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방자까 Jul 10. 2023

편견과 오만을 뛰어넘어 경청

영화 <독친>

우리나라에서 아이를 잘 키우는 것의 기준이 언제부터 SKY 입학, 대기업 입사, 전문직 합격이 되었을까요? 영화는 현실의 거울이라는데, 얼마나 많은 자식이 부모로부터 고통을 받으면 뒤틀린 모녀 관계를 소재로 하는 한국 영화가 계속해서 등장하는 걸까요? 과연 나이를 지긋이 먹은 먼 훗날에는 "예전에 할미가 젊었을 때, 우리나라에 그렇게 '극성 엄마'를 소재로 한 영화들이 많았어요. '극성 엄마'가 뭐냐고? 그런 게 있었어요." 하고 말할 수 있는 날이 올까요? 


머릿속에 뭉게뭉게 피어오르는 씁쓸한 말풍선들은 뒤로 제쳐두고, 생각의 도화선에 불을 붙인 이 작품에 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에서 만난 세 번째 작품 <독친>입니다. 


독친
Toxic Parents

어느 날, 등교하지 않고 사라진 고등학생 '유리'가 몇몇 사람들과 함께 죽은 채 발견됩니다. 경찰은 동반 자살을 염두에 두고 가족, 선생님, 친구들로부터 증언을 수집하며 사건의 진상을 파헤쳐 나가죠. 극은 두 가지 갈래의 미스터리와 함께 흘러갑니다. '유리'는 왜 자살했을까? 그리고 엄마 '혜영'과 딸 '유리'는 도대체 어떤 모녀 관계였을까? 


'유리'를 죽음으로 내몬 것이 엄마였다는 건, 사사건건 '유리'의 삶에 간섭하고 집착하는 엄마 '혜영'의 모습에서 쉽게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혜영'에게는 자녀에게 독이 되는 부모, 독친(毒親)의 모습이 계속해서 엿보이죠. 가수를 준비하는 친구 '예나'와 딸에게 관심을 쏟는 담임 선생님 '기범'은 엄마 '혜영'에게 "근본 없는 거"에 지나지 않습니다. 딸의 사회적 등급을 떨어뜨릴 방해꾼 나부랭이들이죠. 결혼정보회사 매니저인 '혜영'은 딸이 더 나은 등급의 사람으로 거듭나도록 극성 엄마가 되기를 자처합니다.


핸드폰 통화 내용까지 몰래 도청할 정도로 유난을 떨었던 '혜영'이지만, 모순되게도 딸의 진짜 목소리를 들어주는 엄마는 아니었습니다. 들려오는 목소리에도 귀를 막고, 듣고 싶은 것만 들었죠. 과할 만큼 철저하게 관리했으나, 실제로는 자기 자식에 관해 제대로 아는 게 하나도 없었습니다. 타살 정황이 없는 상황에서도 아이는 절대 자살할 성격이 아니라고 굳게 믿고, 딸에게 걸림돌처럼 보였던 '예나'와 '기범'을 냅다 살인 혐의로 고소해 버리죠. 생선 알레르기가 있는 줄도 모르고, 머리에 좋다며 꽁치를 넣은 찌개를 억지로 먹여오기도 했습니다.


'혜영'의 무서운 점은 자신에게 그래도 된다는 특권이 있다고 단단히 믿는다는 겁니다. 특권의 이름은 다름 아닌 '엄마'. 엄마니까 도청할 수도 있고, 엄마니까 자식을 위해 이런다는 거죠. 안타깝게도 '엄마'라는 이름을 특권으로 착각하는 극성 부모는 현실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자식을 영어 유치원에 보내려고 '4세 고시' 따위를 치르는 것도, 엄마니까 그러는 거랍니다. 이런 뉴스들을 읽으면 가슴 안쪽이 답답해져 옵니다. 부모라는 이름을 특권 삼아 내세우는 사람들에게 묻고 싶습니다. '엄마니까'라는 방패가 아이에게 지울 수 없는 상처를 입히는 날카로운 칼날이 될 수 있다는 걸 정말 모르시나요?




'유리'가 목숨을 끊을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자신을 꽉 조여오는 엄마의 울타리를 도저히 견디지 못해서'와 같은 이유로 단순하게 설명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독친>은 무척 섬세한 영화입니다. 지나치게 내밀해서 당사자가 아니면 쉽게 알 수 없는 모녀 관계의 실상에 한 걸음씩 다가가면서, 관객이 '유리'가 죽음을 선택한 진짜 이유를 깊이 있게 이해하게끔 유도하죠. 


