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환 Nov 25. 2024

인생은 소설이다

  나는 어떤 사람인가. 어디서 시작해서 무엇이 영향을 미쳤나. 종종 답이 없는 질문에 대해 생각한다. 그러다보면 점점 과거로 여행하게 된다. 1년전, 4년전, 수십 년 전의 부모님과의 기억들 친구들을 떠올리며 울고 웃고 난리를 친다. 이러한 것들을 쓰고 정리하는게 하나의 취미이다.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나만 이렇게 살아왔나?


  인생의 타이밍이란게 참 재밌다. 최근 읽은 몇 권의 책들이 이런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스토너> <아우구스투스>, 존 윌리엄스. <평범한 인생>, 카렐 차페크. 공통점이라하면 한 인물의 일대기를 죽 바이오그래피의 형태의 소설 혹은 문학이다. 디테일하게는 각각의 울림은 다르지만, 머릿속에서는 그 길들이 한 곳으로 이어졌다. 그들의 삶은 나 혹은 우리들의 삶이다. 큰 기교없이 삶을 쓰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다. 특히 본인에게 가장 큰 도움이 된다. '책을 썼을 때 가장 도움되는 사람은 작가 자신이다.' 이동진 평론가의 컨텐츠 중 기억남는 문구 중 하나이다. 삶을 되돌아보고 정리를 하는 것이 나 자신을 탐구하고 알아가는 것의 기초이다. 그 일환으로 나는 나를 글로, 그림으로 표현한다. 


  어느 날 그림 모임 사람들을 만나 일기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특히 그림모임에서 이어진 주제가 '왜 그리는가'였다. 모임원 중 몇몇은 전공을 하고 일을 하면서 취미로 나오기도 한다. 또 나처럼 아무런 백그라운드없이 그냥 취미로 하는 이들도 있다. 그 질문에 대한 나의 답은 '나를 표현하는 한 방식'이다. 우리의 하루는 재밌기도, 슬프기도, 화나기도, 또 아쉽기도 하다. 그걸 다른 사람과 대화로 말하는 사람들이 있는가하면 일기로 풀기도 한다. 그림도 그 중 한 방식 중 하나이다. 


  이왕 할 거 공개해도 괜찮잖아. 요즘 사람들은 인스타에 일기를 쓴다더라. 유튜브에 브이로그를 올린다더라. 여러 이야기가 오갔다. 꼭 개인적일 필요가 있냐는게 그들의 내게 준 답변이었다. 역시 자기PR시대의 MZ세대들이란 말인가... 친구들도 농담반진담반으로 늘 이야기 하는게 "워홀 브이로그 찍어서 유튜브 올려봐!"일 정도니까. 그 후 하루 정도 고민했다.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하고. 그냥 쓰기로 했다. 평소 하던거 그대로 하면 되는 걸로 결론 지었다.


  앞서 말한 세권의 책들은 소설이고 문학이다. 작가의, 혹은 주변인의 삶이 반영되었을 지 모르지만 가상인물의 삶이다. 우리는 어떤 인생을 살고 있을까. 나도 어쩌면 저기 어떤 시뮬레이션 우주속의 한 캐릭터, NPC 중 하나일지도 모른다. <인생은 소설이다>, 기욤 뮈소의 책처럼 누군가가 나를 집필하고 결론을 이미 마무리 지었을지도. 타인이 봤을 때는 나의 삶도 소설같이 느껴질 수 있다. 소설 스토너, 아우구스투스를 보며 느낀 내 감정들은 진짜였다.


  평범한 인생의 공무원은 죽기 직전 자신의 자서전을 쓰기 시작했다. 꼭 죽기 직전이 아니라도 내 자서전 정도는 내가 써봐도 좋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일요일 연재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