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체질량지수 논쟁: 나는 비만일까 아닐까

다이어트를 시작하기 전에 가장 먼저 할 일은 다이어트를 해야 하는지를 결정해야 한다. 요즘 사람들은 특히 젊은 여성들은 지나치게 살을 빼려고 한다. 자신이 날씬한데도 심지어는 말랐는데도 살 쪘다고 생각하고 다이어트를 하려고 한다. 설령 성공하더라도 건강에 심각하게 안 좋다. 건강을 해치며 살을 빼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다. 이 책은 건강하고 행복해지기 위한 다이어트를 소개하는 책이다.


하버드대학 연구진이 1988년에서 2017년 사이 약 30년 간 주로 여성인 성인 약 20만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결과가 그것을 잘 보여준다. 운동으로 4년간 다이어트를 한 결과 마른 사람은 평균 0.4% 체중이 줄었다. 단식, 다이어트 프로그램 및 약의 조합으로 다이어트를 한 경우 오히려 3.7%나 체중이 늘었다. 체중이 거의 빠지지 않거나 더 늘어난다. 문제는 날씬하고 마른 사람은 장기적으로(24년 뒤) 어떤 방법으로 체중을 감량하더라도 당뇨병 발생위험이 높아진다는 점이다. 운동으로 살을 뺀 사람은 9%, 다이어트 약이나 세 가지 조합으로 살을 뺀 사람은 54%까지 당뇨병 위험이 증가했다. 당뇨병은 ‘심각한’ 질병이다. 마른 사람이거나 정상체중인 사람은 다이어트를 하면 안 된다. 게다가 다이어트에 지나치게 매달리다가 죽는 일까지 생긴다. 2006년 브라질의 한 여성 모델이 지나친 다이어트와 거식증으로 사망했다는 뉴스가 나왔다. 패션모델인 그녀는 174cm에 체중이 40kg이었다. 살을 빼려고 설사약을 복용하거나 의도적인 구토를 하는 등 먹는 것을 기피하다가 난 사고였다. 


체중감량을 위한 다이어트를 시작하기 전에 자신이 비만인지 또는 정상 체중인지를 알아야 한다. 비만인지 아닌지는 보통 체질량지수로 판단한다. 체질량지수를 토대로 저체중, 정상, 비만 전 단계, 비만, 1~3단계 고도비만까지 총 7단계로 구분한다. 체질량지수는 1830년대 수학자 아돌프 케틀레(Adolphe Quetelet, 1796~1874)가 개발했다. 체질량지수를 계산하는 것은 간단하다. 몸무게(kg)를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예를 들어 몸무게가 70kg, 키가 175cm이라면 체질량지수는 25이다. 70을 1.75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미국 등 서양인의 경우 체질량지수가 30 이상이면 비만으로 본다. 175cm인 사람은 78.75kg이 넘으면 비만이다. 


그러나 이 기준은 서양인을 기준으로 설정한 값이어서 우리나라 사람에게 그대로 적용하기는 무리가 있다. 한국인과 서양인은 체질 차이가 있다. 비만은 몸에 체지방이 과다하게 축적되거나, 엉뚱한 곳에 비정상적으로 쌓여 건강상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아시아 사람은 서양인에 비해 낮은 체질량지수에서부터 체지방이 과도하게 쌓인다. 우리나라 사람의 경우 ‘25’ 이상이 되면 사망률뿐만 아니라 당뇨나 고혈압 등이 급격하게 증가한다. 우리나라는 2000년 발표된 세계보건기구 아시아태평양지역 기준에 따라 대한비만학회는 한국인의 비만 기준을 체질량지수 ‘25’로 잡는다. 175cm인 경우 76.6kg이다. 18.5 미만은 저체중, 18.5~22.9는 정상체중, 23~24.9는 과체중, 25~29.9는 1단계비만, 30~34.9는 2단계비만, 35 이상은 3단계비만으로 분류한다. 175cm인 경우 정상체중은 70kg까지이다. 세계보건기구 전문가그룹은 2004년 국가별 실정에 맞게 비만 기준을 정하고 관리하도록 권고했다. 미국과 중국의 비만 기준은 각각 30, 28이다. 


체질량지수 25를 비만 기준으로 특정할 근거는 사실 명확하지 않다. 체질량지수와 사망 간 연관성 지표는 25를 경계로 저체중과 과체중 양쪽으로 나란히 높아지는 ‘U’자 형태이다. 18.5 미만의 저체중과 35 이상 3단계 비만에선 25일 때에 비해 사망 위험이 각각 1.72배, 1.64배 높다.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을 포함한 심뇌혈관질환 사이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지수가 높아질수록 질병 발생 위험이 전반적으로 높다. 체질량지수가 높아지면서 질병 발생 위험이 급속도로 올라가는 시점은 질환마다 천차만별이다. 우리나라의 비만 기준을 25에서 27 이상으로 올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체형과 생활습관, 질병양상 등이 서구 선진국과 비슷해졌기 때문이다. 시기상조라는 주장도 있다. 단순히 사망 위험이 가장 낮지 않다고 상향하면 대사질환이 급증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