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홍천밴드 Dec 14. 2024

커피 로스팅과 자본주의

드립커피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음료는 커피다. 


하루에 최소 2잔은 마신다. 아침에 한잔, 점심에 한잔 가끔 저녁에 디카페인 한잔. 커피를 좋아한 지는 꽤 오래됐다. 학창 시절엔 잘 마시지 않았고, 회사원이 된 이후부터 주기적으로 마셨다. 가끔은 커피에 달달한 것이 들어간 그런 음료도 마시고, 카푸치노나 라테 같은 음료도 가끔 마셨다. 


하지만 요즘은 커피에 뭐라도 추가된 건 커피 고유의 맛을 해치는 것 같고, 몸에도 좋지 않으니 잘 마시지 않고, 밖에선 무조건 아아 혹은 뜨아, 집에서는 꽤 오래전부터 원두를 직접사서 갈아서 드립 커피를 마시고 있다.


시골에서도 드립 커피 도구들을 가져가서 아침에 한잔, 점심에 한잔 마신다. 아침에 일어나 커피 원두를 갈 때면 향긋한 커피 향이 집안을 감쌀 때 정신이 차려지면서 다시 하루를 시작하는 마음가짐을 갖게 된다. 


시골에 있는 커피 도구는 [클레버]다. 아마 커피를 좋아하는 사람은 아는 도구 일 텐데 드립은 같은 재료라 하더라도 누가 어떻게 내리냐에 따라 맛의 차이가 많이 난다. 드립 커피 내리는 법을 찾아보면 아주 방법이 많다. 물줄기를 가운데부터 시계방향으로 돌리고, 몇 분 내에, 몇 g을 얼마에 시간에 내린다 등등...


하지만 클레버는 이름답게 누가 내리던 비슷한 맛을 낼 수 있도록 만든 도구이다. 클레버에 커피원두를 넣고 뜨거운 물을 대충 붓고 한 3분만 기다리고 잔에 올리면 끝이다. 그래서 누가 하던 맛 차이도 거의 없고 두 잔 정도는 한 번에 만들 수 있어서 사용하고 있다. 


드립 커피를 마시다 보면 커피 로스팅에 대해서도 로망도 생기기 마련이다. 하지만 로스팅을 마당 없는 서울 집에서 했다간 등짝 스매시가 나기 때문에 엄두도 낼 수 없는 작업이다. 한 번이라도 로스팅을 해본 사람은 알겠지만, 원두 로스팅을 하면 생두가 볶아지면서 껍질이 벗겨져 껍질이 마구 날아다니고, 집 안 전체가 연기가 가득 찰 것이다. 


그래서 집에서는 절대 할 수 없는 작업이라 한 번도 해보지 못했는데, 시골에는 마당이 있기 때문에 수돗가에서 커피 로스팅을 해봤다. 도구는 아주 간단하다. 망으로 된 기구, 생두, 가스레인지만 있으면 된다. 대신 팔이 엄청 아프다. 한 20분 정도는 계속 흔들어 줘야 한다. 이게 처음에는 신기하고 재미있었는데, 계속하다 보면 지겹고 손목이랑 팔이 아프다. 가만히 쉴 때는 20분이 후딱 가는데 이런 거 할 때는 시간이 안 간다. 상대성 이론이 여기도 적용된다. 20분간 끊질기게 흔들다 보면 끝이 난다. 


그런데 이게 원두가 다 떨어질 때 다시 로스팅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면 자본주의가 참 좋다는 생각이 자연스럽게 든다. 가격이 있는 상품들은 다 노동이나 여러 기술들이 들어가 있기 때문이다. 돈이 되지 않는다면 그 누가 대신 이 일을 하주겠는가. 그래도 생두가 20분간 열심히 볶다 보면 잡생각도 없어지고, 이번 커피는 잘 되려나 그런 걱정과 자본주의 생각도 하면서 로스팅을 하게 된다. 


가끔은 원두가 균일하게 볶아지지 않고, 까맣게 탄 원두도 생기기 마련이다. 몇 개는 버리지만, 그걸 다 버리다 보면 마실 커피가 없기 때문에 그냥 먹는다. 약간은 텁텁한 맛도 나긴 하지만 그래도 내가 만든 거라 맛있게 느껴진다.  


자유롭게 내가 하고 싶은 걸 할 수 있는 마당이 있는 건 참 좋다. 새삼 다시 느끼게 된다. 또 한편으론 로스팅을 하면서 느끼는 자본주의도 새삼 장난 아니게 좋은 제도라는 것을 느끼게 된다. 


결론은 내가 로스팅하고 드립 해서 먹는 커피도 맛있지만 뭐니 뭐니 해도 커피는 누가 해주는 게 제일 맛있다.

[로스팅 준비 도구] 20분 팔빠지게 흔들면 원두 로스팅 완성
[클레버] 물을 대충 넣고 기다리고 잔에 올리면 끝!
자본주의 드립커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