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대한민국역사박물관 Apr 04. 2022

빛으로 실감하는 세상, 광화시대 그리고 광화벽화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외벽의 초대형 미디어 캔버스, 광화벽화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광화문 거리는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 국가의 역사·문화·예술의 중심지로 기능하고 있는 공간입니다. 하지만 공간의 현대화가 진행되면서 우리의 일상 속에서 광화문 일대의 문화예술적 가치는 종종 잊혀지곤 합니다. 올해 광화시대 프로젝트가 도입되면서 광화문 일대의 문화 향유 기능을 확대시키고 동시에 콘텐츠산업의 육성까지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데요. 그럼 광화시대, 그리고 그중에서도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외벽을 장식하고 있는 광화벽화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까요?



1. 광화시대
광화원 | 광화수 | 광화인


광화벽화에 앞서 광화벽화를 포함하고 있는 프로젝트, ‘광화시대’에 대해 먼저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광화시대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추진하는 프로젝트로, 광화문일대에 문화·관광 콘텐츠와 5G 실감기술을 결합한 총 8종의 실감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한 것입니다. ‘광화시대’라는 명칭에는 ‘5G가 선사하는 새로운 시대의 빛’을 주제로 빛처럼 빠른, 그리고 따뜻한 빛으로 치유되는 콘텐츠라는 의미가 담겨있습니다. 이에 따라 광화시대는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인공지능(AI), 홀로그램 등 최신 기술을 적용한 실감콘텐츠가 5G 네트워크에서 확산되도록 광화문 일대에 거대한 ‘국민 놀이터’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한국콘텐츠 진흥원은 이를 위해 광화문 일대에 ▷위치기반형 AR 콘텐츠 ‘광화경’ ▷ 실감형 미디어파크 ‘광화원’ ▷실시간 스트리밍 공연 ‘광화풍류’ ▷가상현실 어트랙션 ‘광화전차’ ▷빅데이터 기반 참여형 공공조형 콘텐츠 ‘광화수’ ▷위치기반 실감형 미션투어게임 ‘광화담’ ▷초대형 인터랙티브 사이니지 ‘광화벽화’ ▷지능형 홀로그램 인포메이션센터 ‘광화인’ 등 총 8종의 실감콘텐츠를 기획했습니다. 이렇게 기획된 콘텐츠는 2021년 12월 ‘광화풍류’ 공개를 시작으로 2022년 2월 25일 ‘광화벽화’까지 모두 공개되었습니다. 광화시대에 관한 더 자세한 사항은 광화시대 홈페이지에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2. 광화벽화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광화벽화는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외벽에 설치된 초대형 미디어 캔버스입니다. 이 캔버스에는 인터랙티브 LED 콘텐츠가 담겨있어, 광화문을 방문한 관람객은 외벽에 자유롭게 그리거나 색을 입히는 등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영상컨텐츠 내용은 ▷The Signature (광화문의 상징성을 담은 광화벽화 시그니처 콘텐츠) ▷The Times (바쁘게 돌아가는 광화문 속 시간과 날씨를 알리는 콘텐츠) ▷The Global (광화문에서 만나는 세계적인 미디어아트 콘텐츠) ▷The Story (문화예술이 지닌 치유의 힘으로 광화문을 채워나가는 따뜻한 이야기들을 담은 콘텐츠) 등 총 4가지 테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3. 광화벽화를 더 재밌게 즐기려면?

1) 인터랙티브 콘텐츠 체험하기


광화벽화에 담긴 콘텐츠 중 일부는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콘텐츠(상호작용 영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광화시대 모바일 웹페이지를 이용하거나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마당 곳곳에 부착된 QR코드를 인식하면 콘텐츠에 접속 가능합니다. 누구나 상호작용 영상 송출 시간(매시 10분, 40분)에 맞춰 자신이 지정한 데이터나 나만의 캐릭터 등을 전송하여 이것이 미디어 캔버스에 반영된 모습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2) 해가 진 후 방문하기


회사나 학교에서 빔프로젝터를 경험해본 적이 있으신가요? 빔프로젝터로 비춘 화면을 잘 보기 위해서는 방 안의 조명을 모두 꺼야 하는데요. 미디어캔버스인 광화벽화도 마찬가지입니다. 광화벽화는 LED를 사용하기 때문에 해가 진 후 저녁에 방문하면 좀 더 또렷한, 낮과는 다른 느낌의 광화벽화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3) 측면에서 보기

광화벽화는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외벽 2면에 걸쳐 자리하고 있습니다. 일부 작품들은 캔버스가 2면임을 활용하여 공간감이 드러나도록 만들어져 있는데요, 이런 공간감은 정면보다 측면에서 볼 때 더 분명하게 느끼실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광화문 일대의 문화예술 기능을 높이기 위한 프로젝트인 광화시대, 그리고 광화벽화를 소개해드렸습니다. 참고로 광화벽화는 별도의 준비없이 관람할 수 있지만, 일부 광화시대 프로그램은 사전예약이 필수이니 홈페이지를 꼭 참조해주시길 바랍니다. 취재하는 동안 LED를 통한 화려한 색채와 공간감 덕분에 몰입감 있게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었는데요, 여러분도 광화문을 지나다 잠시 멈추고 광화벽화를 감상해보는 건 어떨까요?






글·기획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한걸음기자단 9기 이예진

참고자료 |

-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179404&cid=43667&categoryId=43667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899375

광화시대 홈페이지 https://www.gwanghwasidae.kr/

사진출처 |

- 한걸음기자단 9기 이예진 촬영본

- 광화시대 홈페이지 https://www.gwanghwasidae.kr/






작가의 이전글 대통령선거 포스터로 보는 대한민국 정치의 민주화 과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