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내 May 09. 2022

아이디어스 AS IS [브랜드 분석기 1]

핸드메이드 전문 온라인 커머스

아이디어스 [AS IS]

<아이디어스 소개>

"하늘 아래 똑같은 핸드메이드는 없다. 일상에 특별함을 잇다."


아이디어스는 핸드메이드 전문 온라인 커머스로, 남들과 똑같은 것보다 나의 취향에 맞는 아이템을 원하는 사람들을 위해 만들어진 플랫폼이다. “품질은 좋은데 판로가 없어서 매출을 내지 못하는 작가들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라는 고민에서 만들어진 아이디어스는 작가의 수공예 상품과 수제 먹거리 식품을 판매하고, 온·오프라인 클래스로 체험의 기회도 제공하고 있다.


제품의 소유와 취미 생활의 경험까지 제공하는 아이디어스는 라이프의 의미를 전달하는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이라 설명할 수 있다. 판매의 기회가 필요한 소상공인 작가와 특별하고 믿을 수 있는 상품을 찾고 싶은 소비자의 만남. 그것이 아이디어스가 추구하는 가치 제안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쇼핑 플랫폼은 1페이지부터 10페이지까지 비슷한 제품이 많은 것에 반해, 아이디어스는 작가 개개인의 개성에 맞는 제품들로 가득 차 있어서 보는 즐거움을 선사합니다." - 아이디어스 사용자 인터뷰 中 -


일상에 특별함을 더하고 있는 아이디어스는 2014년 6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하여 2021년 기준, 누적 거래액 5,800억 원, 앱 다운로드 수 1,300만 건, 월간 활성 사용자(MAU) 500만 명을 돌파했다. 더불어 패션, 공예, 소품, 수제 먹거리 등 2만 5천여 명의 작가가 입점해 총 33만 개 이상의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이처럼 아이디어스는 틈새시장을 확보해 꾸준히 사업을 확장시키고 있다.


아이디어스 특징

- 아이디어스 KEYWORD : 취향, 소통, 경험, 기회


1. 자신의 취향을 반영하여 제품 제작 가능 (작가-팬 소통)


아이디어스는 일괄적으로 제작된 제품이 아니라, 소비자의 취향을 반영할 수 있다는 것이 특장점이다. 예를 들어, 파우치를 구매하고 싶을 때, 소비자가 원하는 사이즈로 변경이 가능하거나 고리나 단추를 추가, 색깔 변경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렇게 소비자와 작가가 직접적, 적극적으로 소통하여 제품에 대한 디테일한 요청을 반영하여 소비자의 니즈 및 원츠를 해결하면서 작품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2. 제품과 클래스를 한 번에! 소유와 함께 특별한 경험 전달


최근에는 뻔한 것보다 FUN 한 것을 원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는데, 이에 아이디어스는 여러 카테고리별 상품을 구매하는 것과 더불어 여러 수업을 들을 수 있는 클래스를 선보이고 있다. 실제로 경험하는 것을 중시하는 요즘 시대에 발맞춰, 자신이 직접 만들고 즐기는 경험과 즐거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클래스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선택하여 진행할 수 있다.


3. 소상공인의 온라인 플랫폼 진입 기회 제공


아이디어스는 소상공인에게 온라인 플랫폼의 진입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핸드메이드로 자신만의 제품을 판매하고 싶은 소상공인과 특별한 제품을 구매하고 싶은 소비자, 즉 작가와 팬의 만남을 제시하고 있다. 이커머스 시장에 독자적인 진입이 쉽지 않은 소상공인들이 플랫폼에 입점하여, 소비자라는 팬이 생기고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구조로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 특장점이다.


아이디어스 SWOT

개선 방안 : 

1. 다른 온라인, 클래스 커머스와 달리 아이디어스 플랫폼만의 마케팅적인 특장점 개발

2. 품질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수공예, 식품, 클래스 외 다양한 방면으로 카테고리 증가


▶ 관련 자료

S (작가 누적 후원금 10억 원): http://www.iconsumer.or.kr/news/articleView.html?idxno=12246

W (온라인 소비가 늘면서 많은 기업에서 도심형 물류 거점을 세우는 등 빠른 배송, 일명 퀵 커머스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에 아이디어스는 제작과 배송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는 약점이 될 수 있다.) : https://www.whitepap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4567

