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쌀씨 Oct 24. 2018

5. 어느 경단녀의 설움

인생은 회전목마

42시간의 진통 끝에 결국 수술로 애를 낳은 나는, 처음 아들을 보고 내가 구황작물을 낳은 줄 알았다. 가뜩이나 애도 별로 안 좋아하는 여자라 임신 출산 육아에 대한 로망이 전혀 없었는데- 모성이라는 것이 출산과 함께 동시 장착되지는 않는다는 사실을 배웠다. 다행히 못생긴 내 아들은 내 젖을 먹으며 포동포동 살이 올랐고 아들에 대한 내 애정도 천천히 살이 올랐다.

3개월의 출산휴가와 1년의 육아휴직 끝에 나는 퇴직했다. 비록 나 스스로 퇴사 의사는 밝혔으나 그 의사에 잇몸 만개하며 애는 엄마가 키우는 것이 좋다 하던 상사의 표정은 결코 잊지 않으리. 어차피 돌아갈 자리도 없었던 것이다.

일을 하던 시절에는 다소 우울하고 몸이 좋지 않던 순간- 맛있는 것을 먹으며 기분을 풀었다. 화장품을 사고, 머리를 세팅하고, 하다못해 매니큐어라도 하나 구입해서 기분전환을 하던 나날. 근데 그 모든 것들이 사라지자 깨달았다. 내게는 생리 전 증후군 있었단 사실을. 어쩜 타이밍 좋게 퇴사하자 출산 후 첫 생리가 터졌다. 달에 한번 나의 기분은 바닥을 쳤다. 애가 있는 나는 그 이전에 하던 모든 기분전환의 행위들을 할 수 없었으니까. 애가 있어 외출이 어려웠고, 모유수유 중이니 머리도 못하고, 집에만 있으니 화장품은 줄지 않는다. 무엇보다 그 모든 행위의 돈은- 남편이 벌어오는 돈이었다.

사실 내 우울은 이미 임신 순간부터 예견된 일이었다. 내가 임신을 하자 내 주위 모든 사람들은 내게, 혹 아이를 창밖으로 던지고 싶어 지면 꼭 나에게 연락하라는 말을 했다. 남편 역시 그런 기분이 들면 꼭 자신에게 말해달라고 신신당부를 하곤 했다. 그 정도로 나는 엄마라는 포지션이 안 어울리는 인간이었다.

스스로 우울함의 원인을 잘 아는 사람도 남에겐 그 사실을 잘 털어놓지 못한다. 자존심이 상하기 때문이다. 엄마로서 아이에 대한 애정이 한 방울 한 방울 쌓여가면서 내 자존감은 조금씩 말라비틀어지고 있었다. 자존감이 떨어지자 자존심이 높아졌고 그 사실을 인정하는 일이 너무 어려웠다. 이 사회에서 나는 남편의 동의 없이는 신용카드 한 장도 못 만드는 인간이 되어 있었다. 쌓인 분노와 우울은 남편에게 터져나갔고 별 시답잖은 일에도 터져버리는 아내를 남편은 이해하지 못했다. 호르몬과 실직은 날 미치게 만들고 있었다.


나는 일이 하고 싶었다. 내 이름이 불리며 미션을 해결하고 상사의 인정을 받으며 한 달의 대가를 매월 통장에 꽂아 넣는 그런 삶. 출산 이전까지 당연했던 그 삶을 다시 찾고 싶었다. 그러나 내 경력으로 버는 돈이 뻔했으며 아이를 돌보며 할 수 있는 일이 아니었다. 그 와중에 남편은 더욱 근무시간이 불규칙하지만- 그래도 정년이 더 길고 월급이 큰 직종으로 이직을 했다. 일을 싫어하는 남자는 가정을 위해 나아가고 있었고, 일이 하고 싶은 여자는 가정을 위해 주저앉아 있었다. 사실 애는 남편이 더 잘 보았고 지금도 잘 본다. 그는 젖먹이는 일 빼고 모든 부분에서 나보다 나았다. 그런데도 현실에서 우리의 포지션은 반대였던 것이다.

