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상생활 간호 회화 편
*간조사: 간호조무사. 조무사라고도 부른다. Nurse assistant의 줄임말로 NA라고도 부른다. AN(assistant nurse)라고 적는 사람도 있는데 잘못된 표현이다. 이들은 간호사가 아니다.
*구조사: 응급구조사. ER에 상주해 계시는 분이다.
*국시: 국가고시의 줄임말.
*권고사직: 사용자 측에서 근로자에게 퇴직을 권유하고 근로자가 이를 받아들여 사직서를 제출하는 형식을 통해서 근로관계를 종료하는 것을 의미한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기송관: 권역응급의료센터로 선정된 곳에는 랩을 쏘아서 올릴 수 있는 배관(?)이 있다. 진단검사의학과까지 번거롭게 갈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기졸자: 졸업하고 나서 1년 이상의 공백기를 가지고 취업하는 경우
*나잘프롱(nasal prong): 코에 끼워서 산소를 주입하는 것.
*연차: 짬밥. 보통 신규를 1년 차라고 말한다. ex) 너 몇 년 차야? -> 이럴 때는, 일 년 차요,라고 말하기보다는 죄송하다고 먼저 말하는 것을 추천한다. 진짜 몇 년 차인지 궁금해서 묻는 것이 아니다. 화나니까 저렇게 말하는 것이다.
*나오데: night -> off -> day 순환 근무를 말한다. 최악의 근무표다. 자매품으로 나오이(night off eve)도 있다. 그나마 나오이는 좀 낫다.
*나이트(night): 야간반. 시간은 병원마다 다르다.
*노티(notify): 환자에게 abnormal 한 증상이 생기면 레지던트나 교수에게 말하는 것을 노티 한다고 한다.
*단독: 수혈 혹은 노르핀과 같은 중요한 승압제는 일반 인잭과 같은 라인에 주면 안 된다. 그래서 그들만 전용으로 들어갈 수 있는 라인을 하나 더 잡는데, 그걸 단독 라인이라고 한다. 단독으로 들어간다, 라고들 한다.
*대병: 대학병원
*데이(day): 아침반. 시간대는 병원마다 다르다
*독립: 트레이닝 기간을 마치고 혼자서 간호업무를 하는 것. 독립 초반에 제일 많이 혼난다.
*동기: 나와 같은 년도에 입사한 사람을 일컫는다. 2016년 11월에 입사한 사람과, 2017년 3월에 입사한 사람은 동기가 아니다.
*동기 태움: 나보다 몇 달, 혹은 며칠 먼저 들어온 동기가 나를 깔보고 괴롭히는 것을 말한다.
*듀티(duty): 개인마다 나오는 근무 번. 보통 오프가 없거나 nod가 많으면 안 좋다고 보면 된다. ex) 이번 달 듀티 안 좋아
*드렁큰(drunken): 주취자. 술 먹고 길바닥에 쓰러진 사람을 경찰이나 소방관이 응급실에 냅다 두고 간다. 진상 뒤 치타 꺼리는 오로지 간호사의 몫. 개인적으로 이렇게 살지 말자. 무분별하게 술 마시는 당신네들 때문에 다른 환자 볼 시간 줄어든다.
*디스텐션(distension): 복부팽만
*디스컨넥/디스커넥(disconnect): 연결이 끊어지는 것. ex) 라인 디스컨넥됐어=주삿바늘 빠졌어
*디씨(D/C): discount의 줄임말. 의사가 약을 그만 주자고 말하거나, 환자가 expire 하면 남은 약을 약국에 반납해야 한다. 이 작업을 디씨라고 부른다. 응용하자면, 디씨 약=약국에 반납해야 할 약, 이 되겠다.
*디티(DT): delirium tremer. 진전 섬망. 주로 알코올 중독자의 금단증상으로 나타난다. ex) 디티 떴어
*라운딩(rounding): 의사가 병동 전체를 돌며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 회진이라고도 부른다.
*라인(line): 주삿바늘
*라테랄(lateral): 환자를 옆으로 눕히는 것을 말한다. ex) left lateral=환자의 몸을 왼쪽으로 향하게 해서 눕히는 자세.