O : 가치 소비 = 개인 취향에만 맞는다면 고가의 제품의 소비를 꺼리지 않는 경향, 미닝 아웃 = 제품을 구매하면서 자신의 신념과 가치관을 드러내는 소비 행태 (ex. 비건 문화 실천을 중시하는 소비자가 비건 인증을 받은 제품을 소비하는 것)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022114222293790

https://www.techm.kr/news/articleView.html?idxno=82064

T : 코로나19 거리두기로 인해 집에서 하는 취미활동이 증가하면서 2030 세대를 중심으로 온라인 클래스 플랫폼이 인기를 끌고 있다. 5월 기준 취미 키트와 온라인 클래스 상품을 판매하는 ‘아이디어스’ 앱 설치 수는 240만 건으로 주요 독서 앱 설치 수보다 많았다.

https://www.skyedaily.com/news/news_view.html?ID=135338


아이디어스 STP 및 포지셔닝 맵

◼ STP

▶관련 자료

네이버 데이터랩 (아이디어스 연령별, 성별 검색량 분석)
혁신의 숲 아이디어스 소비자 유형 분석 - 성별 및 연령

→ 2030을 설문한 결과, 아이디어스는 MZ세대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전문몰 앱 5위, MZ세대가 가장 자주 사용하는 전문몰 앱 3위로 발표됐다. (아이디어스의 20~30대의 설치자 비중이 68%를 차지한다.)

https://www.techm.kr/news/articleView.html?idxno=93249

※ 인구통계학적으로 여성 20~30대가 주된 이용자라는 사실을 도출!


◼ 포지셔닝 맵 


아이디어스의 가장 큰 특장점을 두 가지로 정해서 경쟁사를 선정하고 포지셔닝 맵을 작성했다.

1. "제품의 차별화" 2. "판매자와 소비자의 소통"


아이디어스의 경쟁사 :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 쿠팡, 마켓 컬리, 클래스 101, 와디즈 등

온라인 개인 마켓 :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SNS 마켓 (인스타그램)


[자세한 경쟁사 분석]


① 쿠팡 "저관여", "다양한 제품", "빠른 배송"

→ (제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커머스를 대표해서 쿠팡을 선택했다.)

쿠팡은 대표적인 온라인 커머스로,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는 플랫폼이다. 쿠팡의 가장 큰 특장점으로는 로캣 배송으로 빠른 배송을 강조하고 있다. 즉 소비자는 일상적인 제품을 바로 구매해서 사용하기 위해 쿠팡을 이용한다고 말할 수 있다. 아이디어스의 특징인 차별화, 특별함과는 거리가 멀다. 또한, 판매자와 소비자 간의 소통도 원활하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빠른 배송과 다양한 카테고리 제품이 판매되고 있기 때문에 그 부분에서 아이디어스와 다른 강점을 가지고 있다.


② 마켓 컬리 "빠른 배송", "차별화된 제품", "ESG"

마켓 컬리는 품질 좋은 신선식품을 빠르게 받을 수 있다는 장점으로 성장한 대표적인 식품 온라인 커머스이다. 쿠팡처럼 빠른 배송이 특징이지만, 이와 더불어 좋은 품질, 차별화된 제품으로 사랑을 받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아이디어스도 식품을 판매하고 있기 때문에 마켓 컬리와 경쟁이 될 수 있다. 또한, 마켓 컬리는 환경을 위한 착한 포장으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선도하고 있는 브랜드이다. 최근에는 미닝 아웃과 같이 가치와 신념으로 제품을 구매하는 측면이 늘어났기 때문에 여러 기업에서 esg와 브랜드의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해서 여러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있다.


③ 클래스 101, 와디즈 "취미 생활", "특별함"

클래스 101은 취미 클래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아이디어스도 온·오프라인으로 클래스를 운영하고, 여가 및 취미생활에 포인트를 주고 있기 때문에 경쟁사가 될 수 있다. 이외에도 클래스를 전문적으로 운영하는 플랫폼이 많이 생기고 있다. 와디즈는 매일 새로운 일상을 발견한다는 카피로, 펀딩으로 제품을 구매하고 즐길 수 있는 플랫폼이다. 소규모로 이루어지는 자체 제작인 점에서 아이디어스와 비슷하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디어스는 다른 브랜드와 다른 차별점을 가져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 : https://blog.opensurvey.co.kr/article/hobby-2021-2/


④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편리함", "검색에 용이", "쉬운 접근성"