그는 내 우울의 원인을 알고서 나를 보듬었다. 내 말라비틀어진 자존감의 그릇은 남편이 뿌리는 단비에 잠시 촉촉해졌다가도, 다시 말라비틀어졌다. 한번 무너진 자존감은 쉽게 차오르지 않았다. 우리는 오래 싸웠고 오래 우울했다. 여전히 나는 남편의 신용도 없이는 신용카드를 만들 수 없는 사람이었으니까.

내 기분전환이라고는 카카오톡 프로필 사진을 아들의 인생 샷으로 바꾸는 일 정도였다.

그 와중에 남편의 여동생 소식을 들었다.


나는 아가씨나 서방님이란 말이 참 입에 안 붙지만, 그래도 의연하게 그 호칭을 해낸다. 대체 내가 왜 필요 이상의 존칭을 써야 하는지 납득하긴 힘들지만 마땅한 대용품이 없었던 탓이다. 나보다 나이라도 어리면 동생 취급이라도 하겠는데 심지어 나이도 많고 먼저 결혼했다. 그래서 요즘은 내 아들 이름+고모 혹은 고모부라고 부르려고 노력 중이다. 내 친정엄마가 그러하셨던 것처럼. 우리 엄마는 본인의 시누이들을 고모라고 불렀다.

그나마 그게 덜 이상하지 않은가.


여하튼 남편의 여동생- 이하, 고모 -는 여군이다. 장교인 그녀는 나의 시어머니이자 그녀의 친정엄마에게 아이 둘을 맡기고 있는 워킹맘이기도 하다. 가끔 내 눈앞에서 남녀가 임신 출산과 군대를 두고 무의미한(일이라고 우리 부부는 생각한다) 설전을 벌이면 나는 그녀의 이야기를 한다. 군인으로서 두 번의 출산을 경험한 여자의 이야기 앞에서 좌중은 입을 닥치곤 했다.

그녀의 둘째 아이는 내 아들과 동갑이다. 때문에 인생 최대의 악다구니 기간을 보내고 있던 나에게 시어머니의 입에서 들리는 그녀의 직장과 관련한 소식들은 큰 자극제가 되었다.

나는 그때부터 스스로를 세뇌하기 시작했다.

나는 능력 있는 사람이다. 나는 얼마든지 다시 일할 수 있다.  애가 크면 어린이집에 보내자. 나는 대단한 사람이다. 나는 내 남편보다 더 능력 있는 사람이다.

나의 세뇌에 남편은 센스 있게 맞장구를 쳤다. 맞아 다시 일할 수 있어. 넌 일해야 되는 사람이야. 이러고 있을 사람이 아니지. 그냥 잠시 지나가는 순간이야.

지금 생각해보면 나를 조련하는데 매우 능숙한 인간이 아니었나 싶다.

살만해지면 일이 터지는 것이 우리네 인생사라던가. 흐름에 맡겨 나 좋을 대로 살던 내 인생에 육아 보다고 더 격정적인 사건이 터진 것 또한 그 무렵이었다. 일명 시할머니 사건은 바로 이 당시에 터졌다.

그것이 고모의 진급 이후였는지 이전이었는지 기억나진 않는다.

워낙 뺨 때리듯 이 일 저 일이 터져서 지금 와서는 어떻게 그 모든 것들을 해냈는지 이해가 안 될 지경이었으니까.

중요한 것은 그녀가 직장에서 스펙을 쌓아 갈 때 나는 인생 최대의 난관과 싸워야 했다는 사실이다. 옹졸해 보일지는 몰라도 내심 분하고 억울했음을 분명하게 밝힌다. 그녀의 진급은 그녀 개인의 노력에 달린 일이었겠지만 그 노력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진 것 또한 그녀의 팔자 덕 아닌가. 그 복이 너무 부러웠다.

지금 와서는 지난날 또한 내 스펙이요 나의 능력치가 커지기 위한 도약이었음이라- 도 닦는 어르신 마냥 중얼거리고 있지만 서도.

매거진의 이전글 4. 가장의 마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