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도 동향 분석, 1편-마케팅/페이스북/인스타그램/소비/트렌드
오랜만에 찾아뵙네요 안녕하세요 브덴자입니다 :-)
요즘 하루가 다르게 정보가 쏟아져 나오고 잠깐 고개 돌린 사이 흐름이 변하기도 해서
아는 것이 모르는 것이 되는 것도 한순간이고, 다 파악하자니 시간이 적지 않게 걸려 문제가 되는 것 같습니다.
이미 나와있는 동향들을 더해 찾다보니,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 걸리기도 하였고 해서
정리할 겸 2018년도 동향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해보았는데요.
작성하면서 조금의 경각심을 가지기도 하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인사이트를 얻었던 것 같습니다.
남은 분기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면서 서론을 줄이고 시작하겠습니다!
-
마케팅 트렌드 모음집이라고 해서, 많이들 보셨을 자료 외 추가 업데이트 사항을 정리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많이 확인하셨을 트렌드 모음 URL 혹 몰라 참고로 작성해놓습니다.(괜찮은 것만 추려놓았음)
▶[페이스북] 영상 채팅, 메신저 라이트를 주목하자.
2017년 1700억 화상 채팅이 발생 → 2016년 대비 2배 성장
화상 채팅 도중, 비디오 아이콘을 통해 비디오 채팅으로 전환 가능
▶[페이스북] 속보 태그 테스트 중
북미, 중남미, 유럽,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속보 태그 테스트를 진행
결과 : 클릭률 4% 상승, 11%의 점유율, 4% 의견 제공, 7%의 긍정적 반응
소식이 속보로 표시될 수 있는 시간은 최대 6시간
▶[페이스북] 페이지 콘텐츠를 활용한 이벤트 자동 생성 기능 테스트 중
콘텐츠와 이벤트를 연계하여 간단한 절차와 복잡한 옵션 없이 참여할 수 있도록 테스트 진행
▶[페이스북] 메신저를 통한 프로모션 대량 메시지 전송 테스트 중
브랜드 페이지에서 구독자에게 홍보용 대량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을 테스트 진행
유형별로 분류, 정밀 타겟팅 설정 및 응답 버튼 추가로 간소화 가능
▶[인스타그램] 쇼핑 태그 테스트, 차후 확대 예정
사진 자체에 사람을 태깅 하는 것과 같이 제품 태깅 가능
태깅 클릭 시, 결제 혹은 상세보기 페이지 연동
▶[인스타그램] 브랜드 소통을 판매로 직결하여 상거래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을 것
2017년 미국에서 앱 내 쇼핑 기능 '쇼핑 온 인스타그램'을 테스트 진행, 차후 더 많은 국가로 확대 예정
▶[인스타그램] AI이미지 검색 기능 도입 예정
특정 물체를 골라낼 수 있는 AI 개발을 통한 이미지 검색 기능 도입 예정
▶[인스타그램] 스토리 기능(영상) 발달 및 인기 상승 예상
일정 시간만 볼 수 있는 스토리 콘텐츠를 더 많이 차용할 것으로 예상
라이브 스트리밍 기능 추가 업데이트 진행 중
다른 사용자와 동시 라이브, 검색 가능한 위치 태그 등 추후, 라이브 광고 도입 및 성장 예상
▶[인스타그램] 360도 사진 도입 예정
페이스북 360도 사진 기능, 인스타그램에도 추가 도입 예정
인스타그램 앱 내에서 360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 분석 중
▶[인스타그램] 지도 기능 도입 예정
https://instmap.com/ 인스타그램 지도 사이트
현재까진 위치 기반 태그가 가능, 차후 지도 기능 형태로 확대 예정
[출처]
- itworld-인스타그램, 2018년 6대 디지털 마케팅 트렌드 발표
▶[유튜브] SNS, 검색엔진, 디지털 라디오는 유튜브로 무서운 상승세
네이버와 카카오톡이 지난달 애플리케이션(앱) 사용 시간에서 유튜브에 뒤쳐짐
유튜브는 미국 성인 사용률이 73%, 페이스북(68%)을 제치고 인기 1위(퓨리서치 조사 결과)
▶[유튜브] 커뮤니티 탭 베타 테스트는 계속 진행 중, 보편화가 되면 어떤 일이 생길까
구독자 1만 명 이상의 유튜버에게 테스트하고 있는 커뮤니티 탭, 1년 넘게 진행 중..
