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am May 28. 2023

380K의 팔로워를 만들어낸 커뮤니티 마케팅의 비밀

PAK 사례를 통해 커뮤니티 마케팅 이해하기


 커뮤니티를 통해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다 


 개개인의 개성이 더욱 뚜렷해지는 시대에 자신만의 취향과 기호로 뭉친 커뮤니티들이 자라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커뮤니티 마케팅이 시도되고 있는데, 이는 커뮤니티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는 사회적 배경과 함께 생각해볼 수 있다. 커뮤니티를 통해 문제 해결하는 과정은 유저 개개인이 함께 솔루션을 개발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은 물론, 현대 자본주의 시장의 개인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커뮤니티들은 테크놀로지와의 시너지를 통해 그동안 시장과 정부가 꾸준히 실패해 온 분야의 솔루션을 만들어낼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이제는 커뮤니티가 현대사회의 사각지대를 파고들어 가려운 곳을 긁어줄 효자손이 될 것이라는 얘기다.


*이 글은 2023년도 Ethereum.org Writers Cohort의 2주 차 글입니다.


source: https://archillect.com/


 목차 


1. 커뮤니티 마케팅 없는 커뮤니티 마케팅


2. PAK가 유명해지기 전에 무엇을 했는가


3. 취향을 기반으로 발견한 문제의식에 파고들기


4. 결론 및 요약 : 특정 커뮤니티의 고착화된 문제를 해결하기



 1. 커뮤니티 마케팅 없는 커뮤니티 마케팅 


 1. 커뮤니티 마케팅 없는 커뮤니티 마케팅 

커뮤니티 문제 해결, 크리에이터의 접근방식


 커뮤니티라는 말을 가장 사용하던 산업군 중 하나인 크립토 산업. 최근들어 루나(Luna)와 FTX 악재가 연달아 터지면서 많은 크립토 커뮤니티들이 멸종했다. 마치 원래부터 없었던 것처럼 수많은 멤버들과 마케터와, 커뮤니티-드리븐 커뮤니티들이 사라졌다. 이 글을 적을 시점에는 모든 게 사라질 때, 사라지지 않는 것을 찾고 싶었다. 강세장과 약세장을 막론하고 꾸준히 살아남아 이더리움 체인에 작품을 올리는 작가가 눈길을 끌었다. PAK은 2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디지털 아트의 가장 파급력 있는 선두주자이자, 2021년 12월의 Merge NFT를 통해 9,180만 달러의 수익을 올리기도 했다.

이번 주차의 글감을 정할 때, PAK의 NFT 사례가 유기적인 커뮤니티 마케팅에 대한 좋은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라 생각했다. NFT 시장의 최전선에 있는 인기 작가의 삶을 분석하며 던졌던 질문은 하나였다. 커뮤니티 마케팅의 본질이 뭘까? 이번 케이스 분석을 통해 느낀 것은 커뮤니티 마케팅의 본질은 마케팅이 아니라, 확고한 취향이 기반이 되었을 때 커뮤니티는 자연스럽게 자라난다는 것이었다.


크리에이터와 마케터들이 필요한 것:   

특정 커뮤니티의 문제를 식별할 것

기존 시장에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이유를 식별할 것

문제를 산업의 최신 테크놀로지와 연결하여 해결할 것



 2. PAK은 유명해지기 전에 무엇을 했는가 

취향 기반의 커뮤니티 형성


크립토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단어가 있다. "커뮤니티-드리븐(community-driven)"이라는 용어다. 그러나 필자의 생각으로는, 용어가 남용되면서 본래의 진정한 의미를 잃어버린 것 같다. 우리가 커뮤니티-드리븐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만 하면, 커뮤니티 멤버들이 자발적으로 2차 창작과 커뮤니티 루틴을 만들어 자생할 것만 같은 착각에 빠지는 것 같은데, 실제로 그런 일은 (거의) 없다. 실제로는 취향에 기반한 커뮤니티 형성이 먼저 일어난다. 그리고 형성된 커뮤니티를 면밀히 관찰하면 커뮤니티가 직면한 문제를 자연스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2014년, PAK은 Archillect를 만들었다. PAK이 Archillect를 만든 주된 이유는 영감을 받고 싶거나 훌륭한 시각 비주얼을 찾을 때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서였다. 이 플랫폼에서는 이미지와 연관된 키워드를 기반으로 학습된 AI가 소셜미디어에서 찾아낸 비주얼 아트를 큐레이션 하여 전시했고, 금세 사람들의 이목을 끌었다.

