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노더 Sep 13. 2019

24세기엔 돈이 존재하지 않는다

돈이 없어진 세상에선 무엇이 가치를 지니는 것일까?

자, 이 글을 읽는 5분 동안이라도 잠시 행복한 상상을 해보도록 하자.


"미래 경제는 현재와 약간 다르단다. 24세기엔 돈이 존재하지 않아."
"돈이 없다고요? 그럼 급여는 뭐로 받아요?"
"부를 얻는 것은 더이상 삶의 원동력이 아니야. 우리는 자신과 나머지 인류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한단다."
- 스타트렉(Star Trek) 中


USS Enterprise호의 대머리 캡틴 장 뤽 피카드(Jean-Luc Picard)는 시간 이동을 하여 24세기에서 21세기 세상에 도착한 후 한 사람에게 위와 같이 말했다.

USS ENTERPRISE호의 대머리 캡틴 장 뤽 피카드

하고 싶은 것을 할 수 있고, 갖고 싶은 것을 가질 수 있고, 가고 싶은 곳을 갈 수 있는 세상. 불가능할 것이라 욕할 이유도 없다. 어차피 드라마이기 때문이다. 1966년에 미국 드라마로 처음 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 인기 SF 프렌차이즈인 스타트렉의 세계관에서는 돈이 존재하지 않는다.


경제는 크게 2가지에 대한 것이다: 생산과 소비. 즉, 한정된 자원과 무한대의 소유욕을 관리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요와 공급을 관리하기 위한 도구 가운데 하나가 돈이다. 인류 역사를 살펴보면 모든 것은 결국 한정된 자원, 즉 희소성에 대한 경쟁이었다. 이를 위해 일하고, 저축하고, 투자하며, 심지어 전쟁까지 한다.


"지난 300년간 매우 많은 것이 변화했다. 사람들은 더이상 물건에 집착하지 않는다. 굶주림도 없고, 소유욕도 없으며, 소유의 필요성도 없다."
- 스타트렉 中


과연 희소성이 사라진 세상은 어떤 세상일까. 스타트렉의 배경은 우주이다. 지구는 자원이 한정되어 있지만, 우주는 무한대나 마찬가지이다. 또한, 스타트렉에선 물질재조합장치(Replicator)란 물건이 존재한다. 입력만 하면 무엇이든 뚝딱 만들어낸다. 이로 인해 물건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무의미해진 것이다. 그렇다면 그들의 세상에선 무엇이 가치를 지니는 것일까?


바로 평판과 신뢰이다. 스타트렉은 평판 기반의 경제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스타트렉의 노동 시장에선 돈이 아닌 공로 인정과 평판으로 보상받는다. 스타트렉에서 희소성을 갖는 것은 돈도, 물건도 아닌 바로 캡틴의 자리이다. 그리고 그 캡틴의 자리까지 올라가기 위해서는 개인이 직접 평판과 신뢰를 쌓고 자신의 가치를 입증해야 한다.


평판과 신뢰를 기반하여 가치를 평가한다는 것은 매우 유토피아적 생각처럼 보일 수 있다. 평판과 신뢰 그리고 가치, 셋 다 블록체인을 공부하다 보면 자주 접하게 되는 단어들이다. 이 셋을 유용하게 결합한다면 흥미로운 프로젝트가 나올 것이다. 트웰브쉽스(TSHP)도 이순신 장군님의 후광을 얹고 업비트에 상장하는 이 시국에 무엇이 불가하리.



평판과 신뢰는 더이상 누군가가 보장해줄 수 없다


우리는 처음 만나는 사람을 신뢰할 수 없다. 사람뿐만이 아닌 처음 보는 모든 것을 신뢰할 수 없다. 불확실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즉, 해당 주체의 평판을 측정할 수 없다는 이야기이다. 해당 주체가 어떠한 방향으로 행동할지 모르기 때문에 신뢰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항상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만 일을 진행시켜줄 외부의 개입을 필요로 하고 원하고 있다.


"인간은 서로에 대한 불확실성을 줄이는 방법으로 제도라는 시스템을 창안해왔다."  
- 도글라스 노스 


제도란 무엇인가. 법, 은행, 정부, 회사가 모두 제도에 속한다. 제도는 신뢰를 쌓기 위해 만들어졌다. 모르는 사람 간에 신뢰가 있을 수 없기 때문에 사회가 공통된 것을 신뢰하도록 만든 것이다. 신호등을 보자. 사람들이 신호등 색깔을 지키지 않을 경우 신호등 제도에 대한 신뢰가 무너져 초록불이라도 마음 놓고 건널 수 없을 것이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도 신호등의 색깔대로 행동하리라 기대하고 신뢰한다.


