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양대 IT업체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풀필먼트 사업에 진출한다는 기사가 나왔습니다. 물건이 유통되기 위해 물류센터에서는 물건의 입고, 보관, 출고의 과정이 이뤄집니다. 기존엔 같은 물건을 대량으로 유통하는 B2B 물류가 주였기 때문에 물류창고는 물건을 ‘보관’하는 역할이 중요했지만, B2C인 이커머스가 발달하면서 보관 대신 물건의 ‘분류와 ‘출고가 중요해졌고, 이에 특화된 물류창고를 풀필먼트라고 부릅니다. [바이라인네트워크] 신세계와 네이버에 미친 ‘풀필먼트’가 뭐길래
풀필먼트 대표주자는 아마존입니다. 아마존은 사업 초기에 월마트 출신인 지미 라이트를 영입하면서 월마트식 물류 모델을 도입했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월마트식 모델은 이커머스에 적합하지 않음을 체감했습니다. 이에 SCM 전문가인 제프 월크를 영입하면서 고객의 니즈를 만족시킨다는 뜻의 단어 fulfill을 딴 풀필먼트 모델을 도입하게 됩니다. 풀필먼트를 통해 아마존은 배송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었고, 결국 당일 배송을 목표로하는 아마존 프라임까지 도입할 수 있게 됩니다. 이후 아마존은 마켓플레이스에 입점한 제3자 사업자에게도 수수료를 받고 풀필먼트를 제공해주는 서비스 FBA(Fulfillment by amazon)을 내놓으며 풀필먼트 최강자로 자리 잡습니다. [CLO] 창고 넘은 아마존, 풀필먼트가 커머스의 미래인 이유
풀필먼트는 국내에서 또한 찾아볼 수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쿠팡이 이용 중입니다. 쿠팡의 로켓 배송 하루 출고량은 300만 건이 넘는 데다가, 대부분의 주문은 밤 10~12시에 몰리기 때문에 물류 난이도가 높은데요. 이처럼 엄청난 주문을 처리하기 위해 쿠팡은 풀필먼트에 기반한 다이나믹 배치라는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많은 물류창고들이 비슷한 카테고리의 물건을 근접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과는 다르게, 쿠팡의 다이내믹 배치는 물건을 랜덤하게 배치해놓고선 물건을 찾는 가장 짧은 동선을 제공하는 시스템입니다 (아래 사진. 출처 폴인). 이러한 풀필먼트 기반의 물류 내재화는 쿠팡을 이커머스 최강자로 만들어준 핵심 역량입니다. 이외에도 마켓컬리, CJ대한통운 등이 풀필먼트 물류센터를 운영 중이며, 이마트 또한 ssg.com 경쟁력 강화를 위해 네오라는 이름의 풀필먼트 물류센터를 늘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