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준형 Jun 19. 2023

MVP 다음, 무엇을 만들까?

MaxDiff 활용으로 다음 릴리즈 준비하기

MVP로 시장에서 프로덕트를 성공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만약 그 고난과 역경을 뚫어내고 드디어 의미있는 지표가 만들어지기 시작하면 그 다음은 무엇을 해야할까?


프로덕트/회사의 방향성에 따른 다양한 경로가 있겠으나, 얼리 스테이지에서 가장 많이 취하는 방식은 '기능의 추가'일 것이다. 기능이 추가되면 사용편의성도 오르고 프로덕트 유용성도 올라가 타겟 사용자도 넓힐 수 있다. 그럼 어떤 기능을 추가할 것인가? PO/PM이 주장한 기능? CS가 많이 들어오는 기능? 


한 발만 잘 못 디뎌도 출렁이는 지표에 결정을 내리기 쉽지 않다. 어떻게 만든 숫자인데, MVP 단계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잃을게 생겼다는 두려움'도 생겼다. 아직 부족한 기능도 많은데 그 많은 것들 중, 지금 이것에 리소스를 붓는 것이 맞나 싶은 생각도 든다. 이런 상황을 도와줄 수 있는 리서치는 무엇이 있을까? 


MaxDiff?

흔히 A,B,C,D라는 기능 중 어느 것이 더 중요한 것인지 우선순위를 판단하기 위해 구성할 수 있는 설문지를 아래와 같이 구성하기도 한다. 


1) A~D 항목의 중요도를 리커트 척도(중요하지 않음~중요함)로 응답하게 한다.

2) A~D 의 중요도를 순서로 표시하게한다. (Ranking)


그러나 1번 방식은 '우선순위'를 측정함에 있어 개별 항목이 독립적으로 측정되기에 상대적인 평가가 어렵다. 기능 A와 기능 B가 각각 4.0이라는 숫자를 기록하면 두 개 중에 무엇이 우위인지 평가하기 어렵다. (그럴 가능성도 높다.) 2번 방식으로는 많은 수의 기능을 한 번에 응답받기 쉽지 않다. 20개의 기능이 있다고 가정해보라. 응답자는 17번째 항목과 18번째 항목이 얼마나 우선순위에서 차이가 있는지 설명하지 못할 것이다. 


이럴때 Max Different Scaling을 활용할 수 있다. 

MaxDiff의 기본 아이디어는 하나의 세트로 구성된 기능들 중에 Best - Worst를 꼽는 방식이다. 

가령 A를 Best, D를 Worst로 꼽았다면, A>(B,C)>D 관계가 성립하고 이것을 여러번 반복하면 많은 기능 중가장 중요한 것부터 덜 중요한 것까지 순위를 매길 수 있게 되는 것.


어떻게 해석해야하는가?

Best Score와 Worst Score를 각각 계산한다. 아래의 그래프는 예시. 


하나의 세트에 몇개의 아이템을 보여줘야 하나?

4~5개 정도가 적당. 세트 아이템을 적게하고 전체 세트 수를 늘리는게 좋다고 한다. 


한 응답자에 몇개의 세트가 노출되는 것이 적당한가?

다다익선이긴 하지만 보통 20개까지 괜찮다고 한다. 


관련 참조 링크

https://hbr.org/2009/04/what-do-customers-really-want

https://content.sawtoothsoftware.com/assets/cb58ce5e-9d49-4d3c-b066-24bb735ad26d

https://blog.naver.com/shchoiher/220538262224



프로덕트 빌드 방법론에서 데이터 드리븐이 대세가 된 후로 '프로덕트는 가설의 집합'이라는 말이 많이 회자되지만 사실 가설은 검증하는것 보다 올바른 가설을 세우는 것이 더 중요하다. 새로운 기능 개발은 '합의'가 아니다. 


서베이에 늘 동의함~동의하지 않음이나 NPS만 써왔다면 새로운 설문 방법에도 도전해보는게 어떠신지.. :)

작가의 이전글 [북리뷰]프로덕트 디자인 입문 with 피그마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