*랩(lab): 피검사
*레스트레인(restrain): 억제대
*레지던트: 인턴과정을 이수한 사람 또는 보건복지부 장관이 이와 동등하다고 인정한 사람으로서 일정기간 수련병원 또는 수련기관에 전속되어 전문과목 중 1과목을 전공으로 수련하는 사람을 말한다. 병원에서는 흔히 레지던트 일 년 차(R1), 이 년 차(R2),라고 부른다. 줄여서 레지라고도 한다.
*로딩(loading): 수액 주입 속도를 가장 빠르게 하는 것. 풀 드립(full drip)이라고도 한다.
*로컬(local): 외래
*루멘(lumen): 도관. c-line도 두 갈래로 갈라지는 2 lumen과, 세 갈래로 갈라지는 3 lumen이 있다.
*루틴(routine): 정해진 업무. 예를 들어 중환자실에는 한 시간마다 바이탈을 해야 한다. 그럼 루틴으로 바이탈을 해야 한다,라고도 말할 수 있다.
*리거지(regurge): 라인을 잡고 나서 바늘이 혈관에 잘 들어갔는지 확인하기 위함. 주사를 당겨서 피가 나오는지 확인하는 것.
*리무브(romove): 제거하는 것. ex) 라인 리무브 해=주삿바늘 제거해, self remove=환자가 스스로 라인을 제거하는 행위
*리퓨즈(fefuse): 거절하다. ex) 소노 리퓨즈했어= 초음파 검사 거절했어
*멘탈(mental): 환자의 의식 수준을 사정하는 것. alert, drowsy, stupor, semicoma, coma가 있다.
*모토: motor power의 준말.
*면담: 고충이 있어서 수간호사와 둘이서 대화하는 것을 말하는데, 보통 사직 면담이 많다.
*무명남/무명녀: er이나 np의 장기환자에서 볼 수 있음. 훼손이 심하거나 신원을 파악할 수 없어서 환자 이름 대신 임의로 부를 수 있도록 호칭을 정한 것임. 말 그대로 이름을 알 수 없는 남자, 혹은 여자를 일컫는 말.
*바이탈 사인(vital sign): 줄여서 V/S이라고 적는다. 바이탈이라고 부른다. 이건 간호사 생활을 하면서 가장 많이 보고, 듣고, 하는 것이라 단언한다. 혈압(Blood Pressure, BP), 체온(Body Temperture, BT), 맥박(heartrate, HR), 호흡(Respiration, RR)을 말한다. ex) 바이탈 좀 해줘
*바틀(bottle): 피검사나 기타 검체물을 담는 병.
*벤틸레이터(ventilator): 인공호흡기
*빅 파이브(big 5):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성모병원, 신촌 세브란스병원
*빽 봐준다: 뒤(back)에서 선배 간호사가 후배 간호사의 에러 사항을 교정해주는 것을 말한다.
*사직: 병원을 그만두는 것.
*삼차 병원(3차 병원, 상급종합병원): 20개 이상의 진료과목과 각 진료과 목마다 전속하는 전문의를 두고 중증질환에 대하여 난이도가 높은 의료행위를 전문적으로 하는 종합병원 중 소정의 요건을 갖춘 경우.
*석션: suction. 가래 빼는 것.
*센스: 환자의 라인이 퉁퉁 부어 있는 데다가, 마침 랩까지 해야 한다면 라인을 잡으면서 피도 같이 뽑는 것을 센스가 있다고 말한다. 말로 뭐라고 설명하기 어렵다. 일머리라고도 부른다. 일머리가 있다=센스 있다
*수선생님: 수간호사
*슈파인(supine): 앙와위
*신규: 신규 간호사. 보통 입사한 해가 끝나기 전까지 신규라고 한다. 쫄(졸병)이라고 부르는 곳도 있다. ex) 16 신규=2016에 입사한 신규
*스테이블: 특별한 이벤트 없이 무사히 근무를 마치는 것. ex) 오늘 스테이블 했어?
