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블링 Oct 18. 2024

춘천마라톤 D-10

(부상을 딛고) 출전할 수 있게 된 춘천마라톤 풀코스 

도자기를 빚듯이


올 초 나의 몸을 [도자기 제작과정]에 비유해 보면 어디서 퍼 날렀는지 모르는 흙과 같았다. 어디서 퍼 온 흙인지 몰라서 그 흙의 성분을 따지는데 시간이 많이 걸렸다. 흙 성분을 모르니 질그릇이 될지, 사기그릇이 될지 모르겠더라. 목표가 있어야 뭐라도 만들 텐데 존재 자체가 어디서 퍼 나른 흙인지 모르니 우선 반죽이 가능한가에 대한 의심이 들기 시작했다. 



만들고자 하는 것은 완성된 도자기(풀코스 나가기)였는데 그 종류를 감흠하기 어려웠다. 올초(2024년 5월) 바다의 날 마라톤에 나가 5킬로 달리고도 부상부위에 신호가 왔다. 

‘대체 어디가 안 좋아서 아픈 거야?‘  

개탄을 했던 기억과 동시에  

'이제 5킬로 정도는 조깅으로 가능하겠네.'였다. 

그 대회 전까지는 걸었고 달리기는 좀 어려웠다. 부상 원인을 모르니 폭탄을 안고 달리는 기분이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 완성된 도자기(코스 완주)를 만들 수만 있다면 행복하겠다.'라고 생각했다. 

어쨌든 간 그러기 위해서는 채취한 흙을 정제하는 과정이 필요했다. 일주일에 딱 두 번 정제과정을 거쳤다. 

달리기 클럽에 가서 딱 두 번만 운동했다. 그 이상은 무리가 오는 느낌이었다. 

그렇다 보니 욕심도 없었다. 

부족함을 알려고 노력했고 고칠 게 있으면 고치고 불필요한 것이 있으면 걸러내려고 했다. 

필요한 것이 있으면 추가해 보려는 시도를 했다. 그러면서 헬스장을 등록했다. 그렇게 올초는 흙 치대는 일만 계속했던 것 같다. 



도자기(풀코스 완주자)가 되기 위해 이리 치대고, 저리 치대고 계속 치대다가 확실히 그릇으로 갈 수 있겠다 생각했던 것은 한 여름에 ‘30킬로 거리주’를 완성시키고 난 후였다. 도자기 형태 잡기를 하듯 30킬로 거리주를 하면서 ‘하반기 풀코스 완주는 할 수 있지 않을까?’로 생각이 바뀌었다. 올해 유난히 더웠고, 힘들었어서 30킬로 거리주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이었다. 그래도 하고 난 후에야 ’ 이제야 나도 그릇이 될 수 있는 흙이 되었구나.‘,  생각을 했던 것 같다.



그 이후 물레를 사용해 도자기 형태를 만드는 과정을 거치듯, 포인트 수업을 하면서 조깅을 넣었다. 

이것이야 말로 도자기의 형태를 만드는 작업이었다. 이때도 완성품이 될 수 있을까에 대한 의심이 들긴 했다.

섬세하고 조심스러운 작업이 필요한 도자기 제작처럼 나의 달리기는 언제 어디서 부상이 터질지 모르는 폭탄 같았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도자기 초벌구이까지 온 것 같다. 두 개의 대회(국제국민마라톤, 서울레이스) 하프를 치르고 나서 달리고도 몸이 아프지 않음에 행복했다. 


최근 회복 조깅하다 발목이 꺾여서 걱정했는데 잘 넘어간 것 같다. 위에 말한 것처럼 이유 없이 다칠 수 있는 상황은 항상 놓여있다. 그래서 마음을 놓을 수 없지만 지금 나의 도자기는 건조시키고 있다. 한 주간은 유약을 바르듯 몸을 잘 다스려서 대회에 나가면 되겠다. 가마에 들어가기 전까지 어떤 그릇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분명한 건 올초만 해도 그릇 형태(풀 완주)만 되길 바랐었던 나였다는 것을 잊지 말자.


'초벌을 굽고 나니 고급 백자를 내놓을 수 있지 않을까?' 란 희망을 품어보기도 한다. 

뜨거운 불구덩이 가마에 들어가기 전까진 아무도 모른다. 온전히 그 시간을 버텨내고 어떻게 변할지 모르는 결과에 당황해하지 않기로 한다. 깨질 수도 있지만 완성된 그릇은 되어 나올 테니깐.


작가의 이전글 마흔 중반에 다시 만난 신해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