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여성 미술가가 부재한 이유
그렇다면 여성 미술가가 부재한 것이 부당한 이유를 살펴보자!
근거 1. Johann Zoffany,<로얄 아카데미 회원들>, 1772
미술가를 양성하는 절대적 기관이었던 왕립 아카데미 풍경이다.
먼저 오른쪽 위 벽면을 보자. 왼쪽 액자의 여성은 안젤리카 카우프만, 오른쪽 여성은 메리 모저이다. 그림 안에서 여성의 초상으로만 존재하고 있다.
당시 영국 로얄 아카데미 초대 회원들이 스튜디오에서 남성 누드모델을 앞에 두고 인체 드로잉을 하는데
당시 수십 명의 남성 회원 이외에도 대표적인 두 명의 여성 작가 안젤리카 카우프만, 메리 모저가 있어다. 하지만 여성의 모습은 스튜디오에서 찾아볼 수 없다.
초상은 당시 여성 미술가들이 인체 드로잉에 참여하지 못한 현실적인 제약을 보여주면서, 그녀들이 창조적인 예술 작가가 아닌 주체적인 남성작가의 모델로 대상화됨을 알 수 있다.
교육과정 자체가 가부장적 사회에서 여성이 직면한 구조적 제약을 부여했기에 여성미술가들이 남성미술가와 동일하게 활동할 수 없었다. 작품을 통해 화가 양성과정과 작가로서의 기회 부여를 남성 작가들 위주로 흘러갔음이 보인다.
20세기 초 여성은 미술뿐만 아니라 각 분야에서 전문적인 직업을 갖기 위한 교육을 받기 어려웠다.
미술 아카데미에서 인체 드로잉은 아주 기본적인 과정인데 여성들은 남성 작가들을 위한 누드모델로 설 순 있어도, 남성 누드모델을 보고 드로잉 하는 것은 금기되었다. 여성 미술가를 꿈꾸는 교육생들은 교육 기회가 없었기에 처음부터 남성과 동등한 미술가로 성공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한다.
또 다른 여성의 모습을 발견해 보자.
오른쪽 의자 아래 여성 조각상은 바닥에 널브러지고 남성 화가가 그녀의 복부를 누르고 있다.
선반 위 멀쩡하게 세워진 남성 조각에 비해 그녀의 모습은 처참하다.
그녀의 몸은 존중받지 못하며 폄하되고 무시되어 있다.
이러한 작품 속 당대 여성에 대한 불평등한 성차별적 시각과 여성 작가들에게 동등한 기회를 주지 못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엿볼 수 있다.
당시 남성 화가들은 카우프만이 남성 작가들만큼 작업에 진지하지 않으며, 전업으로 삼지 않고 취미/교양 정도로만 삼았기에 동등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없다고 주장한다.
[안젤리카 카우프만- 18세기 신고전주의 작가: 그녀는 영국 왕족들의 인재로 초상화를 잘 그리기로 유명했다.]
다음은 안젤리카 카우프만의 작품 <Virgil writing his own Epitaph at Brundisium>(왼),
1785와 프라고나르<그네>,1767(오) 작품이다. 이 두 작품을 비교해 보자.
역사적, 위인의 그림을 그리는 것에서 오히려 남성 화가가 그린 것 같은 느낌이 들지만 이는 여성화가인 카우프만이 그린 작품이다. 반대로 프라고나르의 작품 그네를 보면 남녀의 사적 내용을 드러내는 점에서 여성적 특질을 부각한다고 볼 수 있는데 프라고나르는 남성 작가이다.
Angelica Kaufmann, <음악예술과 회화예술 사이에서 방황하는 안젤리카>, 1775
: 음악과 미술 사이에서 카우프만은 고민하지만 미술을 선택한다.
그녀가 열정적으로 그림을 그렸다는 증거는 당시 신고전주의 양식이 주류 미술이었는데 18세기 그리스 신전 건축을 가리키는 것에서 알 수 있다. 그리스 신전 건축은 18세기 후반 프랑스 미술에서 태동하는 신고전주의를 뜻한다.
작품을 통해 스스로 미술을 선택했다는 것에서 의지가 엿보인다.
다음은 Artemisia Gentileschi <유디뜨와 하녀> 1613-14(왼)와
Rossetti<La Ghirlandata>1851 (오) 작품을 비교해 보자.
결연하고 진지한 모습의 여성을 바로크 미술의 특징으로 잡는다. 먼저 <유디뜨와 하녀> 작품을 보면 바로크의 역동성과 힘을 여성 인물로 표현한다. 굉장히 진지하고 극적이고 사건에 몰입하는 여성의 모습으로 남성적 면모를 풍긴다. 로제띠의 작업을 보면 장미꽃으로 장식된 하프, 화관을 쓴 여성은 아름답다. 이 여성을 바라보는 천사들은 꽃에 둘러싸여 있다. 두 작품을 작가의 이름 없이 작품으로만 보면 어떤 것이 여성 작가의 작품인지 알 수 없다.
위대성에 대한 판단과 성차의 판단은 고정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성 작가들이 위대하다는 평가를 받지 못한 것은 그들이 의지가 부족하거나 재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남성 작가들과 동등한 기회를 부여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엘리스 바버 스티븐스라는 여성작가가 그린 작품이다.
19세기 후반 미국에서 처음으로 여성 미술학도들에게 인체 누드 드로잉 수업을 제공했는데 이를 기록했기에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작품이다. 19세기말에 가서야, 즉 카우프만 이후 100년 후 인체드로잉 수업에 여성들이 참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로써 19세기 후반 여성들에게 누드 수업이 제공되면서 여성들이 전업 작가로서 활동한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Alice Barber Stephens, <The Female Life Class>, 18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