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으면 10억 깨져요
도로를 지나다니다 보면 외형을 꽁꽁 싸맨 차들을 볼 수 있다. 정말 필요한 전조등과 방향 지시등 정도만 밖으로 내놓고 그 외의 모든 것들을 가리고 다니는 차들이다.
차량 위에 천을 덧대 형체를 가리는 경우도 많지만 시인성을 낮춘 스티커를 온 몸에 두르고 다니는 차들도 있다.
과연 이 차들의 정체는 무엇일까. 그리고 대체 왜 그런 모양새로 도로를 누비는 것일까.
아는 사람도 많은 저 차량의 정체는 바로 완성차 업체들의 테스트 차량이다. 새로운 차량을 출시하기 전에 완성도를 평가하기 위한 시운전 용도다.
특히 출시가 임박한 차량일 경우가 높다. 테스트카가 일반인이 많은 공도에서 보인다는 것은 최종 테스트를 진행 중일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물론 테스트 차량이라고 해서 무조건 위장막 혹은 위장 데칼(스티커)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양산차량의 겉모습을 개발 중인 차체 위에 씌어 가리는 방식도 있다.
한편, 테스트 차량이 공도에서 돌아다니는 만큼 사고 위험도 분명 존재한다. 하지만 일반 양산 차량이 아닌 만큼 대당 가격과 수리 및 재개발 비용이 상당하므로 사고 운전자들이 난처해질 수 있다.
위장막을 쓴 차를 보면 운전을 더욱 조심해야 하는 이유다.
테스트 차량이 위장막/데칼을 사용하는 이유는 브랜드 기술력의 누설 방지 및 미완성 디자인 보호가 있다. 그래서 최대한 차량의 형태를 파악할 수 없도록 가리는 것이다.
다만 요새는 위장 데칼에도 미리 신차의 정체성을 담는 추세다. 미리 차량에 대한 궁금증을 자아낼 겸 계속해서 위장막 버전 차량을 마케팅 요소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대중에게 공개될 때 차량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기 위해 위장 데칼에도 기하학적인 문양과 색상을 집어 넣는 것이다. 최근 공개된 기아 타스만이 대표적인 예다.
밋밋한 천막 혹은 하얀색과 검은색 범벅인 단순한 위장 데칼도 이젠 차량 이미지 형성을 위한 수단으로서 자리 잡은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