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심전투와 자유기동으로 전승하는 화랑부대
11사단은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0년 8월 27일. 경상북도 영천에서 최초로 창설되었습니다. 1950년 10월 10일부터 1951년 3월 31일까지 북한군 잔당을 소탕합니다.
당시 낙동강 방어전투 이후 퇴로가 차단된 북한군 빨치산들이 조직적으로 활동하고 있었기 때문인데요. 1951년부터 전쟁의 전선이 휴전선 인근으로 고정됩니다.
이 시기부터 11사단은 설악산, 향로봉 등의 동부전선에 배치되면서 전투를 벌였으며, 설악산 지구 전투, 대관령 지구 전투, 건봉산 지구 전투 등에서 맹활약 합니다.
이 밖에도 1952년의 351고지 전투, 2차 월비산지구 전투, 간성지구 전투 등 동부전선 주요 격전지에서 수많은 전투에 나섰습니다.
1953년 7월에는 북한군이 휴전을 앞두고 총력을 쏟아부었던 금성지구 전투에 참여해서 승리를 거뒀으며, 6.25 전쟁 기간 동안 33개월간 전투에서 적 3개 사단을 궤멸시키는 전과를 올렸습니다.
11사단은 북한의 주요 도발사건들을 도맡아 처리했습니다. 1967년 6월과 1968년 11월 두 차례 동안 벌어진 북한 무장공비들을 전원 소탕하였습니다.
1967년에 수립된 육군 사단 특성화 계획에 따라 육군에 3개의 특화사단이 지정됩니다. 그것이 지난 포스팅에서 소개했던 2사단 스키부대, 5사단 공정부대이고.
11사단은 1968년 1월 23일부로 상륙작전을 수행하는 상륙사단으로 전환된 과거가 있었는데요. 지금의 해병대 역할을 육군에서 11사단이 한다고 보면 됩니다.
그러다 나중에는 육군 특화사단 계획이 없어지면서 다시 일반 보병사단으로 복귀하게 됩니다.
11사단은 2004년 12월부로 대한민국에서 다섯 번째로 기계화보병사단 개편이 되었습니다. 제20기계화보병사단, 수도기계화보병사단 다음으로 K-21 장갑차를 받게 되며.
기갑수색대대에서는 K-2 흑표 전차를 전력화하고 있습니다. 2016년 12월 1일부로 제7기동군단으로 배속이 변경되고, 2019년 11월 29일에 제20기계화보병사단이 해체되면서 두 부대가 통합됩니다.
강원도 홍천에서 제3기갑여단과 함께 주둔하고 있습니다. 11사단은 7군단 예하로 전시에는 공격이 주요 임무기 때문에 인근에 있는 3기갑여단 공병에서 지원을 하게 됩니다.
서부전선에서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제8기동사단, 제30기갑여단, 중부전선에서는 제1기갑여단, 제2기갑여단, 제5기갑여단이 해야 하는 임무를.
동부전선에서 제11기동사단, 제3기갑여단, 제20기갑여단, 제102기갑여단이 함께 임무 수행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보통 3기갑여단과 작계지역이 같기 때문에 양쪽 어느 하나가 국지도발 훈련을 한다면 같이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훈련 강도가 아주 빡세고 힘들어서 과거에는 육지의 해병대라는 말이 있었을 정도입니다. 보통 특전사가 단기간 내에 훈련을 빡세게 굴린다고 한다면.
11사단은 1년 내내 행군이나 훈련을 워낙 길게 하기 때문에 특전사보다 더 힘들다고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3사단, 8사단, 21사단, 27사단 등의 빡센 부대 출신들조차 11사단 출신들은 리스펙하는데 그정도로 빡세기 때문에 그야말로 숨겨진 헬게이트 부대입니다.
옛날에는 젓가락 부대라고 불렀었습니다. 이 부대에 오게 되면 훈련 때문에 너무 고생해서 젓가락처럼 빼빼 마른다고 하여 젓가락이라 불렀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11사단이 전군 육군 상비사단 중에서 행군을 제일 많이 하는 부대로 알고 있습니다. 11사단은 기계화보병사단 최초로 천리행군을 했었는데요.
행군으로 강원도 화천, 인제까지 가는 경우는 심심치 않았으며, 행군을 워낙 자주 하기 때문에 행군 속도도 그만큼 남달랐을 정도입니다.
2011년에는 사단의 모든 부대가 무박 100km 행군을 한 적도 있으며, 2012년에는 공병대대도 무박 100km 행군을 한 적이 있습니다.
기계화보병사단에서 기동사단으로 바뀌었다고 하더라도, 훈련량이 줄어든 것은 아닙니다. 여러 가지 훈련이 정말 많이 있는데요.
강원도 전역에 있는 부대들을 상대로 대항군 훈련을 하기도 하며, 연간 훈련 계획표상 훈련수가 육군 상비 사단 중에서 가장 많은 부대입니다.
특히나 서부전선에서는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중부전선에서는 제8기동사단, 동부전선에서는 제11기동사단으로 육군에 딱 3개 남은 기계화사단인데요.
