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카카오임팩트 Mar 25. 2021

문제정의의 시작

문제정의의 시작은 무엇일까요?

문제정의를 통해 새로운 실험을 현명하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문제정의의 시작은 무엇일까요?



보통 문제를 정의한다고 할 때, 우리는 우선 문제를 객관화해서 그 구조를 분석하고, 원인을 찾는 것을 떠올립니다. 그런데 그전에 이런 질문도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내가 정의하려고 하는 이 문제가 나와 연결된 것은 무엇일까?
내가 정말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사회문제가 정의가 되었다고 해서 내가 뛰어들지는 않아요. 나와 그 문제가 연결되는 지점이 있어야 뛰어들고 액션을 취하죠. 모든 문제에 뛰어들 수는 없으니까요.

- 김동훈(라이프라인코리아)


내가 깊게 공감할 수 있는 문제공감하기 힘든 문제 중 나의 시작은 무엇이 되어야 할까요? 내가 해결하고 싶은 욕구를 강하게 가진 문제와 다른 사람들이 나서서 잘 해결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문제 중 무엇이 나의 시작이 되었을 때 더 효과적일까요? 문제정의의 시작으로 이런 질문을 드리는 이유는, 우리가 문제정의에 대해 얘기할 때 어깨에 힘을 주고 경직되어 있는 것은 아닐까 생각해보기 위해서입니다. 


혁신가나, 혁신가가 되고 싶은 분들이 보여주는 굉장히 많은 모습 중 하나는 스스로 100% 그렇게 생각하지 않으면서도, ‘내가 다루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 사회문제다, 근본 원인은 이것이다, 그러니 내 솔루션으로 풀어보겠다’라고 접근하는 거예요. 특히 다양한 심사를 거쳐 선정을 받아야 하는 처지에 있는 분들은 이런 논리로 신청서류를 작성해야 하는 환경에 놓여 있어요. 좀 과도하지 않나요?

어떤 문제에 대해 여러 가지 원인이 밝혀지고 솔루션들이 나와야 사회가 다양해지고 예측하지 못하는 결과도 나올 텐데 이게 어려워지는 환경이 되고 있다고 생각해요. 자신의 경험이나 자신이 쌓은 전문성들이 작용하거나 인정을 받는 과정들은 생략되고, 마치 나는 객관적인 자리에 있다는 듯이 말해야 한다는 거죠. 서로 힘을 좀 빼고 내가 포착한 원인은 이것이고, 나는 이런 걸 해보고 싶다고 얘기하다 보면 서로 생각해보지 못한 측면들이 더 많이 드러나지 않을까요.

- 정경훈(오늘의행동)


'문제정의'라는 개념을 처음 접할 때 우리는 즉각적으로 근본 원인, 궁극적인 원인 둥의 이미지를 떠올리곤 합니다. 그리고 '자기'라고 하는 존재는 주관적이기 때문에 근본 원인을 밝히는 이성적인 사고를 가로막는 방해물로 여기고 문제정의의 과정에서 되도록 배제해야 한다고 생각하곤 합니다. 두 가지 의문을 갖게 됩니다. 근본 원인이라고 하는 것이 실제로 있고, 이 근본 원인을 없애면 문제가 해결되는 것일까요? 그리고 자기 자신을 배제하는 것이 과학적인 방법일까요?


사실 어떤 사회문제에 궁극적인 원인이 있다는 것은 신화에 가까울 겁니다. 여러 사람들이 지목하는 원인, 경험과 활동을 통해 체화되고 있는 원인, 다양한 연구를 통해 밝혀진 원인, 그리고 이 원인들의 상호관계 속에서 등장하는 새로운 수준의 원인들이 어떤 사회문제를 구성합니다. 특히 복잡한 문제일수록 그렇습니다.


복잡계의 이론은 복잡한 사회문제의 이면에 질서가 있다고 설명합니다. 다만 이 질서는 사회문제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의 상호작용과, 이 상호작용의 외부에 있는 새로운 흐름의 유입으로 늘 변화하고 있다고 봅니다. 그래서 근본 원인을 찾기보단 원인들의 상호작용이 어떤 흐름으로 나타나는지, 그리고 이런 흐름이 만들어내는 새로운 질서가 무엇인지 지켜볼 것을 제안합니다.


세상은 항상 변화하고 있다고 보는 세계관과, 정태적인 세상인데 무언가 변화가 있다고 보는 세계관이 다른 것 같습니다. 저는 세상은 항상 변화하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문제정의는 현실에서 우리가 기대하는 특정한 변화를 만들어내기 위한 것입니다.

그래서 문제정의는 단순히 문제를 정의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어떤 행동을 촉발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식으로 행동을 촉발하는, 그리고 문제정의를 해낸 사람 외에 다른 사람도 공감하면서 일어나게 하는 툴이 되어야 합니다. 문제정의를 통해 기대하는 산출물은 행동입니다. ‘깔끔하게 문제에 대한 생각이 정리되었으니 내 마음이 편안해졌어’라고 받아들이는 것은 우리의 기대가 아닙니다. 이게 문제정의의 중요한 전제입니다.

- 제현주(옐로우독)


문제가 늘 변화하고, 우리도 그 속에 있습니다. 우리가 행동하고, 해결하고 싶은 지점들이 촉발되지 않는다면 애초에 문제를 정의해야 하는 필요가 사라집니다. 문제를 정의하는 것과 문제의 솔루션 사이의 연결이 파괴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문제를 정의하는 '나'의 존재는 단순한 주관이나 이성적인 사고의 방해물이 아닙니다. 오히려 문제를 정의하려는 내가 서 있는 곳의 풍경과 내가 정의하는 문제가 깊은 연관이 있음을 받아들여 내가 문제와 연관되는 맥락을 알고 있어야 문제가 객관적으로 드러납니다. 


내가 문제와 연관되는 맥락은 다양합니다. 내가 문제의 당사자일 수도 있고, 내가 문제의 당사자에 깊게 공감하고 있을 수도 있으며, 나 자신이 문제의 일부일 수도 있습니다. 혹은 어떤 문제에 흥미를 느끼거나 아이디어를 갖고 있는 수준의 맥락적 관계를 맺고 있을 수도 있고, 심지어 나에게 아주 불편한 무엇이 문제일 수 있습니다. 그 관계가 무엇이든 내가 정의하려는 문제에 대한 나의 위치가 어디에 있는지 잘 알고 있을 때, 우리는 실질적인 문제정의를 시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즉, 조금 더 솔루션과 연결되는 문제정의를 할 수 있을 겁니다. 


문제정의를 하기 전에 메타인지나 자기 객관화를 시도해봐야 한다고 생각해요. 이 과정이 생략되면 문제정의의 결론이 내 고정관념의 확인이 되어버릴 수 있어요. 보통 문제 해결을 얘기하면서 가설에 대한 얘기를 많이 하는데, 사실 우리는 내가 잘 모르는 것 내가 불편한 것들을 가설로 안 세우려는 경향이 있어요. 익숙하고 유리한 것들만 선택해서 가설을 세워버리죠. 하지만 제대로 문제를 정의하려면, 우리는 낯선 곳에 있어봐야 해요. 새로운 사람을 만나고 내가 환영받지 못하는 곳에서 인식의 확장을 만들어내는 거죠.

- 김정태(MYSC)



『어떤 시작』pdf로 전체 글 다운받기 ➡️ Click


이전 01화 솔루션 권하는 사회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