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재민 Jul 27. 2018

트랙터의 세계사

인류의 역사를 바꾼 철마들

수렵과 채집이라는 활동으로 연명하던 인류가 1차 산업혁명인 농업혁명을 이룬 이후 인류는 수천 년 동안 농경이라는 고된 노역을 하며 살아가야 했다. 

태초의 인류인 아담과 하와가 선악과를 따 먹은 이후 남자는 농사일의 수고를 여자는 해산의 수고를 견뎌야 했는데 트랙터는 인류가 수천 년간 수행했던 고된 농작업을 일순간에 바꾸어 놓았다. 

트랙터가 보급된 주요 선진국에 사는 사람들 대부분은 더 이상 땅을 일구며 살지 않아도 식량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트랙터는 인류를 식량생산의 노역에서 해방시킨 것이다.


1.트랙터의 등장농산업을 크게 변화시키다


농업 등 1차 산업에 주로 종사했던 인류가 2차 산업과 3차 산업에 주로 종사하게 된 데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트랙터는 인류가 더 이상 농업에만 종사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 촉매역할을 했다.

농업에는 일찍부터 소와 말의 축력을 활용해왔다. 영국에서 산업혁명이 일어날 때까지, 아니 일어난 지 100년 이상이 지났어도 세계 각국의 주요 산업은 농업이며, 농업에 인구 대부분이 종사하고 있다.

산업혁명에 의한 공업화의 영향은 결코 작지 않지만, 그래도 국가의 산업 비율을 대전환하는 데는 이르지 못했다. 그러나 제2차 산업혁명으로 전기 모터와 석유를 동력으로 하는 엔진이 개발되면서 농업도 기계화의 세례를 받지 않을 수 없게 된다.

트랙터의 등장 이전, 농업은 인력과 축력에 의해 지탱되고 있었다. 농촌에서는 언제나 일손을 필요로 했다. 트랙터의 등장은, 이러한 농사일의 상식을 파괴하고, 그리고 농업이라는 산업 그 자체를 크게 바꾼다. 


2. 가축 돌보는 일로부터 해방


경운 작업은 소나 말에 의존하고 있었기 때문에, 가축의 보살핌도 농가에게 있어서 중요한 일 중의 하나였다. 

소나 말은 생물이기 때문에, 품과 시간을 들여서 돌보지 않으면 중요한 농사일이 막혀버린다. 남들은 전부 휴식을 취하고 놀러다니는 설날과 추석과 같은 명절에도 태풍이나 폭설, 폭우로 농사일을 할 수 없는 날에도 가축을 돌보는 일은 계속되어야 한다. 트랙터는 고장이나 상태 불량 등만 아니면 신속히 농사일에 투입할 수 있었고, 농사일이 없는 날에는 여가시간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이 책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트랙터의 등장 이전의 농가에서는 농사일과 동시에 소와 말을 보살피면서, 그와 동시에 젖소와 닭을 기르고, 우유와 계란을 부산물로 얻고 있었다. 말하자면, 순수한 전업농가는 존재하지 않았고, 경종농업과 축산업 및 낙농업의 겸업농가가 일반적이었다.

트랙터의 등장으로, 농가는 가축의 보살핌에서 해방됨과 동시에, 진정한 전업농가로 탈피한다. 세계 각국의 정부는 트랙터의 등장을 계기로 농업의 기계화를 추진했다. 그것은 농업을 기계화함으로서 농가를 대규모화ㆍ집단화하는 목적이 있고, 농가가 대규모화ㆍ집단화함으로서 식량의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기계화로 인해서 농가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되었다. 일손이 남아돌게 되면서, 그 잉여 인력이 배분된 곳은 국력의 바로미터이기도 한 공업 분야였다. 그리고 공업이 발전함으로서 군사 무기의 개발도 진행되었다.

일본에서도 고도경제성장기인 1961년에 농업기본법이 제정된다. 동법은 "농업"의 기계화, 그리고 그에 따른 농가의 소득증대를 강조하고 있었지만, 그 이면에는 농업을 효율화시킴으로서  잉여 인원을 2차 산업ㆍ3차 산업으로 이전시키려는 의도가 있었다.

