하게 만든다. 드리퍼를 서버 위로 올리고 아주 천천히 드립 포트의 물을 원으로 돌려가며 물을 붓는다. 그렇게 커피 추출이 끝났으면 서버를 두어 번 흔들어 잘 섞고 머그잔에 조심스레 커피를 붓는다. 그리고 마신다. 



의식을 마쳤다. 아직 새벽이었다. 여행지의 낯섦은 수면을 방해한다. 그렇게 맞은 새벽의 색깔은 불안을 동반해온다. 여기에 함몰되면 안 된다. 그것은 앞으로 걷는 것을 가로막는 가장 큰 적. 그것에 맞서기 위해서는 기계처럼 움직여야 한다. 

내게 있어 눈을 감고도 할 수 있는 의식. 그것은 커피를 내리는 것이다. 맛있게 내리느냐는 두 번째 문제이다. 내릴 수 있느냐 없느냐가 가장 중요하다. 의식이란 원래 그런 것이다. 


시계를 본다. 아직 전차가 다닐 시간이 아니다. 커피를 마시며 어제 일을 떠올린다. ‘카페 브라질레이라’에서 페소아를 만난 일을. 페소아는 <오르페우>를 자신의 의식으로 삼으려 했을까? 어쩌면 그랬을 것이다. 그는 언제나 새로운 작품을 써내려 했고, 그것은 자신이 믿는 문학적 종교에 기도하는 행위였을 것이다. 그리고 기도의 장소로 잡지 <오르페우>를 만들었을 것이다. 페소아는 그곳에서 두 번의 의식을 치른 것이 전부였다. 잡지는 넉 달의 시간 동안 2호까지 발간되고는 여러 이유로 문을 닫았다.


쓸 수 있느냐 없느냐의 기로에서 페소아는 불안해졌다. 의식을 마치지 못한 이들이 흔히 그렇듯이. 

하지만 불안을 장소 삼아 그는 다시 시를 써 내려 갔다. 그리고 의식의 끝, 새벽의 색을 칠하며 페소아는 그곳에 묻혔다. 아침이 오면 그곳을 찾아가 볼 것이다. 



리스본의 높은 언덕. 그것을 거스르는 리스본 사람은 없다. 그들은 주어진 언덕에 맞서지 않고 그 곡선을 삶에 새김으로써 리스본을 살아간다. 그런 그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전차다. 좁고 경사진 언덕길을 무리 없이 오르내릴 수 있는 가장 완벽한 교통수단이 그것이었다.


아침 해가 오르는 것에 맞춰 정류장에 섰다. 타야할 전차는 28번이다. 이 숫자는 리스본을 상징할 만큼 이 도시에서 가장 잘 알려진 번호다. 바이후 알투부터 알파마 지역까지 오가는 28번 전차의 루트. 리스본에 온 이방인이 이 전차를 타지 않는 경우는 없다. 전차가 서는 관광 장소도 장소지만 전차 자체가 아름답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전차에 비해 리스본의 것은 매우 작은 편이다. 바이후 알투나 알파마의 좁은 골목길을 따라 돌려면 전차의 길이가 짧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 아담한 크기에 밝은 노란색으로 칠해진 전차가 리스본 골목을 오르는 모습을 보면 목적지가 아니더라도 오르고 싶은 기분이 든다. 


전차에 오르면 우선 내부 실내장식의 오래됨에 놀란다. 마치 100년 전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듯하다. 리스본이라는 도시가 그런 도시이니 새삼 놀랄 거도 없다. 나무로 된 좌석과 얇은 철판, 어디를 잡아야 할지 모를 손잡이와 뒷문에 매달려 이동하는 리스본의 거지까지…. 28번 전차를 타면 오가는 바깥 풍경 말고도 볼 것이 너무 많아 내릴 곳을 쉬이 지나쳐버리곤 한다. 다행히 내가 가려는 곳은 이 전차의 종점이기에 마음껏 주변을 둘러봐도 무방하다. 


언제나 이방인을 가득 실은 28번 전차지만 종점까지 타고 있는 이는 많지 않다. 특히 아침은 더욱 그런데 아마도 아침부터 공동묘지에 오고 싶은 이가 많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종점에서 내려 조금 걸으면 프라제르스 묘지가 나타난다. 포르투갈어로 '기쁨의 묘지'라 불리는 곳이다. 꽃집이 있었다면 한 다발 샀을 법도 하지만 묘지 주변은 간단한 상점도 보이지 않는다. 어쩔 수 없이 빈손으로 묘지 입구에 들어선다. 자연의 어떤 것도 거스르지 않는 리스본답게 프라제르스 묘지도 도시의 햇볕을 모두 담고 있다. 게다가 하얀 석재로 만들어진 무덤과 예배당은 이곳을 더욱더 환하게 비추고 있다. 



이곳에 페소아가 묻혔다. 아니 묻혔었다. 1935년 그는 포르투갈어로 쓴 마지막 시에서 이렇게 남겼다. 

"내게 와인이나 좀 더 다오. 삶이란 아무것도 아니니까."

 뭘 그렇게까지 해야 하는지 의문이 생길 정도로 치열하게 문학의 벽에 부딪히며 살아간 페소아. 그런 그의 마지막 시구가 삶에 대한 회의라는 것은 몹시 쓸쓸한 일이다. 하지만 세상을 떠나기 하루 전, 그가 영어로 남긴 시구는 이렇다.

"나는 내일이 무엇을 가져다줄지 모른다." 


극적인 반전이었다. 

삶의 무용을 노래하다 삶의 불확실성을 노래하는 것. 페소아는 그런 반전을 남기고 알 수 없는 세계로의 여행을 떠났다. 


페소아는 사실 평생 여행을 떠나지 않았다. 어린 시절 아버지의 직장 때문에 아프리카에 머문 시기를 제외하면 리스본이 전부였다. 하지만 그는 리스본에서 상상하는 것만으로 어디든 갈 수 있다고 말했다. 여행이란 상상하지 못하는 자들이나 하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그런 그가 상상하지 못한 유일한 장소는 죽음, 그리고 이곳 프라제르스 묘지였다. 


기쁨의 묘지 속 새하얀 빛. 

그것은 쉽게 상상할 수 있는 죽음의 이미지가 아니다. 시계 없이 짙은 새벽에 누군가 남겨졌을 때 아침의 빛을 상상할 수 없듯이. 

그렇다면 페소아는 어땠을까? 마지막 순간. 그의 머릿속 상상의 세계는 새벽의 색이었을까? 아니면 프라제르스의 하얀색이었을까? 몹시 궁금하지만 물어볼 곳은 상상의 세계 너머로 사라져 버렸다. 가능하다면 페소아 묘지의 비석 앞에서 혼잣말이라도 중얼거리고 싶지만, 그것도 불가했다. 이제 페소아는 프라제르스 묘지에 없기 때문이다. 



프라제르스 묘지를 나선다. 고요한 산책의 끝에서 다시 한번 뒤를 돌아본다. 그리고 새벽에 내려온 커피를 한 모금 마신다. 그렇게 의식은 끝났다. 새벽의 색도 하얗게 덮였다. 이제 다시 볼 수 있다. 이제 다시 걸을 수 있다.




글 | 최동민

제작 | Studio 1.9.8.4

메일 | groscalin84@gmail.com

이전 10화 3oz 크기의 커피잔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