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다빈 Dec 14. 2023

MBTI는 싸이언스인가? (J는 P가 될 수 있나)

어떤 자리에서도 흔한 대화주제가 된 MBTI. 뻔한 대화소재일 수 있지만 간단한 아이스브레이킹으로 이만한 이야깃거리가 없는 것 같다.


나는 MBTI를 사이언스라고 생각한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성격유형으로써 정확성이 있다고 믿고 있다. 하지만 MBTI를 맹신할 수 없다는 가장 큰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특정 성향을 두 가지로만 나누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E와 I, S와 N, F와 T, P와 J 두 가지로만 나눈다는 것이다.


각 네 가지 영역이 모두 둘 중 하나의 성격유형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비슷한 MBTI를 가진 사람이더라도 다른 성향의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이를테면 50%를 살짝 넘어 E성향을 가진 사람은 I성향을 가진 사람보다 외향적으로 보이겠지만, 90% 이상의 E성향을 가진 사람보다 내향적으로 보일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MBTI 검사의 특성 때문에 두 가지로 나뉜 성격 유형 모두를 가졌지만 한 가지의 검사결과로만 표현되는 경우에는 실제 성격과는 이질감이 느껴지곤 한다.


특히 내 MBTI 검사의 결과는 계속 바뀌어왔다. 첫 MBTI 검사 결과는 ESTJ였다. 지금 다시 검사를 하면 INFJ이다. 50%를 간당간당하게 오가며 두 영역에 걸쳐진 탓에 시간이 지나며 조금씩 바뀌었고, 검사결과가 뒤집어져버렸다.


나는 애매모호한 내 검사결과를 긍정적으로 생각했다. 이도저도 아닌 결과일 수 있지만, 모든 성격유형의 장점을 담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리고선 이왕이면 ENFP가 되어 성격을 반대로 뒤집어버리고 싶었다. 쉽게 바뀔 수는 없겠지만 P와 J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라는 궁금증이 생겼다.


사람들은 P & J 두 성향의 차이를 ’ 계획’에 관심이 있는가를 초점에 맞추곤 한다. 물론 이 성향의 차이가 겉으로 드러나는 부분은 ’ 계획‘이 맞다.


하지만 조금 더 넓게 보자면 ’ 계획‘이 아닌 ’ 규칙‘이 맞는 것 같다. 스스로에게 부여하는 룰이라는 것이다.


결국 계획수립의 여부조차 스스로의 생각에 의해 결정된 룰에 의해 판단되는 것이다. 그 룰이 엄격한 사람은 계획을 엄격하게 세우겠지만, 스스로 정한 룰이 계획을 세우는 것에 대해 관대하다면 J성향일지라도 계획이 필요 없다는 결정을 할 수 있다.


과거의 나는 계획 세우기를 매우 꼼꼼히 했었다. 계획에 대한 스스로의 룰이 엄격했던 것이다. 지금 생각하면 그 계획들은 스스로를 힘들게 하는 욕심이기도 했다.


이를테면 그런 성향들은 특히 여행 중에 도드라졌다. 과거 여행에 떠날 때는 스스로 빡빡한 일정을 세웠다. 물론 그 일정을 소화해 냈을 때에는 뿌듯해하며 성취감을 느꼈지만, 그 일정에 대해 버거움을 느꼈을 때는 스스로 힘들어했다.


반면 그저 즉흥적인 마음으로 나와 여행을 함께했던 내 친구는 지금 그 여행을 매우 알차게 보냈던 뿌듯한 여행으로 기억한다.


결국 나는 스스로에게 부담을 주고 싶지 않은 마음에 계획에 대한 룰을 조금씩 내려놓았다. 스스로에게 줄 수 있는 뿌듯함이 줄었지만, 스스로에게 주는 실망감도 줄일 수 있지 않았을까?


지금의 나는 빡빡한 일정이나 계획을 세우지 않는다.


나에게 정해진 룰이 아직 남아있다면, 내 생각을 글로 남기거나 메모하는 것뿐이다. 생각들을 글로 남겼을 때 그 글을 읽고 뿌듯함을 느끼는 것도 행복이기 때문이다.


이 글을 쓰는 지금, 문득 나는 어떤 일도 즉흥적으로 편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번에는 다른 성격 유형도 바꿔볼 수 있을까?




작가의 이전글 얽히고 꼬이는 하트시그널 속에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