제도 기반의 미디어는 애초부터 믿지 못했다

이렇게 제도 기반의 신뢰는 주어진 권한을 통해 덤으로 얻어진다. 기존 공중파 방송사 및 언론사들은 신문법에 의해 권한을 부여받아 신뢰를 딛고 시작했다. 허나 현재 공중파 방송사와 대형 언론사를 신뢰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존재하는가. 법으로 규정한 권한에 기대서는 더이상 평판과 신뢰를 얻을 수 없다.


제도 기반 신뢰는 권환, 지위, 그리고 규모로부터 생기며, 제도에 의해 주어진다. 또한, 그 결과는 권력의 위계 구조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네트워크 기반의 신뢰는 투명성, 체험, 그리고 평판으로부터 생기며, 상호작용을 통해 얻어진다. 그 결과는 평판의 네트워크로 이어진다.



신뢰의 기술에 생긴 신뢰 문제


오라클 문제는 블록체인의 난제로 꼽힌다. 블록체인상에 올라온 데이터는 위변조가 매우 어렵지만, 외부에서 블록체인으로 유입되는 데이터는 항상 신뢰할 수 없다. 신뢰의 기술이라고 하지만 결국 또다시 신뢰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스마트 컨트랙트가 많은 분야에 사용될 수 있으나, 현재 대부분의 사용처가 ICO뿐이다. 기존에는 중앙화된 주체만 신뢰했으면 됐지만, 블록체인의 오라클인 경우엔 다르다. 여러 오라클 솔루션이 존재하지만 공통된 점은 블록체인 외부에서 발생한 결과물을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현재도 오라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솔루션이 존재하지만, 대부분이 겪고 있는 문제는 비슷하다. 하나의 주체가 스마트 컨트랙트에 데이터 입력을 제어하는 경우, 해당 주체가 스마트 컨트랙트의 응답과 행동을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갖게 된다. 오라클 문제를 탈중앙화를 통해 해결하려 해도 잘 설계되지 않은 인센티브 매커니즘으로 인해 높은 품질과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보장하기가 매우 어렵다.



평판은 무형 자본이다


청나라 최고의 거상이라 불리는 호설암(胡雪岩)은 다음과 같이 말한 바 있다.


"경영의 세계에서는 우선 평판을 잘 쌓아야만 사업을 번창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거대한 부를 축적할 수 있다." 


성공한 경영자들 사이에선 “평판을 얻으면 돈이 따른다”라는 말이 회자될 만큼 개인에게, 그리고 기업에게 좋은 평판이 불러오는 가치는 엄청나다. 금전적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들이 왜 사회적 책임을 내세우며 후원하고, 기부하고, 봉사하겠는가. 결국 그 평판이 나중에 더 큰 가치가 될 것임을 인지하고 있는 것이다.


평판과 신뢰, 그리고 가치에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존재한다. 밴드 프로토콜(Band Protocol)은 웹 3.0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데이터 거버넌스 프레임워크라는 슬로건을 내세우며, 커뮤니티 기반의 데이터 제공자를 통해 스마트 컨트랙트와 오프체인 데이터를 연결하는 오라클 솔루션이다.


밴드 프로토콜 구조에 대한 요약이다. 다양한 종류의 커뮤니티가 모여서 데이터를 제공해주는 것을 볼 수 있다. 출처: BAND PROTOCOL WHITEPAPER

위 표와 같이 데이터마다 해당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공자가 모두 다르다. 데이터 제공자는 커뮤니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데이터 거버넌스 그룹이라 칭하고 있다. 각 데이터 거버넌스 그룹은 그룹마다 각기 다른 커뮤니티 고유의 토큰(데이터 셋 토큰)을 보유한다. 모든 그룹이 동일한 토큰을 사용할 경우, 조작을 위한 매수가 보다 쉽게 발생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보안 및 신뢰성이 취약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데이터 거버넌스 그룹은 본인들의 커뮤니티 토큰에 대한 수요 증가 이외에도 긍정적인 평판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암호화폐 거래소가 네트워크에 유효한 최신 가격 정보를 제공한다면 분산된 생태계를 지원한다는 긍정적 평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긍정적 평판은 해당 그룹, 그리고 해당 그룹의 토큰에 부가 가치를 불러온다.


밴드 프로토콜은 스타트렉과 유사한 면이 많다. 생태계 발전에 도움이 되는 행위를 함으로써 자신의 평판과 신뢰를 쌓고, 그 평판과 신뢰가 곧 가치를 생산하는 것이다. 이 글에선 개념적인 측면으로만 다뤘으나, 밴드 프로토콜은 기술적으로나 경제 구조적으로나 매우 흥미롭다. 밴드 프로토콜이 평판과 신뢰, 그리고 잘 짜인 인센티브 시스템을 통해 오라클 문제를 완화하고, 진정한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을지 기대된다.



본 콘텐츠는 블록체인 인사이트 미디어 '노더'에 기고된 글입니다.

https://noder.foundation/band-protocol-1/

작가의 이전글 예술과 과학이 만나다: 미디어 아트에 녹아든 블록체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