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이 아니면 안 되는, 더 늦기 전에 쓰는 [노견일기]
일주일 전 나이 든 시츄 꼬비의 사연을 받았다. 15년을 함께 한 꼬비와의 이별이 머지않았다는 생각이 들어 슬퍼진다는 내용이었다. 사진 속 꼬비는 기운이 없는지 눈을 반쯤 뜨고, 먼 곳을 바라보고 있었다. 낯익은 모습, 해줄 수 있는 말이 길지 못했다. 남은 시간이 얼마일지 모르지만 최대한 많이 사랑해주자고, 스스로의 다짐과 다를 바 없는 말을 했다.
그리고 다음날 저녁, 한 통의 메시지를 받았다. “꼬비가 하늘나라로 갔습니다. 이 사연이 꼬비에게 주는 마지막 선물이 됐네요. 많이 슬프지만 좋은 곳으로 갔을 거라 믿습니다. 감사합니다.” 미룰 수만 있다면 영영 미루고 싶었던 이별의 순간. 애써 외면했던 ‘언젠가’의 슬픔은 내일이 되었다.
전문가들은 반려견이 노령이 되는 10살이 넘으면 이별 준비를 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실제로 반려동물과의 이별 뒤 심한 무기력함, 우울증 등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다. 아직도 문을 열면 항상 있던 그 자리에 있을 것만 같고, 실수했을 때 마지못해 혼냈던 기억이 생각나 후회가 밀려온다. 미안하고, 고맙고, 그래서 더 슬퍼진다.
<인간과 개, 고양이의 관계 심리학>의 저자 세르주 치코티는 “반려동물이 죽었을 때 남자들은 가까운 친구를 잃었을 때와 같은, 여자들은 자녀를 잃었을 때와 같은 고통을 느낀다”라고 말했다.
가족으로 함께한 반려동물이었기에 느끼는 슬픔이다.
복실이와 함께한 지 16년이 됐지만, 늙은 반려견과의 생활은 매 순간이 처음이다. 소파 위로 가뿐히 뛰어오르던 개가 마룻바닥에 가만히 서있는 것조차 힘겨워한다. 물을 마시려고 몇 걸음 내딛던 어느 날은 다리에 힘이 풀려 ‘쿵’ 하고 바닥에 몸을 세게 찧었다. 아무래도 안 되겠다 싶어 할머니 요양병원에서 파는 초록색 미끄럼방지패드를 사다 마루 위에 깔았다.
잘 가리던 오줌도 눈이 잘 안보이니 조준에 실패한다. 그래도 힘겹게 몸을 일으켜 패드 근처로 간 녀석이 기특해 ‘잘 했어’라고 쓰다듬는다. 여전히 패드 위에 쌌다고 믿고 있는 희끗한 눈망울. 늙어가는 것, 그래서 실수가 늘어나는 것은 개의 잘못이 아니다. 혼내지 않고 ‘네가 어떠한 모습을 하고 있어도 나는 너를 사랑하고 있어’라고 느낄 수 있게 말해주고 안아주기로 했다.
복실이와 같은 나이, 비슷한 이름을 가진 복슬이 가족도 매번 사료를 물에 불려주고 있다. 이가 많이 빠진 데다 소화 기능이 떨어져서 건식 사료를 물에 불리거나 부드러운 습식 사료를 주고 있다. 식욕이 많이 떨어져 고기를 잘게 썰어 넣어준다. 그러면 평소보다는 밥에 관심을 보인다.
그리고 이렇게 일기를 쓰면서 반려동물의 죽음을 경험했거나, 공감할 수 있는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한 반려인은 내게 노화의 증상을 알고 준비를 할 수 있는 것조차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해주었다.
경험에서 오는 따뜻한 당부들은 큰 힘이 된다.
“가슴 속에 새로운 예쁘고 따뜻한 집 만들어준다고 생각하며 하루하루 연습을 해요.”
“가고 나니 그 하루가 너무 소중해요. 딱 하루만 품에 데리고 있을 수 있으면 소원이 없겠다는 생각이 자꾸 들어요. 옆에 있는 순간순간 사랑한다고 해주세요.”
조금이라도 더 함께 하고, 사랑한다고 자주 말해주는 것. 늙은 개와의 첫 이별 준비. 우리의 시간은 얼마나 남아있는 것일까. 그동안 받은 사랑을 되돌려주는 시간, 우리에겐 시간이 별로 없을지 모른다.
노견·노묘의 기준 - 보통 소형견을 기준으로 8살 이상이 되면 노견으로 분류한다. 최근에는 노화 시기가 늦춰져 10살 이상을 노견으로 본다. 고양이는 평균 12살이 넘으면 노묘로 간주된다. 고양이는 본능적으로 자신의 몸 상태가 나빠졌다는 것을 숨기려는 경향이 있다. 보다 세밀한 관심을 가지고 이상 증상을 보이면 수의사를 찾아 확인해봐야 한다.
펫로스 증후군(Pet loss syndrome) - 주로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좀 더 잘 돌보지 못했다는 죄책감, 반려동물의 죽음 자체에 대한 부정, 반려동물의 죽음의 원인(질병, 사고)에 대한 분노, 그리고 슬픔의 결과로 오는 우울증 등이 있다. 무기력함, 심할 경우에는 죽음으로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