source: https: /blog.archillect.com/archillect-faq-3b22342c352a


쉽게 말하자면, Archillect는 AI가 큐레이션 하는 Pinterest였다. 2014년에 만들어진 PAK의 Archillect 프로젝트는 2016년부터 꽤나 많은 인기를 끌었고, 2016년에 비해 2019년에는 6배 이상 증가하여 월간 약 30억 명의 유기적인 도달을 기록했다.

@archillect의 운영 이후 가장 큰 문제로 두드러졌던 이슈는 원작자 문제였다고 한다. 훌륭한 콘텐츠를 찾아 공유하고, 소셜 미디어의 도움을 받아 계정의 예상치 못한 성장 속도로 하루 동안 수백만 명에게 도달하는 일은 의외로 쉬웠다. 그러나 그것이 어디에서 왔는지 어디에서 왔는지 어디에서 왔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웠다.

 

이 경험을 통해 PAK이 파악하게 된 가장 큰 문제는 대부분의 사람들, 특히 Archillect의 사용자들이 콘텐츠 소스에 대해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3. 취향을 기반으로 발견한 문제의식에 파고들기 

문제 해결 사고방식 연마하기


Archillect 플랫폼을 운영하면서 PAK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장단점을 명확히 이해하게 된다. 장점은 바로 누구나 퀄리티 높은 데이터베이스에 쉽게 액세스 하고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는 사실이었다.

동시에 PAK은 소셜미디어의 문제에 대한 명확한 인식 역시 얻었다. Archillect의 초기부터 원작자 문제는 PAK가 프로젝트에 대한 주요 우려 사항 중 하나였으며, 지금까지도 소셜 미디어에서 대두되는 주요한 논점 중 하나다.

PAK이 원작자를 찾으려 노력할 때마다 Archillect가 찾아낸 것은 대부분 특정 url의 복사본의 복사본이었다. PAK는 또한 사람들이 소스를 찾으려고 하고, 왜 소스가 Archillect의 실제 게시물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지 의문을 제기하고, 소스와 함께 콘텐츠를 공유하려고 노력했지만 이전 플랫폼 문제에 다시 마주쳤다. 기술적인 이유와 콘텐츠를 감상하는 유저들의 선호가 혼재되어 있었다.


PAK이 밝혀낸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았다.   

이유 I: 안전

Archillect는 소스를 인간이 검증하지 않는 500K+ 팔로워의 봇이므로 소스 URL을 포함하면 전체 유저에게 유해한 콘텐츠를 공유할 위험이 있음   

이유 II : Shadowban

트위터는 URL 콘텐츠를 그만큼 처리하는 데 매우 나쁜 편으로 계정을 스팸처리 해버리는 경우가 다수

이유 III : 유저 선호도

팔로워들에게 여러 번 질문한 결과, 대부분의 사람들은 링크가 타임라인을 어지럽히기 때문에 관객들도 원작자 링크(혹은 소스)가 없는 콘텐츠를 미적으로 선호함



이후 어떤 일이 일어났을까?

 

 Archillect 플랫폼을 운영하면서 PAK은 2020년에 NFT 개념을 접하게 된다. NFT에 사용된 블록체인 테크놀로지가 저작권 문제에 대응하는 데 가치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PAK은 Cloud Monument Dark와 같은 디지털 아트를 NFT로 토큰화하여 그동안 골몰했던 문제를 몇 시간 내에 문제를 해결했다.

