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영화평론 이도 Aug 08. 2022

엠마 톰슨의 <굿 럭 투 유, 리오 그랜드>

'섹스 포지티브'에 대하여, 소피 하이드 감독

60대의 은퇴한 종교 관련 학문을 가르쳐온 낸시는 평생 규칙을 따랐고, 스스로 검열하며 살아왔다. 그런 그녀가 남편과 사별  어느  특별한 버킷리스트를 이루려 한다.   번도 섹스에 만족해   없었기에, ‘리오 그랜드라는 젊은 남성의 퍼스널 서비스를 경험하며 새로운 도전을 시도하는 성장 영화이기도 하다. 영화의 대부분은 호텔  안에서 나이든 여성과 젊은 남성의 이야기를 담아낸다. 스펙터클한 비주얼이라던지, 서스펜스의 긴장감이 있는 영화는 아니지만 그들의 상황, 대화만으로도 묵직한 힘이 있는 영화다. 영화로 확인해야만 하는 내용을 제외하고,  밖에서 영화가 가진 힘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싶다.



섹스 포지티브(Sex Positive)

남들의 시선이나 평가에 상관없이 자신의 섹슈얼리티와 젠더를 탐구하고 당당하게 이야기 나누는 삶의 태도를 뜻하는 용어


이 영화에서 가장 주된 키워드이자 목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궁금하고 해보고싶지만 누군가의 시선 그리고 스스로의 검열 속에 입 밖으로 꺼내기조차 민망하게 여겨지던 것들에 대해, 당신을 평가하는 것, 당신을 감시하는 것 모두를 내려 놓으라 말하며 관계 대신 춤과 샴페인을 권하는 리오처럼 영화는 관객에게 성적 탐구와 호기심에 대해 하나하나 이야기를 꺼내본다. 그렇다면 이러한 주제를 다루는 이 영화의 문법은 영상 언어로서 어떻게 작용할까?

1896년부터 2020년까지 175편 이상의 영화 클립을 분석한 니나 멘케스(Nina Menkes)는 2020년 2월 로테르담국제영화제에서 ‘섹스와 권력: 억압의 시각적 언어(Sex and Power: The Visual Language of Oppression)’라는 주제로 할리우드의 영화 기법이 여성 혐오 문화를 강화하기 위해 어떻게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는지에 대해 강연한다. 니나 멘케스의 강연을 바탕으로 지금까지 줄곧 사용되어 여성을 대상화하는 카메라 기술은 크게 5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해당 영화와 관련된 부분만 간략하게 적용하겠다)

