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형근, 1928 ~ 2007
낙엽이 다 지고 나목의 숲 속에 산비탈에 거목이 넘어져서 썩어가는 것을 봤다.
한쪽은 이미 흙이 되어가고 있었다. 분명히 그 빛깔은 흙 빛깔과 다름없었다.
그 나무가 쓰러진 것으로 보면 꽤 오랜 세월이 된 것 같았다. 나는 그 광경을 보고 숙연해졌다
윤형근 작가의 작품을 가장 잘 나타내는 표현이 아닐까?
위 글은 여러 현대사의 불행하고도 힘든 고초를 겪으면서 작가의 가치관이 형성된 모습을 그대로 잘 표현한 작가의 일기가 아닐까 싶다.
오늘은 이렇듯 한국의 근현대사를 온몸으로 겪으며 만들어낸 윤형근 작가의 작품을 감상해보자
그는 1973년부터 검은색 혹은 다갈색 청색을 큰 붓과 함께 그려내 기둥이나 하나의 면을 만들어내는 작업을 했다.
박서보 작가와 함께 우리나라의 단색화 작품을 시작한 작가로서의 의의가 있다면, 윤형근 작가의 작품은 동양화적인 요소와 그리고 서양의 회화가 합쳐진 모습을 보여준다는 것에 대한 의의가 크다.
윤형근 작가의 단행본에 실린 글들을 보면 현대적 구도 안에 앰버(Umber) 컬러의 농담 조절, 여백의 조화에서 큰 공간적 울림과 시적 서정성을 느낄 수 있다고 직접 말하고 있다.
앰버란 무엇일까? 바로 땅의 빛깔이다. 그는 모든 것이 태어나고 다시 죽어 땅으로 돌아간다는 자연주의적인 관념을 가지고 있었다.
여러 삶의 질곡으로 인해 상처받은 육체와 정신에 땅이야말로 우리가 넘볼 수 없는 영속성을 가진 위대한 존재인 것이다. 작가는 이러한 앰버에 본인의 모든 것을 담아내었다.
오늘은 윤형근 화백이 했던 말로 이야기를 끝마쳐 보려고 한다.
"자연은 늘 보아도 소박하고, 신선하고, 아름답다. 나의 작업도 그 자연과 같이 소박하고 신선한 세계를 지닐 수 없을까. 그것은 어려운 것, 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해도 자연과 같이 늘 보아도 물리지 않는 아름다운 작품을 그리고 싶다. 그것이 나의 소원이다."
어떻게 보면 매우 간단한 작품이라고 볼 수 있고 누군가는 무시할 수도 있지만, 윤형근 작가의 앰버 안에 담긴 그의 자연에 대한 동경은 이루 말할 수 없다.
하나의 획 안에 담긴 울림들을 한번 느껴보며 윤형근 작가의 작품을 감상해보는 것은 어떨까?
좋아요와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를 제작하는 과정에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