그렇기에 동부전선에 있는 기갑부대에서 하는 호국훈련은 매년 빠지지 않고 참가해야 합니다. 게다가 훈련이 없는 경우라면 여느 기계화부대와 마찬가지로 각종 정비와 검열에 찌들어 삽니다.
방패모양 : 국가로부터 조국방위의 임무를 부여받았다는 것을 상징화
청색 : 정의와 평화, 강건함
백색 : 우리 민족의 순수성과 참군인의 모습
중앙의 2개 백색 선 : 11사단의 숫자 11을 상징
사단본부대
군수지원대대
공병대대
기갑수색대대
방공대대
정보통신대대
정보대대
화생방대대
의무근무대
군사경찰대
보충중대
여단본부대
제56전차대대(백호대대)
제127기계화보병대대(돌격대대)
제128기계화보병대대(투호대대)
군수지원대대(감호대대)
제11기동사단 예하의 제9기계화보병여단으로 별칭은 투호부대입니다. 11사단의 주력 부대로서 가장 창설이 빠른 역사 깊은 부대인데요.
1946년 11월 제주도 모슬포에서 제9보병연대로 창설 되었습니다. 제9연대는 창설 다음해 3월부터 제주도에 있는 청년들을 모병하여 5백여 명을 충원합니다.
초기 3사단의 모체가 1947년 12월 1일 3여단이었던 부산의 5연대, 대구의 6연대, 제주도의 9연대였습니다.
1950년 선봉으로 9연대가 38도선을 넘게 되었고, 1975년 8월에는 부대개편 및 이동으로 인해 9연대는 12사단 작전지역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여단본부대
제36전차대대(천마대대)
제112기계화보병대대(진격대대)
제129기계화보병대대(충무대대)
군수지원대대
제13보병연대가 전신인 부대입니다. 이 연대는 한국전쟁 초반에 제1보병사단 소속이었고, 임진강과 파주 방어전에서 1개 대대만 남을 정도로 궤멸당했었는데요.
그러다가 5사단 제13보병연대와 합쳐지면서 제15연대는 해체 수순을 밟게 됩니다. 이후 11사단이 신규 창설될 때 그것과 동일한 제13보병연대를 신설함으로서 부활하게 됩니다.
그러나 수도사단 일부가 분가해 만들어진 27사단처럼 원래 13연대 장병들이 분가해 만들었거나 창설에 참여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접점이 거의 없습니다.
즉, 1사단 시절의 13연대와 11사단 시절인 지금의 13여단과는 완전히 별개의 부대라는 의미입니다.
여단본부대
제12전차대대(질풍대대)
제108기계화보병대대(철마대대)
제111기계화보병대대(무적번개대대)
군수지원대대(비전대대)
6.25 전쟁이 한창이던 1952년 11월 8일 강원도 양양에서 제58보병연대로 창설되었고, 이후 1953년 2월 7일 제61보병여단으로 개칭. 1953년 2월 9일 제20보병사단 창설 과정에서 예속됩니다.
그러다 1978년 경기도 연천군에서 양평으로 부대이동을 하고, 1981년 차량화보병연대로, 1983년 기계화보병연대로 개편됩니다.
그러다 2019년 제20기계화보병사단이 해체되면서 제11기계화보병사단으로 개편 및 배속됩니다. 현재 20사단 유일한 존속 여단이기에 결전여단으로 개칭되었습니다.
여단본부대
제55포병대대(청룡대대)
제78포병대대(승리대대)
제91포병대대(백호대대)
제955포병대대(흑룡대대)
다련장사격대(천무대대)
20사단 포병여단이 통합사단의 포병여단으로 선정되면서 구 11사단 포병여단은 해체되고, 예하 전 포병대대가 모두 K-9 자주포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제11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인 포룡부대가 있었으나, 예하에 있던 모든 포병대대가 20사단 예하의 포병대대와 통합되게 됩니다.
또한 20사단의 포병대대였던 제20포병대대 역시 해체 수순을 밟게 되고, 그렇게 20사단의 포병여단과 통합되면서 지금의 11기동사단 포병여단이 되었습니다.
1대 최덕신 준장
2대 오덕준 준장
3대 임부택 준장
4대 유흥수 준장
5대 이춘경 준장
6대 이상철 소장
7대 최세인 준장
8대 최우근 소장
9대 조정연 준장
10대 황종갑 소장
11대 이세규 준장
12대 김세돈 소장
13대 강영석 소장
14대 황의철 소장
15대 장광돈 소장
16대 전제현 소장
17대 리병구 소장
18대 권영욱 소장
19대 라병선 소장
20대 이중형 소장
21대 김동식 소장
22대 한광덕 소장
23대 장성득 소장
24대 길영철 소장
25대 오윤석 소장
26대 오치운 소장
27대 박진 소장
28대 김정일 소장
29대 김근태 소장
30대 김시원 소장
31대 박성규 소장
32대 류제승 소장
33대 김철수 소장
34대 홍병기 소장
35대 조영진 소장
36대 박주경 소장
37대 김태성 소장
38대 강신철 소장
39대 박후성 소장
대한민국 육군 상비사단 중에서 3개 밖에 남지 않는 기동사단 중 하나로서, 7군단 예하로 동부전선에서 기동사단의 임무를 띄고 있는데요.
여러분들은 11사단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