품질 관리를 위해 입점이 힘든 아이디어스와 달리 네이버 스토어는 어렵지 않게 열 수 있다. 네이버는 검색에 용이해서 사용하기에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아이템이 매우 많기 때문에 원하는 제품을 찾기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있다. 발견형 쇼핑의 일종인 아이디어스와 달리, 네이버 스토어는 목적형 쇼핑이라는 차이점이 있지만, 아이디어스의 제품이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에서도 판매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아이디어스는 자체 플랫폼의 혜택과 같은 측면을 활용하여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


⑤ SNS 마켓 "많은 소통", "팬덤 마케팅"

C2C가 유행하고 있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sns 마켓의 활성화이다. 많은 소통으로 팔로워가 팬이 되면서 팬덤이 형성되고 있다. 이를 팬덤 마케팅이라 하여, 아이디어스도 작가와 소비자, 일명 팬의 관계를 중요시하며 여러 마케팅 활동을 하고 있다. 친밀함이라는 특징으로 일반인도 제품을 판매할 수 있게 되면서 SNS 마켓도 온라인 커머스의 경쟁사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 결론 :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뿐만 아니라 온라인 개인 마켓도 경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온라인 클래스만을 전문으로 하는 플랫폼과의 경쟁에서 아이디어스가 어떤 방향을 잡고 마케팅해야 할지 고민해 봐야 한다.


아이디어스 4P

- Product : 고객에게 전달되는 제품/서비스, 혜택


1. 상품 2. 식품 3. 클래스

아이디어스의 product는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는 다양한 카테고리별 핸드메이드 상품, 두 번째는 산지 직송 및 수제 먹거리 식품, 마지막 세 번째는 경험을 선사하는 온·오프라인 클래스이다. '하늘 아래 똑같은 핸드메이드는 없다'라는 아이디어스의 key 카피처럼 다 똑같이 제작되는 공산품보다는 흔하지 않고, 자신만의 포인트를 새길 수 있다는 것이 이 플랫폼의 가장 큰 핵심이다. 그래서 좋은 품질로 자신만의 개성을 드러낼 수 있는 지갑, 파우치, 케이스, 그리고 선물용 제품까지 다양한 상품이 판매되고 있다.


또한, 식품도 수제라는 콘셉트에 맞춰 산지 직송, 건강식, 커스텀 케이크 등 다양한 먹거리를 판매하고 있다. 또한, 아이디어스는 최근 트렌드 키워드인 '가치 소비'에 발맞춰 비건 음식과 제로 웨이스트 메뉴를 따로 개설하여 제공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아이디어스의 작품은 수제로 제작되기 때문에 여기서 연결된 서비스인 온·오프라인 클래스도 아이디어스의 product 중 하나이다. 이 역시 소유보다 공유와 경험을 중시하는 사람들을 위한 상품이라고 할 수 있다.


- Price : 고객이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부담하는 가치


아이디어스는 '수제'를 기반으로 한 플랫폼이다 보니, 저가 쇼핑몰 대비 중고가의 제품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아이디어스만의 특징인 셈이다. 흔하지 않은 제품과 소비자가 원하는 요구사항이 바로 적용되는 서비스는 금전적인 가격보다 심리적인 만족감을 높이 사는 전략이다. 즉, '가격보다 만족감을 사는 것'이다. 


"배송 속도를 높이고 가격을 내리는 것보다는, 고객이 ‘의미’ 있는 작품을 쉽게 발견할 수 있도록 ‘판’을 만들어주는 것" - 아이디어스 프로덕트 책임자 인터뷰 中 -


위에 아이디어스 책임자 인터뷰를 보면 그들이 생각하는 차별점을 확실히 알 수 있다. 가격을 내리는 대신, 고객에게 '의미'를 주는 것. 이는 요즘 시대가 주목하는 키워드라고 할 수 있다. 가성비보다는 마음을 울리는 가심비, 재미를 느끼는 가잼비가 등장하면서 시장을 새롭게 형성하고 있다. 특별한 경험과 의미를 원하는 이들에게는 이런 아이디어스의 전략이 긍정적으로 다가올 것이다.


- Place : 제품/서비스를 판매하거나 유통하는 모든 채널


1. 온라인 플랫폼 2. 오프라인 소담 상회

아이디어스는 핸드메이드를 전문으로 다루는 온라인 플랫폼이다. 수제라는 틈새시장을 적절히 공략한 니치 마케팅의 성공이라고 할 수 있다. 여러 제품을 판매하는 플랫폼은 많지만, 제품과 식품 그리고 경험을 창출할 수 있는 클래스까지 다루는 플랫폼은 흔치 않다. 위의 product에서 말했듯이, 이 브랜드는 온라인에서 제품과 식품을 모두 판매하면서 클래스도 운영하고 있다. 제품 구매는 물론, 스트리밍까지 가능한 것이다.