또한 PAK이 심사위원을 맡았던 Awwwards 사이트에 공개된 PAK의 이력에 따르면, 디자인과 시각 커뮤니케이션 및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공부한 것으로 확인된다. 뉴미디어, 디자인, 인터랙션/UX 분야에서 3개의 박사 학위 외에도 사이드로 Archillect 프로젝트를 운영했던 PAK. PAK의 케이스를 살펴볼 때, 그는 뚜렷한 취향을 기반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소재를 파고들어 현재 시장이 필요로 하는 문제점의 근본에 가닿은 것으로 보인다. NFT라는 개념을 만나는 순간에, 그것의 가치를 알아볼 수 있었던 것은 그가 밟아온 발자취 덕분이었다. 취향을 기반으로 탄탄하게 쌓인 경험들이 기존 시장에서 풀지 못했던 문제를 새로운 테크놀로지가 해결할 수 있다는 것 사실을 파악하게 한 것이다. 그의 작품이 많은 유저들의 선택을 받으며, 자연스럽게 커뮤니티가 형성되며, 그의 메시지의 진실성을 알아보게 된다.


 이 분석글을 적으며, 그가 자신의 취향을 기반으로 진정성 있게 시장의 흐름과 문제를 탐구했던 무수한 노력에 감탄했다. (그의 이전 Archillect에 대한 운영내역은 Medium에 상세히 적혀있다) 또한, 자신의 취향에 대한 신념 있는 노력이 쌓여 탄생한 작품들에 커뮤니티가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을 보면서, 진정한 오가닉 커뮤니티 마케팅의 진수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의 작품들 속에 이전에는 보이지 않던 장인 정신이 보이기 시작한다.



“Murat Pak is one of the leading designers in the worldwide motion design communities. Studied design, visual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theories; after a long quantitative background. Currently doing three PhDs in New Media, Design and Interaction/UX. Showcased and featured in many major design communities such as VimeoIDN, OFFF, Motionographer, GraphicDesign, Fubiz, Designcollector, Shots, Stash, Computerarts; besides numerous magazines, festivals, publications, installations and interviews. World Wide finalist/shortlisted of Vimeo Awards, 2010 and 2012.” -Awwwards




 4. 결론 및 요약 

특정 커뮤니티의 고착화된 문제를 해결하기


 현시점(2023년 5월) 기준, PAK의 트위터 팔로워수는 381.6K다. 아직 초기시장인 NFT 산업에서 파격적인 작품들을 선보이며 자연스럽게 380K가 넘는 끈끈한 팬층을 만들어낸 PAK. 그는 유명세를 누리기 이전부터 AI기반 이미지 큐레이션 플랫폼을 운영하며 디지털 아트가 시장에서 어떻게 평가받는지, 또 어떤 문제지점을 마주하고 있는지를 고민했다. 특정 커뮤니티의 고착화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사실 커뮤니티 마케팅의 본질이라는 생각이 들었던 지점이다.

 이번 사례 분석을 통해, 특정 커뮤니티의 존재이유를 이해하고, 그 커뮤니티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에게 커뮤니티가 따라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기존 시장이 풀지 못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 방법에 골몰하는 숙성기간이 커뮤니티 형성에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사례.



결론 및 요약   

자신이 탐구하는 소재에 파고들어 직접 시장의 문제를 파악해야 한다.

PAK은 직접 AI 아트 큐레이션 플랫폼을 운영하면서 디지털 아트 산업계에 저작권 문제가 심각하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블록체인 테크놀로지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디지털 아트에 자신만의 메시지를 삽입하자 PAK에게 자연스럽게 팬 커뮤니티를 구축되다.


 다음 화 예고 


다음 주제는 AI와 NFT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새로운 산업 전망이 될 예정. 다음 주제에서는 AI 기술과 NFT의 결합으로 가져온 혁신을 탐구하고, NFT와 AI 기술이 새로운 예술 산업을 어떻게 만들어 낼 수 있는지 자세히 탐구합니다. 궁금하신 분은 구독 버튼을 눌러주세요!




 본 글이 재미있으셨다면?

IP 산업의 방향성 : 오너십 이코노미에 대한 필자의 글


 필자가 궁금하시다면?

섭스택의 팟캐스트, 소디오로 찾아오세요!



contact : mingnppaek@gmail.com


#웹3 #NFT #문제해결 #커뮤니티 #ururl #ururl챌린지 

작가의 이전글 영화 <체실 비치에서(On Chesil Beach)>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