*스프린트: 아침 9시~오후 6시 근무. 공무원 근무하는 시간대라고 생각하면 된다.
*싱글: 혼자 다는 것. ex) 이 플루이드 믹스 안하고 싱글로 달거야? = 이 수액에다가 뭐 안섞고 그냥 다는거지?
*쓰리 포지션 비피(3-position BP): 기립성 저혈압을 진단하는 기준이 된다. supine(앙와위), sitting(앉아서), eract(직립의) 자세로 V/S를 측정한다.
*아이오(intake and output): 밥을 먹거나, 수액을 맞는 등 몸에 들어가는 건 인테이크. 소변을 보거나 드레인으로 나오는 걷는 아웃풋. 상당히 중요하다. intake가 많은 것을 positive, output이 많은 것을 negative라고 한다.
*아이오 네거티브(I/O negative): 나온 양이 들어간 양보다 더 많은 경우. ex) 수액 주입량보다 소변이 더 많이 나온 경우
*아이오 포지티브(I/O positive): 들어간 양이 나온 양보다 많은 경우. ex) 밥을 먹거나 수액을 맞은 것보다 소변량이 적을 때
*안티(antibiotics): 항생제
*암 세이브(arm save): 팔을 사용하지 말자는 뜻. 유방암 환자나 투석 환자는 절제 수술이나 동정맥루 시술을 한 팔에 혈압을 측정하거나 라인을 잡아서는 안된다. ex) Rt arm save=오른팔을 사용하지 마라
*압뻬(Appendicitis): 충수돌기염
*에이에스티(AST, after skin test): 항생제 알레르기 반응 검사. ast 15분 후 피부에 부종, 발적이 없는 상태인 negative라면 anti를 줘도 된다.
*엘리베이션(elevation): 올린다는 뜻. ex) BP 낮은 사람에게 leg elevation 한다 = 혈압 낮은 사람에게 침대의 다리 부분만 올린다(혈류가 심장 쪽으로 향하므로 혈압이 오른다)
*연차: 연차랑은 다르다. 1년 일하면 15일간 쉴 수 있는 날을 준다.
*액팅(acting): 인잭, lab 등 환자에게 필요한 간호를 직접 수행하는 것. 보통 신규 간호사나 아랫년차가 하는 것.
*오더(order): 의사 처방. verbal order=구두 처방
*오더를 거른다: 의사의 잘못된 처방을 노티 해서 수정하는 행위
*오버타임: 초과 근무 시간
*오프(off): 쉬는 날
*오피(operation, OP): 수술. ex) GS OP=신경외과 수술
*올드: 임상에서 오래 일한 사람. 개인적으로 육 년 차부터 올드라고 생각한다.
*옵쎄하다: obssesive에서 온 말인데, 강박적이고 깐깐한 사람을 말한다.
*옵절베이션(observation): 관찰하자, 라는 뜻. obs라고 적는다. ex) bp 90인데요 -> observation 해요
*우징(oozing): 삼출물
*웨이팅(waiting): 보통 대학병원에 발령 나는 경우, 3월에 바로 입사하는 것이 아니라 대기해야 하는 기간이 있는 경우가 있다. 길게는 1년 넘게 기다리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이를 웨이팅 한다,라고 말한다. ex) 나 아직 웨이팅 중이야
*요양: 1) 요양병원의 준말. 2) 요양하고 싶다(=쉬고 싶다)
*응급 사직: 무단결근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 못 하겠다고 전화통보를 하고 나서는 안 나오거나, 잠수를 타는 경우도 있다.
*의전: 의학전문대학원
*이리게이션(irrigation): 세척 ex) foley irrigation
*이리터블(irritable): 해석하면 짜증을 내는, 화가 난, 이라는 뜻이지만 여기서는 난동 피우는 진상을 일컫는다. ex) irritable 해져서 라인도 self remove 했어!
*이벤트(event): cpr, expire 등 병동 내에 일어난 주요한 사건을 일컫는다.
*이브닝(evening): 오후반. 시간은 병원마다 다르다.