1. 시점샷(POV)-남성 주체와 여성 대상

2. 프레이밍-신체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보여주는 

3. 카메라의 무빙-몸을 훑는 듯한 틸트, 패닝 그리고 슬로우 모션

4. 조명-3D 비춰지는 남성과 2D 또는 판타지 조명으로 비춰지는 여성

5. 내러티브 포지션-서사의 흐름  존재

사진 출처: <Brainwashed: Sex-Camera-Power> trailer

1번의 ‘시점샷' 같은 경우는 위 사진과 같이 시선의 대상이 누구인지에 대해 말한다. 영화들은 줄곧 ‘관객-카메라-남성(행위자: Subject)-여성(대상: Object)’의 주체-대상의 시선을 고수해왔다. 또한 젊은 여성의 신체를 보여줄 때는 얼굴이 함께 나오지도 않게 가슴, 엉덩이, 다리 등 신체 일부만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또한 대로는 패님, 틸트로 대상의 움직임보다는 누군가의 시선의 흐름을 따라가는 듯하다. 하지만 <굿 럭 투 유, 리오 그랜드>의 경우, 누군가의 몸을 누군가의 시선을 통해 바라보지 않는다. 또한 은은하고 희미한 조명이 아닌 명확하고 또렷하게 낸시와 리오를 동일하게 담아낸다. 이런 의미들에서 낸시가 자신의 몸을 거울에 비춰 바라보는 모습을 전신으로 담은 카메라는 여성이 주체가 되어 바라보고, 현란한 조명과 촬영 기술 없이 담아냈기에 ‘영상 언어'로서 새로운 문법을 만들어내는 큰 역할을 한 장면이라고 생각한다. 영화의 내러티브뿐만 아니라 카메라 또한 개인의 섹슈얼리티와 젠더를 또렷하게 바라본 덕분에 영화의 본질과 목적은 영화가 끝날 때까지 그 힘을 가지고 갈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영화라는 판에서 영상 언어만큼 중요한 것도 배우일 것이라 생각한다. 이미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2회를 수상한 엠마 톰슨은 연기 40년 차에 처음으로 노출 연기를 한다. “할리우드 남성 관계자들은 내가 노출 연기를 하는데 이상적인 몸매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비판했다.”며 “현실 속 대부분의 여배우는 비현실적으로 말랐고, 보정 없이 있는 그대로의 몸을 보는 건 익숙하지 않다. 이제는 변화가 필요하다. 미디어에서 진짜 몸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고 인터뷰에서 줄곧 말해온 엠마 톰슨은 이번 영화에 대해 “여성의 몸에 쏟아지는 사회의 기대 및 압박에 항상 맞서 왔다. 62 세의 나이에 옷을 벗고 촬영하는 건 힘들었지만, 자연스러운 내 몸을 보여줬다는 것은 이 영화의 성과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연기 경력에 상관없이, 나이에 상관없이 쉽지 않았을 결정에는 여성 감독과 여성 제작진으로 구성되어 충분한 대화를 나누며 장면들을 만들어냈기에 가능했을 거라 생각한다. 이에 대해 엠마 톰슨은 ”리허설을 하며 우리의 몸에 관한 이야기를 많이 했다. 내 몸과 서로의 몸에 대해 좋아하는 점, 싫어하는 점, 불안한 점 등에 대해 이야기 나누면서 점점 편안해졌다.”라고 말했으며 감독 또한 “이야기의 본질적 특성상 노출 장면을 촬영하는 데 있어 서로 계속해서 소통하고 상의하고 실험하며 발전시켰다.”며 작업 과정에 대해 직접 말한 바 있다. 최근 많이 알려진 벡델 테스트 외에, 더 리프레임 프로젝트(The ReFrame Project)와 영화 전문 사이트인 IMDB Pro와 파트너쉽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작진 중 절반 이상 여성을 고용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수여하는 ‘리프레임 스탬프'는 이미 넷플릭스 시리즈 <브리저튼>, 그레타 거윅의 <레이디 버드>, 에머랄드 펜넬의 <프라미싱 영 우먼>등의 작품에게 제공된 바 있다. <굿 럭 투 유, 리오 그랜드>또한 ‘리프레임 스탬프'를 획득하며 영화 산업계 전반에 걸쳐 카메라 안팎의 여성을 위한 기회를 확대하는데 큰 몫을 하기도 했다.

우리는 나이든 남자와 젊은 여자를 보는 데에는 익숙하지만 나이든 여자와 젊은 남자가 함께 있는 모습에는 익숙하지 않다. 특별한 부류의 여성이 아니고, 젊고 비현실적인 몸매의 여성이 아니고, 자유롭게 성적 탐구를 할 것 같지 않은 평범한 여성에 대해 명확한 내러티브와 그에 맞는 또렷한 카메라의 시선이 함께 이루어졌기에 개인의 섹슈얼리티에 집중하고, 젠더에 대해 탐구해 가는 새로운 영상 언어의 역사를 쓰는 작품이라고 볼 수 있겠다.


*본 리뷰는 씨네랩 크리에이터로서 시사회 초청을 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작가의 이전글 양면을 알았지만 여전히 모르겠는 ‘가족’, <코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