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학준 Jul 31. 2024

양궁으로 보는 문화

그냥 생각

오늘 파리올림픽에서 한국이 양궁 금메달을 획득했다는 뉴스를 얼핏 봤다. 

솔직히 올림픽은 관심이 없어서 몇 개를 땄는지까지는 관심이 없다.


찾아보니 여자양궁은 10연패를 하고 있다고 한다.

나는 왜 꾸준히 오랫동안 성과가 날까? 가 궁금했다.


알만한 사람들은 알겠지만 한국 엘리트 체육업계는 부조리가 심하다. 특히 한국의 유교사상 가스라이팅까지 더해져 무조건 승자와 패자가 나뉘지는 게임인 스포츠에서 예의가 중요시 여겨지는 이상한 풍습이 있다. 

나 초등학생 때만 해도 태권도부 형들은 화장실에서 뒷짐 지고 배를 맞고 그랬었다. 하물며 엘리트 체육업계는 더 심했으면 심했겠지..


뭐 암튼 체육업계엔 그런 풍습이 있다. 내가 올림픽에 관심이 없는 것도 이런 문화를 알고 있기에 성과에 대한 기대가 없어서 일지도 모르겠다. 


나는 왜 그런 문화가 있다고 해서 성과에 대한 기대가 없었으며 그럼에도 양궁은 왜 매년 잘될까?


이 둘의 교집함엔 "문화"가 있다. 


한국 양궁은 문화는 나이 경력 보단 오로지 실력으로 평가를 받는다고 한다. 작년에 잘했다고 해서 내년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가산점을 받거나 하지 않는다고 한다. 오로지 정말 실력으로 국가대표를 선발하는 것이다. 이 시스템은 지극히 평범하게 다른 곳에서도 진행이 된다. 시스템상 차별점은 없었다.


그리고 양궁은

체력 증진과 멘털 강화용 극기 훈련을 없앴다고 한다. 그 이유는 활 쏘는데 그렇게 많은 체력과 멘털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국가에 선수 양성을 지원하다 보니까 사교육의 필요성도 상대적으로 낮다고 한다. 그리고 양궁 특성상 심판의 역할이 거의 필요가 없다. 과녁은 누구에게나 똑같이 보이니 편파판정이 있을 수가 없는 종목이다.


난 여기까지만 들어봐도 이미 뭔가 알 것 같다.


1. 실력주의 문화

2. 불필요한 노동 최소화

3. 공정성 유지


양궁은 경기 시스템상 심판의 역할이 거의 없어 편파판정의 논란에서 자유롭고 그렇기 때문에 실력주의 선발 시스템에서 오롯이 빛을 볼 수 있다. 그리고 굳이 필요 없어 보이는 한국식 힘들게 문화를 안 할 수 있는 협회의 문화가 받쳐줬다. 물론 이 세 가지만 해서 된 건 아닐 거다 양궁 선수들의 피나는 노력이 있었을 거다. 그걸 모르는 건 아니다.


근데 그래서 좋은 문화가 있으면 나쁜 문화가 있는 것과 어떤 점이 달라지는 걸까?


나는 "심리적 안정감"이라고 생각한다. 어쩌면 그게 전부일지도 모른다.

사실 양궁 선수면 활쏘기를 잘하는 게 가장 중요한 일일 텐데 그 외의 선배에게 예의 지키느라 에너지를 쓰고 위계서열 때문에 경직돼 있고 쓸데없이 힘든 훈련을 시키는데 심리적 안정감이 생길 수 있을까? 자꾸 중요한 일 외의 다른 변수들을 만들다 보면 본질을 잊게 된다. 그러니 조직 안에서도 실력은 없지만 사회생활을 잘하는 사람이 나타나는 것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런 사람은 조직에선 사랑받는다. 다만 중요한 걸 잘할 리가 없다.


심리적 안정감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태도 까진 아닐지라도 최소한 실수를 하지 않는 결과를 만들어 낸다. "스키를 탈 때 나무를 조심해"라고 하면 반드시 나무에 부딪히는 것처럼 실수는 긴장한 마음에서 만들어진다. 내가 무조건 실패하지 않으려고 노력할 거야 라는 다짐은 반드시 실패를 만들어낸다. 마치 "내일부턴 꼭 다이어트를 해야지"라는 다짐과 같다.


이걸 일에 적용을 하면 어떨까? 일에 적용해도 완벽한 이론 같아 보인다. 직급을 없애서 실력으로 평가를 받고 

굳이 할 필요 없는 보고 체계를 없애고 누구에게나 차별하지 않고 공정하게 능력에 따른 보상제도가 이루어지는  그런 문화


암튼 양궁처럼 좋은 사례들이 한국의 다양한 조직 안에서의 문화에 영향을 주어 공평하진 않지만 적어도 합리적인 문화가 정착되는 날이 왔으면 좋겠다. 






작가의 이전글 질문 한 번이 어려워서 먼 길을 돌아갔었던 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