또한, 발견형 쇼핑으로 불리는 아이디어스는 온라인 플랫폼에 국한하지 않고 오프라인으로 시장을 넓혀 나갔다. 체험의 공간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위해 소담 상회라는 매장을 오픈했다. 이곳은 온라인 플랫폼에서 보던 작가들의 작품이나 제품을 구매할 수 있고, 음식과 체험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인 것이다. 이 소담 상회는 중소기업부와 함께 손을 잡아, 소상공인들의 판매 활성화를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입점을 원하는 작가들을 모집해서 지원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 Promotion : 판매 촉진을 위한 모든 활동


1. 소비자 프로모션 2. 셀러를 위한 프로모션 3. 팬덤 마케팅

아이디어스의 promotion은 총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아이디어스의 고객인 소비자를 위한 마케팅이다. 먼저, 신규 고객을 위한 프로모션으로는 회원가입 시 제공하는 할인 쿠폰과 친구 초대 이벤트, 첫 구매 100원 마케팅이 진행되고 있다. 이는 플랫폼을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 브랜드를 인식, 각인시킬 수 있는 프로모션 중 하나이다. 그다음 기존 고객을 위한 프로모션으로는 월회비 배송료 마케팅이 있다. 이는 한 달에 3,300원을 내면 기간 내의 모든 제품이 무료로 배송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기존 고객들의 재구매율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는 아이디어스의 두 번째 고객인 셀러를 위한 프로모션이다. 온라인 플랫폼은 브랜드의 가치에 맞는 제품들을 입점해야 하는 과제가 있다. 이처럼 아이디어스도 다른 커머스들과 경쟁해서 좋은 품질의 제품을 입점하고, 작가들을 영입해야 한다. 이를 위해 아이디어스는 작가들을 위한 여러 교육 및 건강검진과 같은 복지를 제공한다. 또한, 소비자가 마음을 전할 수 있는 작가를 위한 '후원하기'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셀러 지원 시스템으로 소상공인 작가와 온라인 플랫폼이 상생할 수 있는 프로모션을 펼치고 있다.


마지막으로, 아이디어스는 셀러와 소비자를 각각 작가와 팬으로 명칭하고 팬덤 마케팅을 성공적으로 실시한 브랜드이다. SNS와 마찬가지로 팬이 작가를 팔로우하면서 그의 피드에서 다양한 소식을 접하고, 소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아이디어스는 작가의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작가의 개인 이야기, 제품 이야기 등 여러 방면에서 작가와 팬의 '관계'를 중요시하고 있다. 이렇게 작가에 대한 친밀함과 개인의 소통이 가능하다는 점을 앞세워 팬덤 마케팅이 플랫폼 운영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아이디어스 핵심 사용자

◾ 퍼소나 (Persona)

유선화 / 28살 / 직장인 : 마케터 / 수도권 거주 / 1인 가구


Who are they? 어떤 사람들인가?

- 핸드메이드 제품을 구매하고 싶어 하는

- 온라인 쇼핑을 즐겨해서 여러 아이템을 구경하는

- 흔하지 않은 디자인의 제품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보고 싶은

- 개성을 드러내고 싶은

- 가성비보다 만족도 및 높은 품질을 원하는


What do they do? 어떤 행동을 하고, 무엇을 기대하는가?

- 다른 사이트에서 볼 수 없었던 핸드메이드 제품 발견

- 수제로 만든 제품으로 오래 사용할 수 있는 기대감

- 수제로 만든 음식으로 믿고 먹을 수 있다는 기대감

- 작가에게 요청하여 나만의 아이템을 만나는 만족감


Why is that? 그렇게 행동하는, 기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핸드메이드로 정성이 더 들어가 품질을 믿을 수 있다

- 흔하지 않은 제품으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다

- 핸드메이드라는 특성상 개인 요구사항이 받아들여진다 (오더메이드)


How does it impact them? (희망 사항이 이뤄지면) 그들의 일상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 하나의 아이템으로 개성을 드러낼 수 있다.

- 아이템 관심을 많이 갖고 있는 트렌디한 사람으로 느껴진다.

- 특별한 선물로 센스 있는 사람이라는 인식을 갖게 된다.