한국에서도 1970년대 일본과 비슷한 기계화를 촉진하기 위한 법이 제정되고, 일본에 이미 보급이 끝난 보행형 트랙터 경운기 보급에 열을 올린다. 공업화를 한창 진행 중이었던 박정희 정부로서는 파종기와 수확기 필요했던 인력을 기계화를 통해 커버하고자 했다.


3. 국가세계그리고 국민 생활을 크게 바꾸는 존재


농업기본법 제정 전후부터, 사실 일본의 농가에서도 트랙터의 도입이 조금씩 시작되고 있었다. 미국, 소련과 달리, 경지가 작은 일본에서는 승용형 트랙터가 아니라 보행형 트랙터가 우선 도입된다. 보행형 트랙터가 보급됨에 따라, 승용형 트랙터도 수를 늘렸다. 그리고 트랙터는 점차 국산화가 진행되었다. 외국에서는 다양한 이유로 농업의 기계화를 도모했지만 이 책에서 소개하는 주요 국가의 트랙터 도입 역사는 세계 1,2차 세계 대전과 연관이 깊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은 자국의 식량 수송선이 독일 유보트의 공격으로 계속해서 침몰하면서 식량난에 빠져 있었다. 그 때문에 영국 정부는 식량 증산을 급선무로 하고, 그 수단으로써 미국에서 폭발적인 인기가 있던 트랙터「포드슨」을 대량으로 수입함으로서 해결하고자 했다.

영국과 적대 관계이던 나치 독일에서도 트랙터의 개발과 보급은 전쟁에서의 승리에 빠질 수 없는 지상 과제였다. 성능이 뛰어난 트랙터를 개발할 수 있으면, 농사일의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고 동시에 식량 증산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농사의 잉여 인원을 군인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하여 나치 정권하에서 폭스바겐 (국민차) 외에도 폭스 트랙터 (국민 트랙터)의 개발도 진행되었다.

트랙터의 등장과 진화는 농업에만 큰 변화를 가져온 것이 아니라 바로 국가를, 세계를, 그리고 국민생활도 크게 바꾸어 놓고 말았다.

트랙터는 농민을 농사와 그에 따른 수고에서 해방시켰지만 반면에 새로운 문제도 발생시켰다. 소나 말 등의 먹이가 되는 사료는 자가 생산이 가능하지만 트랙터를 움직이는 석유는 농가에서 생산할 수 없다. 트랙터의 보급으로 농가는 연료를 구입하는 문제에 직면했다. 원래 트랙터를 구입하기 위해서는 대출을 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다. 또한 역축이 배출하는 분뇨는 귀중한 비료이기도 하며 그것들을 얻지 못할 경우 화학 비료를 구입할 필요성도 생겨났다.

그 결과 지금까지의 농민들은 거의 자급자족의 생활을 보낼 수 있었고 화폐 경제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생활할 수 있었다. 그런데 그러한 생활을 꾸려나갈 수 없게 되었고, 농가에는 시장경제라고 하는 새로운 난제와 마주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다.

농업기본법 제정 이후 일본에서는 농촌에서 도쿄 및 오사카에 모인 젊은이들이 공업ㆍ상업에 종사했다. 이렇게 농촌은 과소화 단계를 거쳐, 이제 일본의 농업인구는 200만 명 정도이다. 게다가 농업 종사자의 대부분은 50세 이상, 65세 이상의 고령자도 드물지 않다.

이렇게 되면, 향후 무인운전ㆍ원격조작이 가능한 농기계의 개발ㆍ도입이 진행될 것이다. 이제 농업의 6차 산업화가 강조되고, 그리고 성장 산업화로의 노력도 시작되었지만, 현재까지 농업이 유망한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항간에 농업에는 미래가 있다고 선전되고 있다. 과연 농업에 가능성은 있는가? 본 책을 읽고 트랙터가 담당해 온 역할과 농업이 걸어온 역사를 조망하는 것으로 그 새로운 가능성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고 싶다.


