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은퇴시켜줘 Nov 21. 2024

빠라빠빠빠 ~ 맥도날드의 진짜 상품은 ?

경험을 파는 공간


우리 동네 맥도날드 매장은 동네에서 제일 좋은 자리에 있다. 


다들 그렇지 않나? 길모퉁이, 대로변, 역 앞... 전국의 모든 맥도날드가 그 동네에서 제일 '잘 보이는' 곳에 있다. 해외를 많이 다녔지만, 이건 어디나 동일해보인다. 




"가장 인상적인 브랜딩 전략을 쓰는 기업이 어딘가?"


위와 같은 질문에 나는 잠시 생각한다. 


애플의 한 입 베어 문 사과? 나이키의 스우시?

그런데 이상하게도 내 머릿속에 가장 먼저 떠오른 건 빨간 배경 위의 노란 M자였다. 맥도날드의 골든아치.


문득 궁금해졌다.

이 패스트푸드점은 어떻게 우리 모두에게 각인되어 '그 곳'이 된 걸까.


골든아치: 도시의 새로운 이정표


첫째, 골든아치의 랜드마크화다. 


흥미로운 건, 맥도날드가 단순히 '로고'가 아닌 '건축물'로 브랜드를 각인시켰다는 점이다. 이건 부동산 전략과 맞물려 강력한 시너지를 만들어냈다. '잘 보이는 위치''잘 보이는 상징물'을 세운 거다.


보통의 기업들은 '좋은 상권'을 찾는다. 유동인구가 많고, 접근성이 좋은 곳. 하지만 맥도날드는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갔다. 그들은 '시각적 지배력'을 가진 위치를 선점했다.


물론 땅값 비싼 서울의 중심가에는 이런 거대한 아치를 보기 힘들지만, 지방만 가더라도 빨간 배경에 노란 아치가 제일 먼저 눈에 들어온다. 


경험 공간의 혁신적 설계


둘째, 경험 공간의 설계다. 단순한 놀이공간이 아닌, 가족 단위 고객을 위한 종합적인 경험 설계였다.


아직도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나는 어렸을 때부터 해피밀과 그 광고들이 기억에 참 많이 남는다. 


해피밀은 이 전략의 물리적 증거다. 

단순한 어린이용 메뉴가 아니라, 브랜드 경험을 패키징한 상품이었다. 장난감은 단순한 사은품이 아닌, 아이들의 기억 속에 맥도날드를 각인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했다.


매장 설계에서도 이런 전략은 계속된다. 놀이터, 편안한 좌석 배치... 이 모든 것이 '가족의 시간'을 위한 공간으로 설계됐다. 해외에 살면서 나름 다양한 국가에 맥도날드를 가봤는데, 고객 경험의 글로벌 표준화를 이뤄내 대부분은 동일한 느낌을 받았다. 


브랜드를 넘어선 문화적 아이콘으로


결과적으로 맥도날드는 '상품 판매'에서 '경험 제공'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진화시켰다. 

이는 현대 브랜딩의 핵심 트렌드를 선도한 사례로 볼 수 있다.


우리가 맥도날드에 가는 건 단순히 배가 고파서가 아니다. 때로는 추억이 필요해서고, 때로는 익숙한 안정감이 필요해서다. 이게 바로 맥도날드가 만든 브랜드의 힘이다.


오늘날 많은 기업들이 '경험'을 이야기한다. 하지만 맥도날드처럼 그것을 체계적으로 설계하고, 글로벌하게 표준화하는 데 성공한 사례는 드물다.


여기서 우리는 중요한 교훈을 얻을 수 있다. 진정한 브랜드 가치는 '무엇을 파는가'가 아닌 '어떤 경험을 제공하는가'에 달려있다는 것.


시간이 흘러도 맥도날드의 이 전략은 여전히 유효하다. 왜일까? 왜냐면 나도 아직 맥도날드를 자주 가기 때문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