※ JOBS TO BE DONE (JTBD)

: 아이디어스의 Persona와 주 사용자의 입장에서 생각해 봤을 때, 이 브랜드를 사용하면서 해결되길 기대하는 Pain Point는 아래와 같다.

- 흔한 것보다 나를 표현하고, 선물하기 좋은 상품을 원한다.

- 가격보다는 좋은 품질의 상품을 원한다.

- 제작자와 소통하여 믿을 수 있는 상품을 구매하고 싶다.

- 자신의 생활을 특별하게 만들어줄 체험을 해보고 싶다.


◾ 사용자 여정 지도 (아이디어스 User Journey Map)

→ 아이디어스의 Persona ‘선화 씨가 카드지갑’을 구매하는 여정을 지도로 나타냈다.

유지에 기여한 요인

- 좋은 품질

- 수제여서 믿을 수 있는 신뢰감

- 맞춤 서비스

- 온라인 클래스 (무료 체험, 무제한 스트리밍)

- 배송비 월회비


이탈에 기여할 만한 요인

- 제작 및 배송에 걸리는 시간

- 다양성이 적은 카테고리

- 비싼 편에 속하는 가격

- 똑같은 제품을 다른 사이트에서도 발견 가능

- 고객 커뮤니티 부족

- 기존 고객을 위한 프로모션 부족

- 작가 개개인이 올리는 상세페이지의 부족함


<개선 기회>
- 사용자(고객) 커뮤니티 형성          

: 작가 피드 외에 고객 커뮤니티를 만들어서 자주 들어가서 구경할 수 있도록 만든다.

- 챌린지 형식의 프로모션 진행          

: 신규 고객 외에 기존 고객을 위한 이벤트로 설문조사, 빙고 등 앱 사용을 늘리면서 혜택 제공


아이디어스 현재와 Opportunity

◾ PMF


▶ 아이디어스는 Product-Market Fit을 달성했고, ‘계속 성장하고 있는’ 기업이다.

아이디어스 1000만 다운로드 돌파, 입점 작가 2만 7000여 명, 누적 거래 금액 7200억 원

작년 2021년 매출액 : 520억 원, 올해 2022년 목표 : 780억 원


★ 아이디어스 PMF 알아보기 ★

① 현재 상황 : 총 5번의 투자 유치, 최근 투자 300억 원, 연 매출 431.4억 원, 직원 228명

② 투자 유치

- 2020.06 투자유치금액 300억 원

- 투자 이후 트래픽, 소비자 거래 추이, 고용 인원 꾸준히 상승 中

- 직원을 계속 추가적으로 채용하면서 성장을 꾀함

③ 손익 · 재무 상태

- 아이디어스는 6년째 적자로, 한 번도 이익을 본 적이 없다고 한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투자를 받을 수 있었는데, 이에 아이디어스 측은 매년 두 배 이상의 거래액으로 사업 성장성을 증명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더불어, 먼저 문화를 만들자는 장기적인 목표로 투자자를 설득해 지속적인 투자가 가능했다고 전한다.) 출처http://naver.me/51Yha2Xl

④ 트래픽 상황

- 아이디어스 실 사용자 트래픽이 꾸준히 늘고 있다

  (12월과 1월은 연말과 연초라는 시기상, 특히 소비량이 많은 시점으로 예상됨)

- 4대 SNS 소셜(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에서도 언급량 상승


출처 : innoforest

⑤ 추가 - 경쟁사 인수 합병 

: 아이디어스를 운영하는 기업 ‘백패커’는 2020년 6월 아이디어스의 경쟁사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텀블벅’을 인수하였다. 이는 핸드메이드의 시장 흐름을 가져오고, 사업 다양화 및 확장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 텀블벅에서 펀딩이 종료된 이후에도 아이디어스에서 판매를 이어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며, 텀블벅의 재미있고 색다른 프로젝트들을 아이디어스에 소개하고, 텀블벅에서 창작자들이 아이디어스로 판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시장 확장 (출처 : http://jmagazine.joins.com/forbes/view/335767)


◾ Value proposition

: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 서비스를 통해 고객에게 줄 수 있는 효용(Benefit)


