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현태 Jan 28. 2024

[디자인 칼럼] 역학의 재해석

토요타 프리우스


세상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하이브리드 자동차, 토요타의 프리우스다. 토요타는 2022년 가장 진보된 프리우스 5세대를 정식 공개한다. 'HYBRID REBORN'이라는 이름처럼 친환경 자동차 치고는 날렵하고 스포티한 외모가 시장의 주목을 이끌어낸다. 특히 배기량을 수출용 차량은 배기량을 기존 1.8L에서 2.0L까지 늘려나가면서 엔진출력을 개선한 채 높은 연비 효율을 유지하는 뚜렷한 성과를 보인다. 5세대 프리우스는 이듬해 4분기 대한민국 시장에도 프리우스는 정식 출시가 된다. 전기차 판매량 상승 기세가 위축된 가운데, 지속가능성을 품고 있는 스트롱 하이브리드 카는 많은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고 있다.     


세계 최초의 하이브리드 자동차로 전해지기도 한다. 정확히 세계 최초의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아니지만, 서민들의 소득수준으로 구매할 수 있었던 최초의 하이브리드 차라고 볼 수 있다. 앳킨슨 사이클 엔진과 고출력 모터, 발전기의 조합으로 구동되는 프리우스의 높은 연비는 충분한 상품 경쟁력이 있었다. 특히 주행 거리가 긴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입증된 내구성과 유류비 절감 효과는 대중들의 꾸준한 수요를 이끈다. 문제는 그만큼 프리우스라는 자동차에 대한 인식 자체가 '경제성'을 위한 차라는 인식이 박혀버린 것이다. 반면 5세대 프리우스의 첫인상은 세련미가 넘친다. 디자인을 분석해 본다.     


이전 세대 프리우스는 다소 과감한 디자인으로 소비자들의 평가가 상반된 바 있다. 당시 토요타의 디자인 철학은 'Vibrant & Clarity'를 전달하고자 했다. 자동차가 전달할 수 있는 역동감과 명료함을 자사의 디자인 메시지로 삼는다. 사실적으로 대중들의 많은 비판을 받기도 한다. 해체주의에 가까운 과감한 레이아웃과 기형적인 스타일링이 친근한 분위기는 아니었다. 하지만 토요타가 의도한 바는 '잊히지 않는 디자인'이다. 그런 측면에서는 분명 성공했다. 익숙지 않은 면모에서 느껴지는 이질감을 비롯해, 강렬한 인상은 많은 대중 차들 사이에서 이목을 집중시키기에 충분한 잠재력을 품었다.


사실 라디에이터 그릴을 하단부에 배치하고 헤드 램프를 보닛 근방에 배치하는 레이아웃 자체는 전과 동일하다. 하지만 곡선과 직선이 섞여있는 보디라인, 균형 감각이라고는 느껴보기 힘든 헤드램프의 비율, 억지스럽게 꺾여있는 웨이스트 라인, 과장된 C필러 마감 등 초면에는 이해하기 힘든 디테일들이 많이 혼재되어 있었다. 그마저도 페이스리프트 이후 안정적으로 다듬어진 디자인이다. 아무렴 프리우스의 중핵은 경제성이다. 아무리 디자인이 난해하고 독특하더라도 연비에 유리한 형태라고 부연 설명을 더하면, 많은 소비자들은 형태의 목적을 이해할 것이다.   

5세대 프리우스 역시 본성을 답습한 디자인이다. 연비에 유리한 형태, 즉 '공기역학'을 고려한 디자인이라는 점이다. 전반적으로 20세기 중후반, 특히 오일쇼크를 기점으로 유행처럼 퍼져나갔던 '쐐기형' 디자인을 연상시키고 있다. 그런 공기역학적인 형상 자체가 답습되고 개선되면서 디자인의 기능성과 심미성 모두가 향상되고 있다는 생각이다. 물론, 풀체인지를 통해 다수 스타일링 요소가 변경되었고 전반적인 디자인도 간결하게 다듬어졌다. 그러면서도 프리우스 답다는 생각은 잊히지 않는 것이 기능적인 차체 형상의 역할이 아니었을까 싶다. 