4. 세계 그리고 일본의 트랙터 역사와 다르지 않은 한국


본서에서는 부록으로 농기계를 중심으로 보는 한국농업의 근현대사가 수록되었다.

본서가 일본 서적의 번역본이어서 한국의 트랙터와 관련한 이슈는 매우 간단하게 다루었기 때문에 한국의 농기계 도입의 역사를 다루는 것도 의미가 있는 일이라 판단됐기 때문이다.

한국의 농업기계화는 쌀 중심의 농업정책에 따라 쌀농업 기계화에 방점이 찍혀 있었다. 트랙터의 도입으로 농업의 전문화가 이뤄진 것과 마찬가지로 한국에서도 농업의 전문화가 이뤄졌고 규모화가 진척이 됐다.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주로 보행형 트랙터(경운기)가 보급되어 땅을 갈아엎는 경운작업, 농자재와 농산물의 운송, 탈곡 등의 작업이 기계화되었다. 시장개방과 함께 농업체질 개선이 필요했던 1990년대 후반부터는 승용 트랙터가 보급되었는데 농가 규모화 정책에 걸맞게 주로 쌀 전업농가와 낙농과 한우 등 축우사육 농가에서 승용트랙터가 보급이 이뤄졌다.

농기계 구매에 따른 부채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이용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나 중소농의 몰락과 이농현상 등 농기계는 한국사회의 도시화와 산업화를 촉진하는 수단이 되었다.


추천사

세탁기의 발명이 여성들의 사회진출과 여성의 인권향상에 크게 기여한 것처럼 트랙터의 등장은 농업의 생산성 향상에 획기적으로 기여하였다. 트랙터의 등장은 농장이 규모화 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고 미국식 대형농장과 소련식 집단농장이라는 이전까지 인류가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농업방식을 가능케 했다. 뿐만 아니라 농업문화와 문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것도 사실이다. 『트랙터의 세계사』는 농기계가 가져온 농촌의 변화뿐만 아니라 인류의 생활양식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간명하게 논의하고 있어 매우 흥미롭다. 

-윤석원(중앙대 명예교수양양로뎀농원 농장지기)  


트랙터의 등장으로 농가는 역축에서 해방됐고 농업 생산성은 비약적으로 높아졌다. 농업의 인력 의존도가 낮아지면서 여유 인력이 공업 분야로 진출했고 군사 무기 개발도 진행됐다. 이 책은 인류와 가장 밀접한 농업이 기계화에 의해 폭발적 변화를 해온 근세기 역사를 집중 분석하면서 자칫 놓치기 쉬운 가벼운 주제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한다. 저자가 화두로 던진 기계와 인간의 조화, 환경의 복원은 모두가 고민해야 할 과제가 아닌가 한다. 

김원석(농협중앙회 농업경제대표이사)


농기계의 발전은 농업발전과 식량자급자족 달성에 큰 역할을 했다. 특히 농기계산업은 변화하는 농법과 다양한 분야에 개발 공급되고 발전해가며 단순한 농업의 도우미 역할이 아닌 농업발전과 인류 식량안보의 보루로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산업이 됐다. 농기계 발전은 인류 문명의 진화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이 책은 농기계의 변천사와 함께 농기계가 파생시킨 사회적 변화를 다방면으로 보여준다. 농업의 기계화가 촉진시킨 농업기술의 변천사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의미가 있다.

김신길(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 이사장)


목차

역자서문 _2 

머리말 _ 6 

제1장 탄생(혁신주의 시대의 한가운데서) 

1. 트랙터란 무엇인가 _ 18 

2. 증기기관의 한계, 내연기관의 혁신 _ 24 

3. 여명(J·프로리치의 발명) _ 33 

제2장 트랙터 왕국 미국(양산체제의 확립) 

1. 거인 포드의 진출(점유율 77% 달성) _ 42 

2. 농기구 메이커의 역습(기능성과 안정성의 진화) _ 48 

3. 농민들의 동경과 증오(가축에 대한 미련) _ 59 

제3장 혁명과 전쟁의 견인(소련·독일·영국의 전개) 