'유리'는 더 나은 세상에서 엄마에게 사랑하는 법을 알려주고자 떠난다고 고백합니다. 나중에 드러나지만, 엄마 '혜영'은 어린 시절 가정폭력의 피해자였습니다. 폭력으로 길러졌기에 지나친 보살핌과 집착을 사랑이라고 착각했을지도 모르죠. 엄마도 딸도 서로를 사랑하는 건 분명한데, 왜 이런 비극적인 결말에 도달할 수밖에 없었던 걸까요? <독친>은 뿌리 뽑지 못한 가정폭력과 인간을 등급으로 나눠 함부로 평가하는 우리 사회가 만들어 낸 비극의 한 단면을 잘 들여다보는 작품입니다. 



가족으로부터 보호받지 못하는 자식들의 아픔은 '유리'뿐만 아니라 친구 '예나'와 선생님 '기범'에게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부모 없이 자란 '예나'는 독친인 줄 알면서도 부모가 있는 '유리'를 부러워합니다. '기범'은 형과 끊임없이 비교당하며 가족의 일원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비참함을 겪고 있었죠. 주변인으로만 사용하고 끝낼 수 있었던 인물에게도 각각의 서사를 부여해 다양한 형태의 가족 문제를 그려낸 것은 이 영화만의 훌륭한 지점입니다. 


그뿐만 아니라 <독친>은 사건의 진상을 밝혀가는 흔한 미스터리 소재를 가지고도 흔치 않은 인상을 남기는데요. 여기에는 또 하나의 이유가 있습니다. 바로 엄마의 폭압에 괴로워하는 자식이 어떻게 말라비틀어져 가는지를 단계적으로 표현한 플롯과 배우의 연기력이죠. 자식을 죽음에 몰아넣었으면서도 자기 탓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극성 엄마의 비뚤어진 모성을 연기한 장서희 배우도 대단했지만, 딸 '유리' 역을 맡은 강안나 배우의 연기는 영화가 끝난 후에도 눈앞에 아른거릴 정도로 강렬했습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착하고 성실한 모범생 반장이나, 이면에는 심연으로 끝없이 가라앉는 우울감으로 가득한 '유리'. 밝게 웃어 보이다가도 깊게 패인 마음의 상처로 인해 저도 모르게 이성의 끈이 끊어지는 순간을 겪는 입체적인 캐릭터입니다. "사랑받는 사람은 반드시 행복할 거라는 편견"에 갇힌 아이의 모습 엄마의 지나친 간섭에 내몰려 "내가 주는 사랑이 받는 사람에게도 사랑일 거라는 오만" 아래 살아가는 아이의 모습을 동시에 표현해야 하는 몹시 어려운 역할이었죠. 그러나 강안나 배우는 이를 해냅니다. 그의 연기를 보며 몇 번이나 감탄했는지! 엄청난 배우의 무한한 가능성을 엿본 것 같아 무척이나 설렜습니다. 앞으로 펼쳐질 강안나 배우의 필모그래피가 아주 기대되네요.




부모도 부모가 처음이라서, 자칫하면 독친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독친이 되지 않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혜영'이 끝끝내 하지 못한 것, '잘 들어주기'를 실천하면 됩니다. 귀를 열고, 마음을 열고 아이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주는 겁니다. 우리 사회에도 편견과 오만을 넘어 경청하는 선친(善親)이 더 많아지길 바랍니다. 정말 언젠가는, 영화가 반영하는 이 사회의 모습이 조금은 다를 수 있도록 말입니다. 


Summary

학교에 데려다주던 엄마의 잔소리를 적당히 웃어넘기는 듯하던 고등학생 딸은 그날 세상을 영원히 등지는 비극적인 선택을 하고 만다. 학교폭력, 랜덤채팅 어플리케이션 등 통상적인 청소년 문제를 중심으로 사건을 조사하던 경찰은 주변인 증언을 확보하면서 처음에는 전혀 짐작하지 못했던 오묘하게 뒤틀린 모녀 관계를 발견하게 되는데…. (출처: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Cast 

감독: 김수인
출연: 장서희, 강안나, 최소윤
매거진의 이전글 영화적 상상력에 담긴 한국 사회의 못난 민낯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