*이차 병원(2차 병원, 종합병원): 의료법에 따라 100개 이상의 병상(病床)과 7개 또는 9개 이상의 진료과목, 각 진료과목에 전속하는 전문의를 갖춘 제2차 의료급여기관을 말한다.
*인계: 내 뒤에 근무하는 간호사에게 환자 상태를 말하는 것. 인계를 못 주면 뒷 근무에 차질이 생긴다.
*인헌스(enhance):enhancement. 조영제가 들어가는 CT나 MRI를 enhance CT, enhance MRI라고 한다. 자매품으로는 non enhance가 있다. 이건 조영제가 들어가지 않는, 이라는 뜻이다.
*익스파이어(expire): 환자가 임종을 맞이한 경우를 말한다.
*인잭(injection): 오더대로 주사 주는 것. IM, IV, SC 등이 있다.
*인폼(infirm): 인폼(인펌)준다라고 흔히 말한다. 영어단어 뜻 그대로 알리다라는 뜻. 노티하다랑 같은 뜻이다. ex) OOO 교수님에게 인펌을 줬는데요~
*인턴: 전공의라고도 한다. 의대 졸업 후 병원의 각 부서에 일 년간 돌면서 수습생활을 하는 의사를 말한다. 줄여서 int. 이라고도 쓴다.
*인턴 잡(intern job): 인턴이 하는 일. abga, L-tube insert 등이 있다. 보통 전화로 말하면, 인턴이 와서 해당 일을 한다.
*임신순번제: 간호사들이 같은 시기에 임신하면 업무에 차질이 생긴다는 이유로, 병동 내에서 순번을 정해 돌아가면서 임신·출산하는 것을 뜻한다. 병원의 만성적 간호인력 부족 문제가 낳은 기형적인 관리 체계다. (출처: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310&aid=0000058374)
*잡일: 간호사가 간호사 업무만 한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여사님이 계시지 않는다면 박스 버리기, bed 닦기, 시트 깔기, 사용한 물품 설거지하기, 물품 채우기, 등은 오로지 간호사의 몫이다.
*종병: 종합병원의 준말
*진검: 진단검사의학과
*차지: 액팅 때는 컴퓨터에 앉아서 액팅 시키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했는데, 막상 해 보니 전산업무, 잘못된 오더 걸러내기, 교수 회진 커버하기 등 할 일이 어마어마하게 많은 포지션.
*차팅: 간호업무를 시간 순서대로 기록해 놓는 행위.
*커버(cover): 안티를 커버한다=항생제를 준다, 회진을 커버하다=교수님 회진 시 환자 상태를 말하거나 abnormal 한 것을 보고하는 것
*컨넥(connect): 수액이 다 들어가고 나서, 같은 수액을 그대로 연결하는 것을 말한다.
*컨타: contamination의 준말. 이러다가 컨타되겠네, 라고들 많이 한다.
*컬처(culture): 배양 검사. blood culture=혈액 배양 검사, urine culture=소변 배양 검사
*킵하다(keep 하다):
1) (환자가 무언가를) 지니고 있다
ex) foley keep=폴리 카테터를 가지고 있다
2) 의료진이 환자 옆에 대기하고 있는 것
ex) 환자 transfer 가는 데 인턴 킵해야된다=
환자 이송 가는 데 인턴이 상주하고 있어야 한다
3) 계속 같은 듀티만 하는 것
ex) 나이트 킵 간호사=나이트만 하는 간호사
*클롯(clot): 굳었다 ex) lab clot=혈액검사 나갈 피가 굳었다
*탈간호: 임상간호사에서 탈출하는 것. 임상간호사의 궁극적인 목적.
*테이퍼링: 승압제, O2 등을 한 번에 그만 주는 것이 아닌, 환자의 혈압이나 spo2 수치에 맞춰서 서서히 감량하는 것.
*태움: 재가 타는 것처럼 괴롭힌다는 것.
*트란스퓨전(transfusion): 수혈
*트레이닝: 프리셉터에게 간호업무를 배우는 것. 액팅 트레이닝, 차지 트레이닝이 있다.