1. 레닌의 공상, 스탈린의 실행 _ 76 

2. 『철마』의 혁명(소련 농민들의 적의) _ 92 

3. 볼스 트랙터(나치 독일의 구상) _ 98 

4. 두번의 세계대전 하의 트랙터 _ 107 

제4장 냉전시대의 비약과 한계(각국의 상황) 

1. 시장의 포화와 트랙터의 대형화(사양길의 미국) _ 126 

2. 동쪽 제국의 침투(소련, 폴란드, 동독, 스웨덴, 베트남) _ 136 

3. 『鐵牛』의 혁명(중국에서의 트랙터 전개) _ 146 

4. 개발 중인 트랙터(이탈리아, 가나, 이란) _ 161 

제5장 일본의 트랙터(후진국에서 선진국으로) 

1. 여명(개인농장에서의 도입, 국산화의 요청) _ 170 

2. 만주국의 봄 꿈 _ 180 

3. 보행형 트랙터 개발과 계속된 진보 _ 185 

4. 기계화·반기계화 논쟁 _ 204 

5. 일본기업의 석권(쿠보타, 얀마, 이세키, 미츠비시농기) _ 213 

마치면서 기계가 바꾼 역사의 토양 _ 226 

맺음말 _ 236 

참고문헌 _ 241 

트랙터 세계사 연표 _ 246 

부록 ― 트랙터의 보급과 한국농업의 근대사 

1. 수도작 중심의 농업과 농기계 변천사 _ 251 

2. 시장개방과 농업 그리고 농기계 _ 254 

3. 정부의 농기계 보급사업과 농기계의 과잉 공급 _ 257 

4. 농기계 공동 이용을 통한 효율화 노력 _ 260 

5. 농기계 해외로 눈을 돌리다 _ 262 

6. 시사점 _ 265 

7. 한국의 트랙터 _ 266 


저자 및 역자 소개


저자_후지와라 타츠시(藤原辰史)

1976년 홋카이도에서 태어나, 시마네 현에서 자란다. 1999년 교토대학 종합인간학부 졸업. 2002년 교토대학 인간ㆍ환경학 연구과 중퇴. 교토대학 인문과학 연구소 조수, 도쿄대학 농학 생명과학연구과 강사를 거쳐, 2013년 4월부터 교토대학 인문과학연구소 준교수. 

전공 : 농업사

저서

『나치 독일의 유기 농업 ─「자연과의 공생」이 낳은 「민족의 멸종」 』 柏書房, 2005년

『순무 겨울 ─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의 기근과 민중』 人文書院, 2011년

『나치의 부엌 「먹는 것」의 환경사』 (2012년 / 水声社刊, 2016년 / 「決定版」 共和国刊) 河合隼雄 학예상 수상

『벼의 대동아 공영권 ─ 제국 일본의 <녹색 혁명>』 (歴史文化ライブラリー, 2012년)

『먹을 것, 생각하는 것』 (共和国, 2013년)

『전쟁과 농업』 (集英社インターナショナル新書, 2017년)


역자_황병무 

1988년 경희대 국어국문과 졸업하고 농협중앙회에 입사했다. 농협 재직초기 한국번역가협회가 주최하는 제4회 국제신인번역 대회에 참가해 일어 번역 우수상 하기도 한다. 이후 1995년 일본 군마현 소재 식육학교를 수료했다. 2006년 서강대학교 경영대학원 농협경제사업 고급관리자과정을 수료 했으며 농협목우촌, 농협안심축산분사, 농협중앙회 유통부 등에서 근무하다 2017년 퇴사했다. 지금은 전문번역가로 인생 2막을 살고 있다. ‘트랙터의 세계사’는 전업 번역가로서 첫 작품이다.


*「팜커뮤니케이션」은 농식품분야 민간정책경제연구소인 「협동조합 농장과 식탁」이 운영하는 출판사입니다.


교보문고 https://goo.gl/xeXkqx
팜라이브러리 https://goo.gl/EUQpXv


작가의 이전글 농약 허용물질목록 관리제도(PLS)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