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보나오라 Jul 17. 2023

"왜"라고 물어보는 이유

좋은 글에는 ‘근원적인 물음’이 담겨 있다. 나는 왜 언제부터 그 일을 알게 되었는지,
구체적으로 어떤 꿈을 갖게 되었는지, 이 일을 계속 할지 말지를 정하는 기준은 무엇인지·······.
어떤 느낌, 어떤 감정에 사로잡혔을 때 그것을 당연시하는 게 아니라 왜 그런 기분을 느꼈는지 더
깊고 진지하게 파고드는 작업, 그게 문제의식이다. 우선은 나를 향해 “왜”라고 질문하는 것 말이다.

글쓰기의 최전선 -은유-



'왜 책을 내고 싶니?'

'왜 이 주제로 써야 할까?'

'왜 글을 쓰고 싶니?'

'왜 작가가 되고 싶니?'



요즘 나에게 던지는 질문들이다. 만다라차트를 작성해서이기도 하지만, 원고 집필하는데 다른 길로 새지 않게 포기하지 않게 스스로에게 하는 동기부여다. 쓰면 쓸수록 어렵고, 마음처럼 써지지 않는 필력에 의기소침해 어깨가 처질 때가 많았다. 이런 글을 쓰면서 어떻게 작가가 된다는 마음을 품었을까. 소심해진 나는 방향을 잃고 둥둥 떠다니는 종이배처럼 느껴졌다. 그러다 어느 순간 물에게 잠식당해 버리는 종이배.


하지만 나는 꼭 쓰고 싶었다. 유명작가는 아니라도 꾸준히 집필활동을 하는 작가. 일은 하고 싶고, 해야만 하지만 쓰는 삶 외에는 눈길이 가지 않았다. 가슴 뛰게 만드는 일은 글쓰기였다. 그런데 자꾸만 작아지는 마음에 스스로를 다독여야 했다. 그리고 더 열심히 공부해야 했다. 쓰기도 많이 써야 했다. 


하지만 뒤돌아서면 추슬렀던 마음은 온 데 간데 없이 사라지고 키보드 위 손가락은 미동도 없이 멈춰 섰다. 썼던 글을 백스페이스 키를 눌러 지워버린다. 한 문장을 지울 때도 단락을 지우기도 수십 번. 나는 왜 이러고 있나. 한숨만 연거푸 내쉰다. 어깨가 움츠러들고 노트북 화면 속 한글 프로그램만 뚫어지게 쳐다본다. 


흔들리는 마음을 붙잡고 끝까지 해내고 싶다. 기획에 맞게 잘 쓰고 싶다. 그래야 다음을 생각할 수 있을 테니.  독자와 소통하는 책, 공감하는 책, 소장가치가 있다고 생각되는 책을 출간하고 싶은 욕망이 있다. 들인 수고만큼 인세도 많이 받는 욕심도 품어본다. 저자 강연, 북토크, 나아가 동기부여 강연, 글쓰기 강의까지. 나의 꿈은 점점 늘어만 가는데 실력은 제자리걸음이라 애가 탄다. 


불안하고 두려운 마음에게 "왜"라고 질문을 던진다. 그러면 그럼에도 해야 하는 이유를 만나게 되니 또 그 힘으로 오늘 하루 책상에 앉아 노트북 자판을 두드릴 수 있다. 끈질기게 나에게 질문하는 이유는 잊고 싶지 않아서, 사그라들지 않기 위해서다. 내가 간절하게 바라고 원하는 일이라는 걸 스스로 각인시키기 위해서다. 누가 시키는 일이 아닌 내가 원해서 하는 일. 나는 바란다. 가슴 뛰는 삶을. 내 심장이 끊임없이 요동치기를. 


© towfiqu999999, 출처 Unsplash


매거진의 이전글 어느 때보다도 , 어느 때처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