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십일페이지 Jul 24. 2018

건물주와 추억



건물주와 추억


내가 처음으로 들어간 신축 건물이었다.
건물주는 우리 부모님과 비슷한 나이셨고, 건물주란 단어가 주는 이미지가 있는데~

딱 그 느낌 그대로 첫인상은 깐깐해 보였다.


건물은 아들 이름으로 해서 월세는 아들 통장으로 매달 넣었다. (부러웠음.....)
아들은 나보다 1살 어렸고, 손주도 내 딸보다 1살 어렸다.  


처음 건물주 아주머니와 인사 나누던 날이 생각난다. 

상당히 깐깐한 스타일이라 잘 지낼 수 있을까 걱정이 많았다.


워낙 깔끔하시고 처음 지은 건물이라 애정이 많았다.

음식점 같은 건 절대 1.2층에 받기 싫어 계속 기다렸는데 마침 서점이라니 좋아하셨다.

(근데 서점이 요즘 장사가 가능한가? 월세 밀릴까 봐 걱정하는 눈치셨지만 밀린 적은 없었다.)


손자 나이도 우리 딸과 비슷해서 종종 출가한 아들이 집에 놀러 오면 (서점은 2층, 건물주는 4층)

가끔 손자 선물주라고 아이들 보기 좋은 책 선물드리기도 했다. 돈으로 따지면 작지만 자기 손자 선물 챙겨주는데 싫어할 사람 없다.


그리고 종종 서점에 새로운 원두 들어오면 커피도 먼저 만들어서 가져다 드리고, 디저트도 챙겨드리기도 했다.

종종 빵 맛있었다고 추억 이야기를 하신 게 기억나, 마침 남해의 봄날 출판사에서 성심당 이야기를 다룬 책이 나왔을 땐, 하나 선물로 드렸는데 아주 좋아하셨다. (역시 책 선물!)


그렇게 조금씩 가까워지고 나니, 나중엔 도시락도 주시고 과일, 반찬도 주시고~ 평소 아들처럼 챙겨주셨다.
여행으로 집을 오래 비울 경우 건물도 나한테 맡기고 가시곤 했다.

동네에 서점 자랑도 많이 해주시고, 그렇게 깔끔하던 분이 오히려 건물에 간판 더 달아야 하는 거 아니냐, 1층 입구에 현수막이나 배너 좀 더 빵빵하게 걸어라.. 는 식으로 늘 서점을 챙겨주셨다.


서점 넘기고 나갈 때도 작은 선물 사서 드리고, 건물주 집에서 차마시며 오래 이야기 나눴다.

아 그리고 서점 운영할 때 장인어른이 돌아가셨는데, 그때도 같이 슬퍼해주시면서 따로 조의금을 챙겨주시기도 했다.


기억해보니 우리 부모님한테나 좀 이렇게 잘해야 하는데.. 엄한 곳에서 효도를 한 것 같다 ㅎㅎ;;;


뉴스에선 연일 건물주 vs 자영업자 대결 뉴스만 나오는데, 난 운이 좋았던 거 같다.

어떤 건물주(사람)를 만나느냐도 중요하지만, 역시 모든 상황은 내 마음가짐, 내가 하기 나름인 거 같다.




매거진의 이전글 서점에서 직장으로 돌아가니까 어떤가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