‘소확행’은 반복되는 일상 속에서 자신만의 소박한 행복을 찾는 것
작지만 확실한 행복, 별 볼일 없을지 몰라도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일상 속에서 느껴지는 작은 행복을 뜻한다.
가성비에 가심비를 더하다
- 어떤 소비를 할 때 ‘구매에 대한 심리적 만족’을 의미하는 ‘가심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부상중
- “더 큰 심리적 만족을 준다면 가격에 대한 저항이 현저히 낮아지는 현상”을 뜻하는 가심비는
가성비에 주관적, 심리적 특성이 더해진 개념이다.
- “직장이 나의 전부가 될 수 없다"라고 외치며 적당히 벌면서 잘 살기를 희망하는 젊은 직장인 세대를 칭하는 ‘워라밸’ 세대는 1988년생 이후부터 이제 갓 사회로 진입한 1994년생까지의 세대를 규정
-워라밸 세대가 사회의 가장 강력한 인플루언서로 자리매김하면서 ‘자신, 여가, 성장’이라는 키워드가 주목
-단순한 무인이나 비대면 기술을 넘어 사람과의 만남을 대신하는 비대면 방식과 4차 산업혁명
기술이 만난 ‘언택트’가 트렌드로 부상
-단순히 사람을 지운다는 개념이 아니라 사람과 사람이 만나는 방식을 바꿈
-투우장의 소가 마지막 일전을 앞두고 홀로 잠시 숨을 고르는 자기만의 공간을 의미하는 케렌시아
-케렌시아가 기존의 휴식 장소와 다른 점은 단순히 쉬는 곳이 아니라 마음을 추스르고 다시 전장으로 나갈 준비를 하는 곳이라는 점에서 보다 능동적이고 창조적인 공간
관련 내용이 있는 도서
-사람들이 돈을 쓰는 이유가 유형의 재화에서 무형의 서비스로 이동
-서비스는 더 이상 ‘부가적인 것’이 아니라 제품을 둘러싼 모든 것, 제품 차별화의 주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음
- 공급과잉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수많은 단점에도 불구하고 ‘OO을 찾을 수밖에 없는 매력’이 필요해짐
-‘단점이 없는 완벽한 상태’가 아니라 ‘자신이 가장 잘할 수 있는 하나의 매력’이 가장 중요
- SNS를 통해 혼자서도 얼마든지 여론을 모을 수 있고 변화를 꾀할 수 있다는 것이 사회적으로 통용되면서
함부로 드러내지 않았던 자기만의 취향과 정치적, 사회적 신념을 커밍아웃하는 것을 나타내는 ‘미닝 아웃’이 주목
-랜선 이모, 티슈 인맥, 반려식물… 모두 새로운 인간관계를 나타내는 단어
-기존의 관계에 피곤함을 느낀 사람들이 ‘관계’를 개편하면서 가족과 관계의 해체와 재편이 빈번함
* 오픈 채팅(고립은 원하지 않지만 깊은 인간관계를 원치 않는 사람들),
* 셰어 하우스(고립은 피하고 싶지만 독립된 공간은 필요한 사람들),
* 뷰니멀족(동물을 키우지 못해 화면으로 대리 만족하는 사람들)
-관계에 대한 재편이 이루어지면서 상대적으로 스스로에 대한 ‘자존감’을 견고하게 구축하려는 욕구가 강해짐
- ‘나로 서기’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나’라는 존재는 그 어떤 시대보다 필수적이고 시급한 주제로 부상
출처 : 트렌드 코리아 2018
위의 동향 조사를 기점으로 전달드리고 싶은 내용들이 많이 생겨났는데요.
하나하나씩 차근히 정리하여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Bden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