Value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면서 얻는 만족감

철저한 심사와 관리로 입점 제품 품질 유지

하나의 플랫폼에서 제품 구매와 클래스 참여가 모두 가능한 편리함 제공

작가와 소통할 수 있는 공간 마련

소유와 체험의 기회 제공


Cost

제품 구매 및 클래스 참여에 사용되는 금액

홈페이지를 들어와서 구경하고, 배송을 기다리는데 소요되는 시간


아이디어스 브랜딩 및 마케팅 활동

1. 소비자와 작가를 위한 마케팅 (아이디어스의 중요한 두 고리, 바로 작가와 팬의 관계 형성)


- 소비자를 위한 마케팅

아이디어스는 첫 구매자를 위한 100원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합리적인 월회비를 내면 배송비를 무료로 제공하면서 꾸준한 구매를 이끌어내고 있다. 기업이 100원 마케팅을 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일단 구매를 유도하면, 이 혜택을 통해 서비스의 편리함과 매력을 느껴 고정 고객으로의 전환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처럼 재구매를 반복하는 록인(lock-in) 효과를 유도하면서 고객 유입 및 매출 상승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다.


- 셀러인 작가를 위한 마케팅


어플 내 작가를 위한 후원하기 버튼을 만들어서 제품을 구매하지 않더라도 후원금을 보내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아이디어스 내에서도 작가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이 존재한다. 이 프로그램에는 작품 사진을 찍는 방법을 교육하고, 고객 응대와 손익 관리 및 저작권 이슈를 관여한다고 말했다. 그리고 심리 상담 서비스와 건강 검진까지 제공하여 플랫폼과 작가가 함께 상생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더불어, 작가가 입점 후 누적 매출이 일정 금액 이상을 넘는다면 여러 굿즈와 선물을 제공하면서 플랫폼과 작가의 관계를 강조하고 있다.


(+제품 제작에 필요한 원부자재를 최저가에 제공하기 위해서 아이디어스가 직접 물류창고를 운영하며 B2B 원부자재 판매 사업도 하고 있다.)


2. 작가 내러티브 활용 및 팬덤 마케팅


아이디어스는 작가와 팬이라는 이름으로 관계를 형성하면서 작가의 스토리를 제공하고, 팬과의 소통을 중요시하는 것이 특징이다. 최근에는 개인 SNS의 영향으로 C2C 시장이 커지고 있다. 개인이 인플루언서가 되어 팔로워와 적극적인 소통으로 제품을 판매하는 형식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소통과 친밀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아이디어스는 작가가 직접 피드를 올려 여러 팬들과 소통을 진행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피드에 자신의 일상을 남기거나, 신상품 소식을 전하고, 이벤트도 공유하고 있다. 더불어, 핸드메이드, 오더메이드라고 불리는 것처럼 팬이 작가에게 제품에 대한 요청사항을 남기면서 직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으며, 어플 내 작가 팔로우 기능과 작품 찜 하기, 좋아요 등 작가를 응원할 수 있다.


또한, 아이디어스는 자체 콘텐츠로 작가 인터뷰를 게시하고 있다. 개인의 이야기부터 작품에 대한 이야기까지 다방면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잘 모르던 작가의 이야기를 알게 되면서 친밀함을 느끼게 되고, 작가에서 작품, 작품에서 작가로 호감이 연결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작가 이야기 시리즈는 팬들의 이목을 주목시켜 제품으로의 구매를 이끌어내고 있다. 이렇게 아이디어스의 팬덤 마케팅은 브랜드 운영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3.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경험 및 체험 공간 확장


O2O는 Online to Offline으로 온 오프라인의 벽을 허물어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연계 매장을 의미한다. 아이디어스는 오프라인 매장 소담 상회를 운영하고 있다. 소담 상회는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유통센터가 지원하여 소상공인의 이야기를 담은 공간이다. 이를 통해 온라인에서만 만나던 작가의 작품을 직접 확인해 볼 수 있으며, 구매와 체험, 음식까지 동시에 즐길 수 있다. 더불어, 자체적으로 작가 전시회를 개최해서 소비자에게 색다른 만남을 제시하고 있다.


최근 온라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기업들이 오프라인 플래그십 스토어를 열고 있다. (ex. 무신사) 온라인 기업은 왜 다른 부대 비용을 감수하면서 오프라인에 매장을 여는 걸까? 이는 직접 체험이 어려운 온라인 채널의 한계를 극복하고 오프라인 매장과 유기적인 시너지 창출이 가능하도록 만든 것이다. 고객에게 더 나은 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렇게 온라인 아이디어스가 오프라인 체험 공간을 제공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만들고 있다. 이른바 소비자의 체험 욕구를 채우고 있는 것이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