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하영 Apr 10. 2019

3월



커다란 종합병원의 1층에서 엘리베이터를 찾느라 길을 헤매었다. 4층으로 올라가 겨우 인사를 나누자마자 간호사가 아빠의 이름을 불렀다. 아빠는 내시경을 하러 들어가고 엄마와 나는 병원 의자에 앉아 한 시간 정도를 기다렸다. 내가 다니던 국민학교가 초등학교로 바뀌고 내 긴 머리가 짧게 잘렸을 때, 이젠 기억에 남은 게 별로 없는 그때는 아빠 혼자서 이 병원 검사실에 들어가는 엄마를 기다렸을 테다. 엄마는 아빠에게 너무 많은 고생을 해서 지금은 너무 억울하니까, 당신 건강 스스로 잘 챙기라고 했다고 한다. 아빠는 조금은 두려운 듯 말수는 적어지긴 했지만 두 분 다 덤덤하게 받아들이셨다.


얼마 전 엄마와 연극 ‘친정엄마와 2박 3일’을 보고 왔다. 몇 년 전부터 보고 싶다고 하신 게 생각나서 예약을 하고 다른 가족들에게 같이 갈 것을 물었으나 모두들 거절했다. 결국 엄마와 둘이서 공연을 봤다. 공연은 5분마다 눈물이 쏟아질 정도로 슬펐다. 엄마는 생각보다 많이 울지는 않았다고 하는데 공연이 끝나고 우리를 데리러 온 아빠를 봤을 때 울컥했다고 한다. 엄마는 그 이야기를 하면서 이제 엄마한테 엄마는 아빠인가 봐, 하며 웃어넘겼다. 그때는 그저 30여 년을 함께한 부부의 모습으로, 내 미래를 비춰보기도 하며 좋게 느끼기만 했다.

 그리고 보름 뒤에 아빠의 위에 암으로 의심되는 종양이 발견되어 서울의 큰 병원으로 진료를 보러 왔다. 운 좋게도 예약하기 힘든 종합병원에 빠르게 날을 잡을 수 있었고, 아직 결과를 보려면 보름을 더 기다려야 한다.


부모님은 23년 전부터 수십 번씩 드나들던 병원의 구조를 줄줄이 꿰고 있다. 어느 쪽으로 가면 무엇이 있고, 어디로 가야 빠른지, 아빠는 마취가 덜 깬 상태에서도 그걸 다 기억하며 나를 버스정류장으로 바래다주었다.



새 학기를 맞아 원에 등록한 아이들의 이름이 아직 헷갈리는데도 3월이 끝나버렸다. 너무 정신없는 3월이다.



 


작가의 이전글 할머니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