*팀 단호: 간호사들이 팀을 짜고 그룹의 환자를 담당해 그룹 환자의 일체의 간호를 행하는 방법이다. (출처: 네이버 간호학 대사전)
*팔럽(f/u): follow up. 재확인하는 것을 말한다. 3일 뒤 NP f/u하자=3일 뒤 정신과 진료 보자. f/u는 기존에 같은 과 진료를 본 사람에게 경과 관찰 개념으로 사용하는 말이다. 암이 전이되었는지, X레이 결과가 좋아졌는지, 피검사 수치가 이전보다 나아졌는지 등등.
*펑쳐(puncture): 한국어로 해석하면 찌른다, 라는 뜻인데 이곳에서는 좀 다른 뜻으로 쓰인다. 혈관이 없어 정맥로 도무지 피검사가 안 되면, abga 하듯이 맥박이 뛰는 곳을 찔러 피검사를 나가는데, 이것을 펑쳐 한다고 한다.
*페일(fail): 의료행위를 하려 했는데 실패했다. ex) c 라인 페일 했다=c 라인 잡으려다가 실패했다.
*포타블: 들고 다닐 수 있는. ex) potable spo2 기계=들고 다니며 쓸 수 있는 산소포화도 측정 기계
*폴 다운(fall down): 환자가 침대에서 떨어지는 것을 말한다. 낙상이라고도 한다.
*폴리(foley catheter): 유치도뇨관
*폴리 트레이닝: 폴리를 바로 제거하면 환자가 적응하지 못하기에 텀을 둔다. 폴리를 잠가둔 상태에서 환자가 요의를 느낀다고 말하면 잠깐 풀어놓는다. 소변을 다 봤으면 다시 잠가놓고, 이 과정을 2~3번 반복하면 foley remove를 한다.
*퓨필(pupil): 동공. 빛으로 동공 반사를 본다.
*프랩(prep, prepare): 해석 그대로 준비해 놓는다는 것. macperan 1 ample 우리 약장에 prep 해라=맥페란 원 앰플 우리 약장에다가 둬라
*프리셉터: 간호업무를 가르치는 선배 간호사. 프셉이라고도 부른다.
*프리셉티: 간호업무를 배우는 후배 간호사
*플루이드: 수액 (N/S 등등)
*피/이(P/E): physical examination의 줄임말로 환자를 전반적으로 살펴봤다는 뜻.
*피케어(P-care): perinium care, 회음부 간호
*펑서널 간호: 환자에 대해서 이루어지는 간호업무를 간호사에게 할당하는 방법이고 간호사는 투약 담당, 처치 담당 등으로 나누어진다. (출처: 네이버 간호학 대사전)
*하이포: 저혈당(hypoglycemia) ex) 하이포에 빠졌다=저혈당인 상태다.
'어렵다, 어려워. 인계에서 이렇게 말을 하던데 무슨 뜻인 지 모르겠어.'
영어회화도 아니고 간호 회화 참 어려우시죠? 한숨만 가득, 한탄만 늘어나고, 물어보면 이걸 몰라? 라며 핀잔만 들을 것 같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채 눈치만 보고 있을 모습이 눈에 선합니다.
왜 이렇게 잘 아냐고요? 저는 신규 간호사 생활만 1년 3개월을 해왔습니다^_ㅠ
여러분들의 힘든 병원 생활에 조그마한 힘이 되어드리겠습니다. 병원 생활을 하다 보면 자주 쓰는 말들을 기억 속에서 끄집어내 봤습니다. 간호사 커뮤니티에서 자주 쓰는 말도 포함시켰습니다. 신규 간호사나, 간호학과 신입생에게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이거 알면 적응하는 데 반은 먹고 들어갑니다, 하하.
병명에 대한 의학용어나 약 이름은 기회가 되면 다른 게시물로 올리겠습니다.
*이게 최종은 아니에요. 생각나면 더 추가하겠습니다.
*불펌은 하지 말아주세요. 하루 종일 고생해서 만든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