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허클베리 Jul 23. 2022

좋은사람

#유희열 #작곡가 표절 #개발자 표절 #오픈소스 #개발자 수필 #삶의 동

며칠 전 유튜브 콘텐츠 추천 알고리즘이 이끄는 대로 끌려가다 우연히 알게 된 유희열 표절 사태.


우리 집엔 테레비가 없다. 아 이런 텔레비전(television)이라니.. 너무 올드한 느낌이려나? 그럼

어디 쓸 만한 단어가.. 그래 티비(TV), 우리 집엔 티비가 없다. 음 근데 이것도 그닥.. 이네. 바보상자?


어쨌거나 우리 집엔 TV가 없다. 바보가 안되려고 아니 우린 바보지만 우리 아이들만큼은 바보가 안 되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8년 전 신혼살림 목록에서 과감히 뺐다. 


그리고 8년 동안 컴퓨터로 동영상을... 


근데 갑자기 왠 TV 얘기냐. 


뭐 우리 집 사정이 이렇다 보니 유희열 표절 사태가 사회적으로 조명을 받고 '얼리라우더'들이 이미 여기저기서 저마다의 목소릴 내고 난 다음에야 알게 되어, 또 이런 소재로 글을 쓴다는 게 뭔가 어그로를 끄는 것 같고 읽기 전부터 좀 식상한 느낌이 들진 모르겠지만 그래도 다른 이야기니 읽어달라(숨찬다. 이 밑도 끝도 없는 만연체 고질적인 습관을 못 고치고는)는 말을 하려고 꺼냈다.  


참고로 '얼리라우더(Early louder)'는 이 글을 쓰다가 만들어낸 따끈한 신조어로 '사회적 가십거리나 뉴스거릴 발견하거나 찾아 온라인상에 다른 사람보다 빨리 자신의 목소릴 피력하길 좋아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이번 사태와 관련된 몇 개의 콘텐츠를 소비했다. 


20년이 넘도록 가수이자 작곡가로 그것도 뉴스거리가 될 정도로 유명한 사람의 노래치고는 내가 아는 그의 노래는 그리 많지 않지만 그 알고 있는 몇 개의 노래가 이 글의 제목처럼 좋은 나머지 '유희열'이란 사람과 '동물원'의 멤버 '유준열'을 헷갈리는 수준은 아니다. 


예전 '이소라의 프로포즈'처럼 가수나 연예인을 초대해 대화하며 또 간간이 노래도 해가며 진행하는 방식의 방송으로는 유일하게 10번 넘게 시청했던 '유희열의 스케치북'의 그 유희열이니까.



참 안되었다.


마음이 아프거나 쓰리거나 배신감이 들거나 밉거나 실망스럽거나 그의 음악이 듣기 싫거나 하지 않았다.


그냥 참 안되었다.


표절이란 게..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온 우리나라 음악계의 병폐이든 어쨌든.




그건 개발자인 나 역시 마찬가지란 생각이 들어서다.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는 게 있다. 

소프트웨어 개발이나 코딩, 컴퓨터 공학 같은 걸 창의성의 발현이라고 생각하는. 

아니 창의적인 사람들이 하는 분야라고 생각하는.


99%는 다른 사람이 만들어 놓은 걸 가져다 짜깁기 하는 건데 그걸 하는 방법을 몰라 못하는 사람들이 오해를 한 바가지 담아 시답잖은 표현을 한다. 


심지어는 개발자들 조차도 제 눈에 대들보를 못 보는 몇몇은 자신이 창조적인 예술을 한다 생각한다. 

비효율적인 쓰레기 코드나 심지 않으면 다행인 개발자들이 태반인데 자신만은 세상에 없던 그 무언갈 창조한 것처럼.


20년 가까이 내가 만든 코드가 옳다는 증명을 하면서 남의 생각 남의 코드를 표절해왔다.  

SCIe급 저널에 1 저자로 논문을 냈을 때에도 그 이전의 연구 결과들을 수십 편이나 레퍼런스 해가며 아주 약간의 양념을 쳐서 이룩한 업적임에도 부끄럽지 않았던 건 이전의 연구결과들 역시 비슷하게 만들어진 것들이어서였다. 그래서 그게 당연하다 생각했다. 아니 그러지 않고는 전혀 새로운 걸 만들어 낸다는 게 내 머리로 내 인사이트로 가당키나 한 일인가. 내 논문을 심사했던 사람들은 그걸 몰라서 선정한 것일까.


지금까지 내가 작성한 코드들도 마찬가지다. 전혀 새로운 알고리즘을 만들긴커녕 때에 따라 가장 좋아 보이는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누군가 그걸 코드로 옮겨놓은 걸 가져다 쓰는 일조차 쉬운 일이 아니었는데 순수하게 내가 창안한 알고리즘은 개발자 인생을 통틀어 한 개도 없다. 


난 20년 동안 그들도 베낀 것이든 적절히 있는 것들 조합한 것이든 어쨌든 남들이 만든 결과물들을 이용해 먹고 산 것이다. 


한 마디로 반편이 표절 인생이라고 할 수 있다.




주변 지인들이 이런 내 얘길 듣는다면 아마도 이런 말을 하겠지.


'왜 그렇게 또 스스로를 비하하실까 잘난 양반이.'


'넌 세상 사는 게 뭐 그리 맨날 힘드냐. 좀 편하게 맘먹고 살아도 되잖아.'


'너만큼 하는 사람도 흔치 않으니 자신감을 가져.'


'야 니가 하나님이냐? 어차피 이 세상 다 하나님이 만들어 주신 거 그냥 감사하게 누리며 살면 되는 거다.'


'그치.. 근데 그 표절이랑은 좀 다르지~ 레퍼런스에 적어도 리스펙 하고 갖다 썼잖아.'


등등.




리스펙이 중요하다.


그래서 소프트웨어 쪽엔 오픈소스가 나온 걸 지도 모른다. 어차피 내가 만든 코드도 누군가의 결과물에 도움을 받아서 만들어진 것이니 누구나 가져다 쓰라고. 대신 나도 원작자들을 인정할 테니 내 걸 가져다 쓰는 사람들도 내가 한 걸 인정해달라고.


그리고 인정없이 가져다 쓰는 사람들이 염치없게 자신이 다 만든 것처럼 포장하자 그걸 응징하기 위해 라이선스라는 걸 만들어 법적 규제를 가하고. 뭐 그런 거겠지.


근데 오늘은 애시당초 전혀 없던 무언갈 자신이 만들어 낸 게 있긴 한 걸까?라는 의문이 든다. 

 

'리스펙'의 유무로 결론 내기엔 코드에 반영하지 못한 리스펙들로 인해 참 생각이 많아지는 날이다. 


유튜브에서 노랠 찾아 TV 보듯 틀었다. 


유희열의 인생을 살아보지 못했음에도.. 


유희열의 표절과 나의 표절이 '좋은사람'의 선율에 오버랩된다. 


그가 힘을 냈으면 좋겠다. 나처럼.



매거진의 이전글 오버클래스 ID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