스타일링 자체는 토요타의 최신 패밀리룩을 따른다. '해머 헤드' 디자인으로 정의할 수 있다. 헤드 램프는 'ㄷ' 자로 분할하였고, 그 사이로 범퍼 상단부가 파고들면서 보닛이 더욱 길고 넓어 보이게 하는 효과를 준다. 마치 귀상어를 닮았다는 비유가 돌기도 한다. 물론 헤드램프를 반드시 'ㄷ'자로 디자인했어야 할 이유는 없다. 단지 심미적인 요인이자 토요타의 디자인 방향이다. 여전히 토요타는 너무 식상하지 않은 자사만의 표현 방식을 강조하고 싶어 한다. 하지만 직선 위주의 디테일을 살리고, 정석적으로 좋은 비율이라 평가받는 부분들을 최대한 살려내고자 했다.  


정면에서 바라보면 'ㄷ'자 형태의 그래픽은 더욱 개성적인 인상을 남긴다. 그 두께가 얇기 때문에 특유의 카리스마를 남겨주기도 한다. 밋밋할 수 있는 보닛을 분할하고, 하단의 DRL 라인으로 노즈 끝부분 모서리 라인을 한 번 더 강조한다. 즉, 노즈 끝부분이 강조되기 때문에 관찰자의 시점에서는 보닛이 더욱 길고 차가 커 보이게 되는 효과를 준다. 자세히 보며 헤드램프 하단 부 범퍼에는 깊은 음영이 져 있다. 이 또한 노즈를 강조하기 위한 목적이 분명하다. 전체적인 음영이 'V' 자로 형성되어 있고, 다시 정측면 사진을 보면 차체 전방부 중심이 극도로 강조되어 있음을 알아볼 수 있다.


헤드램프와 중심부 에어인테이크를 연결한 디자인도 세련된 감각이다. 이전 세대 프리우스도 차체 전폭에 비해 헤드램프의 폭이 너무 길었다. 때문에 차체 폭이 좁아 보이고 다소 엉성해 보이는 인상을 준다. 이번 5세대 프리우스도 헤드램프의 폭 자체는 차량 전폭 대비 긴 편이다. 하지만 헤드램프를 중심 에어 인테이크와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형상처럼 보이도록 유도한다. 덕분에 수평형의 라인은 오히려 전폭이 더 길어 보이게 하는 효과를 줄 수 있다. 라디에이터 그릴이 자리 잡은 범퍼 형상은 간결하다. 앞서 노즈를 강조하기 위한 목적과 일맥상통한다. 대신 프레임의 소재 감각과 차량 하부 언더커버 마감이 정교하다.

극단적인 쐐기 형태를 보이는 프리우스의 측면이다. 보닛 끝부분부터 B필러까지 차체는 일관되게 상승한다. 보닛, 캐빈, 트렁크가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는 차체 비율은 프리우스의 전통적인 디자인 프로필과 같다. 유체는 자체적인 점성을 갖고 있고,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게 되는 성징을 갖는다. 때문에 차체 표면에 생기는 굴곡 하나하나가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고 압력 저항을 발생시키는 에너지 손실의 근원이 된다. 그런 차체 굴곡을 최소화하기 위한 형상이다. 특히 공기 저항을 줄이기 위해 완만하게 떨어지는 C필러는 최근 유행하는 쿠페형 크로스오버의 스타일링과 유사해 보인다. 


이전 세대에 비해 차체 측면의 잡다한 주름을 대부분 생략했다. C필러의 스타일링 요소나 2열 도어 캐치까지 생략하는 등 극도의 간결함을 추구한다. 미래지향적인 분위기다. 윈도우 라인 덕분에 역동적인 분위기도 살아난다. 특히 벨트라인이 뒤로 갈수록 상승하는 형태이다. 이전 세대에 비해 창문 면적은 좁아졌지만, 시각적으로 날렵하다는 느낌은 받을 수 있다. 이 외 로커패널에는 깊은 주름을 하나 새겼고, 웨이스트 라인을 강조하면서 스포티한 감성을 더한다. 이전 세대에 비해 프런트 오버행의 무게감을 줄여나간 점도 차세대 프리우스의 날렵한 프로필에 도움을 주었다. 친환경 차에 19인치 휠을 적용한 점도 이례적이다.


