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지나 Oct 23. 2021

재일조선인을 아시나요?

한반도 디아스포라, 재일조선인

재일조선인을 아시나요? 재일조선인이란 일본에 정착하여 일본 국적을 취득하거나 한국 국적을 유지한 채 살고 있는 재일교포(일본에 살고 있는 자기 나라의 사람 *출처:네이버 지식백과)와는 구별되는 개념입니다. 재일조선인은 일본 사회에서 살아가고 있으며 사회주의 국가를 지지하는 조선반도 출신의 조선인들을 말합니다. 복잡하죠? 한반도 출신의 이들은 왜 일본에 살게 되었으며 , 왜 사회주의 국가를 지지하게 되었을까요? 


이들은 누구이며, 왜 일본으로 갔을까? 

조선인이 일본으로 넘어간 시기는 크게 3가지로 분류됩니다. 


1.1910-1930년 일제 강점기 시대 

일본의 조선 식민통치가 시작된 1910년부터 1930년대까지의 시기입니다. 이 시기는 일본의 토지개혁으로 인해 많은 농부들이 땅을 잃어야 했습니다. 농사지을 땅을 잃은 농부들은 일자리를 얻기 위해 일본으로 건너갔고  조선인 대부분은 건설 일용직이나 값싼 공장의 노동자로 일했습니다. 


2. 1940-1945년 전쟁과 일제의 패망

일본의 국가총동원법(1938년에 일본이 전쟁을 수행하기 위하여 인적, 물적 자원을 통제하고 동원할 목적으로 제정한 법률 *출처:네이버 지식백과)으로 인해 조선인들은 강제 연행되어 탄광, 댐 건설 현장의 노동자로 끌려갔습니다. 1945년 일본의 패망 이후 일본에 거주하고 있던 조선인은 약 240만 명이었습니다.  (조선반도 전체 인구는 약 3천만 명)


3.1965년 한일 협정 이후

1965년 체결된 한일 협정 이후 현재까지 유학, 결혼, 취업 등의 형태로 일본에 와서 영주 하게 됩니다. 일반 영주자로서 뉴커머 (new comer)로 불립니다.


3번의 경우를 제외하고 일본으로 넘어간 조선인들은 자신들의 의지에 의한 것이 아닌 사회, 경제적 압박에 의해 반강제적으로 일본에 가게 되었습니다. 그저 '먹고살려고'일본으로 넘어가거나 국가에 의해 강제 연행되어 일본에 가야 했던 조선인들은 해방 이후에도 조선으로 돌아가지 못했습니다. 미군에 의해 실시된 조국의 광복은 진정한 광복으로 보이지 않았고 이는 그들이 자연스럽게 사회주의 공화국 이상을 지지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또한 제주 4.3 사건으로 인하여 다시 일본으로 밀항해오는 동포들이 전해오는 이야기와 이념 충돌의 극대화가 된 한국전쟁이 발발함으로 인해 남한은 더 이상 그들의 조국이 아니었습니다. 이렇게 그들은 사실상 국가 없는 난민 상태로 일본에 정착하게 됩니다. 재일동포 대다수가 북조선의 반제(반제: 우월한 군사력과 경제력으로 다른 나라나 후진 민족을 정벌하려는 침략주의를 반대하는 경향 *출처:네이버 지식백과) 반일 이념에 동조했고 이러한 배경으로 1955년 북조선을 지지하는 재일본 조선인 총련합회 (조총련)이 탄생하게 됩니다.


디아스포라, 재일 조선인

재일 조선인은 식민지 시대 (사회적) 산물로서 일본에 오게 된 존재이자 식민지 시기, 냉전체제, 남북 분단 및 한일관계 등 여러 정치적 상황 속에서 영향을 받아온 한반도의 <디아스포라> 존재들입니다. 이들은 일본 식민지 피해자, 북한의 해외 공민, 일본 사회의 소수자로서 자신의 존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회적 압박에 시달려야 했고 각 상황에 따라 자신의 정체성을 다르게 규정해야 했습니다. 과거 이들을 부르는 용어로는 선인(鮮人), 조선인 노동자, 재내 지선인(在内地鮮人), 내선인, 반도인, 반도 동포, 제3국민 등이 있었고 이는 일본이 단일민족국가라 여기는 일본인들의 차별적 의도가 다분했습니다. 재일조선인들은 당사자들이 스스로 자신의 정체성과 명칭을 규정하기보다는 타인에 의해 정의되는 존재였고 이른바 '비국민'으로서 살아가야 했습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디아스포라(팔레스타인을 떠나 세계 각지에 흩어져 살면서 유대교의 규범과 생활 관습을 유지하는 유대인을 지칭한다. 후에 그 의미가 확장되어 본토를 떠나 타지에서 자신들의 규범과 관습을 유지하며 살아가는 민족 집단 또는 그 거주지를 가리키는 용어로도 사용된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는 유대인뿐만 아닙니다. 조선의 디아스포라 재일 조선인 역시 우리 아픈 역사의 경계인으로서 존재하고 있습니다. 


*참고 문헌

-손애경. "총련계 재일조선인 커뮤니티와 조선학교." 국내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서울

-김명희. "재일조선인 교육에서의 집합적 정체성 형성." 국내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7. 서울

-네이버 지식백과











작가의 이전글 가네코 후미코의 책을읽고 나니,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