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현동 김종남 Mar 09. 2024

살 맛을 잃어 본 적 있는가?

살 맛은 밥맛에서 나온다

살다보면 밥맛을 잃을 때가 있다. 

감기, 배탈, 입원 등 몸이 병들었을 때이다.

그러나 마음이 병들 때는 입맛 떨어짐이 더 심각할 수 있다.

밥맛부터 찾아야 하나, 살 맛부터 찾아야 하나.




"갑자기 모밀국수가 먹고 싶다가 어느 때는 순대가 먹고 싶다. 초밥이나 초무침 회가 생각날 때도 있다." 한 달 전 넘어져 좌골수술을 받았던 친구 이야기다. 밥 때마다 '무얼 먹을까?' 고심한단다. 마치 입덧하는 임산부처럼 입에 맞는 음식 찾기가 어렵다. 발달된 의료기술 덕분에 수술 후 보름도 되지 않아 퇴원하고, 그런대로 잘 걷는다. '언제부터 걸을 수 있나'던 큰 걱정은 덜었다. 막상 걱정은 다른데서 생겼다. 식욕, 이른바 밥맛이 달아났다.


마음이 병들 때는 어떨까. 작가 박완서(1931~2011)는 57세 때 몇 주간이나 밥을 먹지 못했다. 먹는 대로 다 토했다. 남편과 외아들을 넉 달 사이에 잇달아 잃는 '참척(慘慽)의 슬픔'을 당한 때문이었다. 수도원에 가서 통곡과 불면의 나날을 지냈다. 그러다 어느 순간 밥맛이 돌아왔다. 그는 '참척의 일기' <한 말씀만 하소서>에 그 순간을 이렇게 썼다. "어쩌면 주님이 그때 나에게 밥이 되어 오시었던 게 아닐까....(중략)... 하도 답답해서 몸소 밥이 되어 찾아오셨던 거야. 우선 먹고 살아라 하는 응답으로,...(중략)...그날 이후 내 배는 영락없이 끼니때만 되면 고파왔다."


마음이 병들면 살 맛을 잃는다. 우리는 며칠이라도 살 맛을 잃어 본 적이 있는가? 살 맛은 밥맛에서 생겨난다. 하루 세끼 밥 잘 먹고 똥오줌 잘 누는 일상이 얼마나 소중한지 밥맛 잃어본 사람은 안다. 끼니 때 영락없이 배가 고파오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다. 건강한 배를 가졌기 때문이다. 


건강한 위장을 가졌으면서도 배를 채우지 못해 배고프던 시절도 있었다. 항상 빈 쌀독 걱정하며 밥벌이에 정신없던 시절이다. 그 땐 밥맛 잃을 틈도 없었다. 지금은 쌀독이 넘쳐나고 밥맛을 잃지 않았는데도 '입맛'을 찾아 헤맨다. 방송마다 '먹방(먹는 방송)','쿡방(요리하는 방송)'프로그램이 넘친다. 유명 맛집 앞에는 문 열기 전부터 수십 미터씩 줄이 선다. 유명 맛집 순례도 인기다.


'Meokbang'이라는 신조어는 새로운 한류로 각광을 받는다. 왜 다들 '먹는 방송'에 열광하는가? '혼밥족(1인 가구) 증가'가 '먹방 열광' 이유란다. 혼자 밥을 먹어야 하는 어떤 사람은 먹방을 틀어놓고 TV와 함께 밥을 먹는다. 어느 블로거는 '홀로 밥 먹어야 하는 외로움을 해소하기 위해'라고 풀이한다. 외로움뿐일까. 성욕, 명예욕, 권력욕 등 다른 욕구가 채워지지 않은데 대한 불만해소책이라는 주장도 있다.


"모든 행복의 시작과 뿌리는 식욕의 즐거움이다. 심지어 지혜와 문화까지도 이것으로 귀착된다." 쾌락주의 철학자 에피쿠로스(BC341~BC271)가 2천년 전에 한 말이다. 그러나 그는 식도락가가 아니었다. 에피쿠로스는 빵과 물만 마시는 질박한 식사에 만족했다. '무엇을 먹고 있느냐 보다 누구하고 식사를 하고 있는가'를 더욱 중시했다. 2천 년 전이나 지금이나 식욕에 대한 진리는 변함이 없다. 혼밥이든, 먹방이든, 질박한 반찬이든, 기름진 음식이든 끼니 때마다 배고파지는 식욕이 즐거움과 행복의 원천이다. 


몇 년 전 강원도 여행 갔을 때 속초에서 이름난 닭 강정, 씨앗 호떡을 먹기 위해 줄을 서 본 적이 있다. 재래시장 안에는 닭 강정, 호떡집이 여러 집 모여 있었지만 줄 서는 곳은 유명 맛집 뿐이었다. 줄지어 서서 기다리며 거기에서 얻은 '입맛', 지금도 행복한 살 맛(추억)이다.        2018.02.13.


작가의 이전글 왜 '고독한 감금공간'이 필요한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