후면 디자인도 이전 세대와 비교하자면 훨씬 간결한 인상을 추구하고 있다. 특히 'ㄴ' 자로 크고 길게 뻗어있던 테일램프가 하나의 수평형 그래픽으로 변경된다. 역시 이전 세대에 비해 비율상으로 한결 나아졌다. 차폭을 넓어 보이게 하는 디자인 요소다. 양 끝단이 쿼터패널과 범퍼 사이로 파고드는듯한 모서리 마감도 독특했다. 반대로 말하면 리어 쿼터 패널, 즉 차체 후면부 모서리에 날이 서있는 차체 형상이 특이하다. 앞서 언급했던 공기의 흐름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형태다. 다수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범퍼 끝단은 각이 져 있거나 날이 서있음을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프리우스는 완만한 루프라인과 맺어지면서 후면부 전고가 굉장히 높은 편이기도 하다. 때문에 두께가 얇은 테일램프는 미래지향성의 이면에서 빈약한 인상을 남길 수 있다. 때문에 후면부에 마스크 형태로 검은색 패널을 적용시켰다. 이는 리어범퍼 넘버 플레이트 주변의 색상과도 동일한 색감으로 통일감을 남긴다. 프리우스 레터링을 검은색으로 도장한 점도 스포티한 분위기에 일조한다. 또 이전 세대와의 차이점으로는 리어 와이퍼가 생략되었고, 루프스킨을 적용함으로써 전반적인 이미지가 세련되게 변화하였다. 리플렉터나 보조 제동등의 크기도 작게하여 최대한 깔끔하게 배치한 모습이다.     

실내 디자인 컨셉트는 '아일랜드 아키텍처'라 한다. 프리우스는 캡 포워드 디자인이라 앞 유리 면적이 상당히 넓은데, 대시보드 끝부분과 도어트림을 하나로 연결하여 아늑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대시보드 자체는 마치 선반처럼 간결하고 슬림한 디자인을 택해 모던한 감각이 느껴진다. 레이아웃은 운전자의 직관성을 중요시 여기는 전형적인 북미시장 전략형 차량이다. 특이한 점은 스티어링 휠의 직경이 굉장히 짧다는 점이다. 스포크 길이도 짧아지다 보니 버튼을 세로로 배치한 점이 독특하다.


스티어링 휠의 크기가 작다 보니 전체적으로 실내 공간이 훨씬 넓어 보이는 효과를 준다. 실제 차량을 탑승할 때 체감되는 크기 대비, 시각적으로 보이는 공간감이 잘 강조된 편이다. 센터 콘솔도 컵홀더를 기점으로 점차 좁아지는 형태, 전자식 기어노브는 작고 아담한 크기를 보인다. 센터패시아의 버튼이 최소화된 대신, 디스플레이 화면을 12.3인치까지 확장했다. 참고로 이전 세대 프리우스는 디지털 클러스터를 대시보드 중심에 배치한 바 있다. 풀체인지 이후에는 화면 크기가 커지면서, 운전석 시야에 소형 LCD를 따로 배치한다. 스티어링 휠의 상단으로 확인하는 구성이다.


전체적으로 미래지향성과 역동성이 양립하는 5세대 프리우스의 디자인이었다. 프리우스는 전통적으로 공기역학적인 디자인을 추구해왔다. 공기저항을 줄이기 위함이다. 사실 역학적인 디자인은 실용성을 해치지 않는 한 모든 자동차에 지대하게 고려되는 사항이다. 특히 성능을 위해 실용성과 타협하는 스포츠 쿠페들도, 극단적인 트랙션을 추구하지 않는다면 Cd 값을 낮추고자 하는 게 일반적이다. 5세대 프리우스는 그러한 공기역학적인 바디실루엣을 최대한 스포티한 감각으로 꾸며낸 접근이다. 특히 샤프함을 더하는 해머 헤드 디자인이나 벨트라인 배치, 완만한 C필러 라인은 실내 공간을 크게 훼손하지 않으면서 역동성을 극대화한다.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훌륭한 재해석이다. 서론에서 프리우스는 그 시작부터 '경제성'을 추구한 만큼 서민들의 자동차라는 인식이 각색되어 버렸다는 이야기를 했다. 기술적으로는 진보적이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이동 수단이었지만, 결국 연비 좋고 실용적인 자동차로써 시장에는 받아들여진 것이다. 사업적으로는 장점과 단점이 있다. 서민을 위한 차라면 프리우스를 떠올릴 수 있겠지만, 더 이상의 부가가치를 덧붙이지 못한다. 하지만 5세대 프리우스는 무엇보다 갖고 싶은 디자인으로 변화했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가치가 돋보이는 시기, 차세대 프리우스의 성과가 기대된다.  

글: 유현태

사진: 토요타 공식





매거진의 이전글 [디자인 칼럼] 고급화의 사이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