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20대 청년들 사이에서 신용유의자(구 신용불량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대출을 제때 상환하지 못해 신용유의자로 등록되며,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2023년 7월 기준,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신용유의자로 등록된 20대 청년의 수는 6만 5천887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2021년 말 기준 5만 2천580명에서 무려 25.3%나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러한 수치는 전체 신용유의자 증가율이 8%에 그친 것에 비해 매우 가파르게 상승한 것이며, 청년층의 경제적 어려움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해석됩니다. 신용유의자는 대출을 3개월 이상 연체하거나, 신용카드 대금 등을 6개월 이상 상환하지 못한 경우에 해당하며, 신용정보원에 그들의 정보가 등록됩니다. 신용유의자로 등록되면 신용카드 사용 정지, 대출 이용 제한, 신용등급 하락 등 금융 생활에서 심각한 불이익을 받게 됩니다. 이는 청년들이 본격적으로 사회에 발을 내딛기도 전에 금융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빠져들게 되는 구조적 문제로 이어집니다.
더욱이 신용유의자가 된 20대 중 대다수가 1천만원 이하의 소액대출을 갚지 못해 연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대 연체자 중 88.1%가 1천만원 이하의 소액 채무를 연체하고 있는 상황이며, 이는 생계비나 주거비와 같은 기본 생활비를 감당하지 못해 빚을 지게 된 경우가 많음을 의미합니다. 7만3천379명의 20대 청년 중 대다수가 소액 연체자라는 사실은 청년층의 경제적 불안정이 심각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소액대출 연체는 청년층이 직면한 경제적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고물가, 고금리로 인해 생활비 부담이 가중되었을 뿐 아니라, 청년층은 제대로 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면서 빚을 갚을 여력이 더욱 줄어들고 있습니다. 특히 청년 취업자 수는 2022년 11월 이후로 계속해서 감소세를 기록하고 있으며, 2023년 7월에는 44만3천명의 청년들이 구직 활동을 포기하고 ‘그냥 쉼’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7월 기준으로 역대 최대 규모로, 청년층이 경제 활동에서 멀어지고 있다는 심각한 문제를 드러냅니다.
20대 청년들은 이제 사회에 첫발을 내딛기 전부터 빚의 굴레에 갇히고 있으며, 그로 인해 신용도가 낮아지고 장기적으로 금융 생활에 큰 제약을 받게 됩니다. 20대 신용유의자가 3년 사이 25% 이상 급증한 것은 청년층의 경제적 불안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는 경고 신호입니다. 특히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소액대출을 이용하는 청년들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는 단순한 소비 생활의 문제를 넘어 주거비, 생활비 등 필수적인 지출을 감당하지 못한 결과입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금융 전문가들은 청년층의 소액 연체가 단순히 금융적인 문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전반의 구조적인 문제와 맞물려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청년들은 경제적 자립이 어렵고, 빚을 지고 나면 신용이 낮아져 더 나은 대출 상품이나 금융 혜택을 받을 수 없는 악순환에 빠지게 됩니다.
이강일 의원은 “저성장과 함께 20대 신규 일자리가 줄어들면서 청년들의 생계 어려움이 소액 연체로 이어졌다”면서 “이러한 청년층의 경제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채무조정이나 금융 지원만으로는 부족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청년들이 빚에 의존하지 않고 자립할 수 있도록 청년 일자리 창출과 같은 거시적 정책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청년 일자리 지원 프로그램의 확충과 사회 안전망 강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청년층의 소액 대출 연체 문제는 단순한 개인의 문제를 넘어서 국가적 차원의 경제 정책으로 다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또한 금융 교육을 통해 청년들이 올바르게 금융 상품을 이용하고, 경제적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결국, 20대 청년들이 빚의 굴레에서 벗어나 안정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사회적 지원과 정책적 대응이 필수적이며, 이는 장기적으로 청년층의 경제적 안정성을 높이고 사회 전반의 건강한 성장에도 기여할 것입니다.
https://www.mytravelnot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