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rumental communication 이란
자폐스펙트럼 장애(ASD)를 가진 아이들은 종종 자신의 요구를 표현할 때 말이나 제스처 대신 부모의 손을 끌고 가는 방식으로 의사소통을 시도합니다. 이러한 행동은 부모로서 당황스럽거나 걱정스러울 수 있지만, 이것이 왜 발생하는지, 아이가 어떤 특성 때문에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는지, 그리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들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1. 왜 이런 행동이 일어날까요?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아이들이 부모의 손을 끌고 가는 것은 instrumental communication이라고 불리는 의사소통 방식의 한 예입니다. 이는 아이가 자신의 의사를 직접 말하거나 가리키는 대신, 타인의 신체를 도구처럼사용해 자신이 원하는 것을 이루려는 방식입니다. 이 아이들은 아래와 같은 이유로 자신의 욕구를 자발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어려워서, 보호자의 행동을 통해 자신의 요구를 해결하려고 합니다.
언어적 의사소통의 발달 지연: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아이들은 말을 통한 의사소통이나 제스처 같은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발달하지 않거나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말을 하거나 직접 가리키는 대신, 타인의 손을 이용해 자신이 원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자기-타인 구별의 어려움: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아이들은 자기와 타인을 명확하게 구별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타인의 신체를 자신을 위한 도구로 생각하고 사용하는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예측 및 감각 처리의 어려움: 자폐스펙트럼 아이들은 감각적 정보를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이로 인해 직접적인 소통보다 간접적인 방법을 사용해 요구를 전달하려 할 수 있습니다. 타인의 행동을 통해 예측 가능한 결과를 얻는 것은 이들에게 더 안정적일 수 있습니다.
2.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특성과 이 행동의 연관성
이러한 행동은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여러 특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먼저, 자폐스펙트럼을 가진 아이들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서 전형적인 발달 패턴과 다른 경향을 보입니다. 이는 아래와 같은 특성으로 나타납니다:
비전형적 의사소통: 자폐스펙트럼 아이들은 언어나 비언어적 신호를 사용하여 자발적으로 소통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말이나 제스처 대신 타인의 신체를 도구로 사용하여 의사를 표현하려는 행동이 나타납니다.
자기중심적 사고: 자폐스펙트럼을 가진 아이들은 자신이 보고 느끼는 것을 타인도 동일하게 느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타인의 생각이나 감정을 읽는 능력이 제한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타인을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쉽게 여길 수 있습니다.
예측 불가능한 환경에 대한 불안감: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아이들은 변화나 새로운 상황에 대해 불안감을 느낄 수 있으며, 이러한 불안을 줄이기 위해 반복적이고 예측 가능한 행동에 의존합니다. 타인의 손을 끌고 원하는 곳으로 가는 행동은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자신이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수단일 수 있습니다.
3. 왜 치료가 필요할까요?
이러한 행동이 치료를 통해 개선되어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자립적 의사소통 능력의 중요성: 아이가 자라면서 자신의 요구를 스스로 표현하는 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타인의 도움 없이 자신의 감정과 요구를 표현하는 능력이 부족하면,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점차 더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사회적 관계 형성의 어려움: 타인을 도구처럼 사용하는 행동은 장기적으로 아이가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데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타인의 의도나 감정을 이해하지 못하면 친구를 사귀거나 다른 사람들과 협력하는 데 한계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자기-타인 경계 설정의 필요성: 자폐스펙트럼 장애에서 자기와 타인을 구별하는 능력이 제한되면, 타인의 권리를 존중하거나 감정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생깁니다. 이를 개선하는 것은 아이가 건강한 사회적 관계를 맺는 데 필수적입니다.
4. 집에서 어떻게 해주시면 좋을까요?
부모로서 자녀가 이러한 비전형적인 의사소통 방식을 사용할 때, 아래와 같은 적절한 대응을 통해 더 나은 의사소통 방법을 가르칠 수 있습니다.
일관된 모델링
아이가 부모의 손을 끌고 갈 때마다 즉각적으로 그 행동에 반응하는 대신, 올바른 의사소통 방법을 모델링해 주세요. 예를 들어, 아이가 물건을 원할 때 손을 끌고 가지 않도록 유도하고, 직접 물건을 가리키거나 원하는 것을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부드럽게 안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긍정적 강화 사용
아이가 자발적으로 말이나 제스처를 사용하여 의사소통하려 할 때, 긍정적 강화를 통해 그 행동을 칭찬해 주세요. 보상이나 칭찬은 아이가 올바른 의사소통 방식을 배우는 데 동기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대체 의사소통 수단 제공
말로 표현하는 것이 어렵다면, 그림 카드나 제스처 등을 사용하는 대체 의사소통 도구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여 자신의 요구를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아이의 감정에 공감하고 설명하기
아이가 원하는 것을 말하지 못해 손을 끌고 갈 때, 먼저 그들의 감정에 공감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네가 그 장난감을 원해서 엄마 손을 잡고 끌고 가는 거구나"라고 말하며, 아이가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대신 "장난감을 가리키거나 말로 표현할 수 있단다"라고 설명하며 다른 방식으로 의사소통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자녀가 부모의 손을 끌고 가는 행동은 단순한 습관이 아니라, 의사소통 발달의 한 부분이며 자폐스펙트럼의 특성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비전형적인 소통 방식은 아이가 자라면서 더 나은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고, 독립적이며 건강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합니다. 부모로서 일관된 훈련과 지원을 통해 자녀가 자신의 의사를 더 명확하게 표현하고, 타인과의 경계를 인식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