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일상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타샤 Jul 25. 2022

여전히 모르겠다.

답을 아는 날이 오긴 할까.

D-28.

졸업이 코 앞이다.


"하기 싫으면 하지 말자."라고 마음먹은 근 3주 동안

최대한 공부와 멀어졌다.

급한 일이 없고,

노력의 결과가 오히려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음에서 오는 

공허함과 분노 그리고 무력함은 

아스트로 덕질을 시작하면서 즐겁게 메꿔졌다.


나를 갉아먹는 분노, 불안, 공포, 좌절에서 좀 멀어져서 

생각해보아도, 

여전히 지난 2년 동안

나를 미치게 만들었던 그 사람의 행동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 


왜 가르치지 않으면서

남에게 가르침도 못 받게 하지?

그것은 대체 무슨 심보인가?

질문을 하면 질문하지 말라고 하면서, 질문을 안 하면 눈치를 주고. 

요구 기준은 누구와 비교해도 기가 차도록 높다.

수정도 한 번에 완벽해야 하고.

그럴 줄 알면 내가 석사겠냐. 

포닥이지. 


누군가는 <Whiplash> 아니냐는데.

글쎄. 진절머리가 나는데 무슨 

그냥. 

버티니깐 어디까지 하는지 보자고

때리는 거였겠지.

  

그렇게 지나간 시간들이 너무 아깝다. 

싫으면 내버려 두던가. 

그 시간에 다른 교수님들에게 배웠거나,

눈치 보지 않고 협업을 할 수 있었으면 

퍼블리싱도 더 많이 하고, 내 정신 건강도 훨씬 나았을 것이다. 


이미 지나갔지만, 

그럴 수도 있지 않았을까 하는 가정이 너무나 생생해서

분노가 여전히 사그라들지 않는다. 


더불어,

더 이해가 가지 않는다.

왜 쓸데없이

교수가 돼서 석사 나부랭이의 발목을 잡는단 말인가?

'지가 갖기는 싫으면서 남 주긴 아깝다'는 사람이 내가 될 줄은 정말 꿈에도 몰랐다. 


나라면, 

그럴 시간에 내 연구나 할 텐데.

지금은 제자여도 동료가 될 텐데. 

정말 시간 낭비가 아닌가. 


이쯤 되면, 그 사람의 서사는 궁금하지가 않다. 

나한테 무엇을 느꼈든, 누구를 보고 있든, 

그것은 내가 관여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고

그렇게까지 가까이 알고 싶지도 않다. 


세상은 넓고 인간은 다양하지만,

내가 궁금한 것은 행동의 동기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이다.

괴롭혀서 얻는 게 뭐였을까?


순간의 화풀이로 인한 만족?

다른 학생들에게 관찰학습시키기?

감정 쓰레기통?

능력 있으나, 점점 더 박사에 관심이 없어지는 제자?

소통이 안 된다고 화내면서도 피드백을 주지 않아서 더 이상 묻지도 않는 학생?

다른 교수님의 호의적인 가르침에는 날이 선 반응을 보여 학생 고립시키기?

결과적으로 학생의 잠수?

이 분야에서도 벗어날까 고민 중인데?

아, 그게 목적인가?

그건 아닌 거 같고, 그래서 더 알 수가 없다. 


본인이 나에게 하는 행동을 못 알아차렸다면,

이 분야에 있을 자격이 없고,

내 탓으로만 돌려도 자격이 없고.

 

어떤 이유를 고려해도 

나의 의문은

싫으면 그냥 무시하면 되지 않나?

왜 굳이 에너지를 쏟을까?


상투적으로, 

사랑의 반대는 무관심이다. 

쉬이 넘어갈 일을 왜 끊임없이

긁어 부스럼을 만드는지.

왜 최소한의 사회적 예의도 내겐 보이지 않는 건지.


선별적으로 누군가를 대하는 것 자체가

더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일이 아닌가?


참 모르겠다.

내게는 그게 더 노력을 요하는 일이고,

개인적으로 싫으면 깔끔하게 무시하는 편이라서 그런 지.

도무지 알 수가 없다. 

여전히.


아마 계속 모르지 않을까. 


만나서 너무 더러웠고,

앞으로 연락할 일이 없으면 

참으로 고맙겠다. 





매거진의 이전글 곧 끝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