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씩씩 Aug 04. 2020

정주행은 하고 싶은데, 밤샘은 하기  싫어

넷플릭스의 가볍고 유쾌하고 사랑스러운 작품 추천 

 넷플릭스에서 콘텐츠를 고를 때, 가장 중요한 기준 중 하나는 '러닝타임이 30분 내외인가'이다. 그만큼 짧게 후루룩 볼 수 있는 작품들을 좋아한다. <나르코스>, <하우스 오브 카드>처럼 넷플릭스의 유명 히트작들은 안 봤어도, 넷플릭스 속 온갖 시트콤은 섭렵했으니 - 가볍고 유쾌하지만 의미도 있고 재미도 있는 작품을 좋아한다면, 하나쯤은 취향에 맞는 게 있지 않을까. 작품은 짧지만 여운은 짧지 않은, 30분을 알찬 재미로 꽉꽉 채운 작품들을 가져왔다. 



네버 해브 아이 에버 

 중학생 때, PMP에 인강 대신 하이틴 영화, 미드를 저장해두는 친구들이 있었더랬다. 점심시간이면 "야, 이 남주 잘생기지 않았냐?" 하면서 같이 보자고 했는데, 그땐 하이틴의 재미를 몰랐다. 뻔하고 유치하다고 생각했고, 러닝타임 내내 악역으로 나오다가 엔딩 10분 전에 갑자기 착하게 변하는 해피엔딩도 싫었다. 그런데 이럴 수가! <네버 해브 아이 에버>는 하이틴이 재밌다는 것을 인정할 수밖에 없는 드라마였다. 인도계 여성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것으로 화제가 된 이 작품은, '멋진 남자친구 사귀기'를 목표로 삼는 등 뻔한 하이틴의 공식을 따라가는 듯하지만 뻔하지 않다. 플롯은 뻔하더라도, 뻔하지 않은 등장 인물들의 개성이 받쳐주는 덕분이다. 중간에 흐뭇해지는 BTS 드립까지, 21세기가 원했던 하이틴의 정석. 가볍고 유쾌하게 볼 성장 드라마를 찾는다면 추천! 



데드 투미

 엔딩 맛집인 드라마들이 있다. 엔딩을 보면 다음 화가 너무 궁금해져서, 밤을 꼴딱 새더라도 한 시즌을 정주행하게 만드는 드라마들. <데드 투미>는 한 화가 30분 이내로 짧기에 망정이지, 길었으면 일주일 내내 일상생활이 불가했을 뻔했다. 남편이 뺑소니 사고로 죽은 이후, 범인도 잡지 못하고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던 젠. 그런 젠 곁에 다정하고 스윗한 친구 주디가 나타난다. 그런데 어쩐지 주디는 비밀이 많은 것 같은데....? 줄거리를 말하면 스포가 되는 드라마라 더 설명할 수는 없지만, 비밀은 많지만 할 말은 다 하는 두 중년 여성의 케미를 보는 것만으로도 즐겁다. 여성 버디물을 끝내주게 잘 만드는 넷플릭스. 이래서 넷플릭스를 끊을 수가 없다. 



글로우: 레슬링 여인천하

 사실 스포츠에 관심없고, 특히 레슬링에는 1도 관심없는 사람이라 선뜻 손이 가지 않았던 작품. 그렇지만 <오렌지 이즈 더 뉴블랙> 제작진이 만들었다고 해서 봤는데, 역시 너무 재밌어서 순식간에 시즌3까지 봤다. <오뉴블>을 볼 때도 느낀 거지만, 지금껏 보지 못했던 다채로운 여성 캐릭터들을 너무나 잘 만들어낸다. 간절히 배우가 되기를 꿈꿨지만 제대로 된 역할은 맡은 적 없는 루스, 결혼과 출산 이후 배우의 꿈을 접었던 데비 등 다양한 인물들이 한데 모여 레슬링 TV 쇼를 만들어나가는 과정을 담았다. 좌충우돌 요란한 과정을 겪지만, 결국 같은 마음으로 최선을 다해 연기하는 그들의 모습을 어떻게 좋아하지 않을 수 있는지. 이 언니들이라면 레슬링을 하든, 축구를 하든, 수영을 하든 그냥 믿고 볼게요ㅠㅠ



빌어먹을 세상 따위

 넷플릭스 최애로 이 작품을 고르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굳이 추천할 필요가 있을까 싶었다. 사실 시즌1은 정말 기대를 많이 하고 봤는데, 그 정도로 인상적이지는 않았던 기억이 있다. 그런데 시즌2는 새로운 인물이 등장하면서, 쫄깃한 스릴감도 더해지고 엔딩의 여운도 짙어지고 - 왜 사람들이 이 작품을 사랑하는지 알겠더라. 어떤 작품을 볼 때 등장인물들의 행복을 진심으로 바라게 되는 경우가 가끔 있는데, <빌어먹을 세상 따위>가 딱 그랬다. 세상은 마냥 아름답지 않지만 (사실은 끔찍하게 느껴질 때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세상을 살아갈 수 있는 건 한 줌의 사랑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상처가 났을 때, 상처가 났다는 것을 눈치채고 가만히 들여다보는. 어떻게 치료할지 방법을 알지는 못하더라도, 적어도 도망가거나 포기하지는 않는. 그렇게 곁에 있어주는 '진짜'가 필요하다면 - 이 작품을 꼭 보시길. 

매거진의 이전글 김사월의 공연을 보고 쓰는 편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