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십일그램 Apr 08. 2020

어서 와~ HR은 처음이지?(1)

코로나 덕분에 공부해요_첫번째 공부방


스칼렛, 구매해서 읽었었요! 인증해요:)








안녕하세요! 팝콘같이 몽글몽글 피어오른 벚꽃이 가득한 4월, 21그램의 스칼렛 인사드립니다!


코로나 19가 시작된 지 벌써 두 달이 지나 3개월 차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코로나 19로 소상공인부터 대기업까지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 지금, 저희 21그램도 코로나 19의 여파를 피해 가지 못했는데요. 처음 겪어보는 위기 상황에 모두들 멘붕(?)이 온 상태였습니다…







에비츄도 당황했는지 땀을 흘리네요




언제 끝날지 모르는 이 위기 상황 속에서 ‘아무것도 못하는 채로 가만히 있을 수만은 없다!' 생각하여 저희 팀은 새로운 결심을 하게 됩니다.. 바로, “코로나 덕분에 공부했어요!”프로젝트 입니다.


비록 위기 상황이긴 하지만 그래도 갑자기 생긴 이 공백을 의미 있게 채워나가기 위해, 이 시간 동안 저희 팀원들이 HR 관련 서적을 읽으며 역량을 “UP” 하기 위한 업그레이드 시간을 갖기로 했습니다.


혼자 공부하는 것보다는 같이 공부하는 게 더 도움이 되잖아요? 

그래서 저희 팀원들이 HR 관련 도서를 읽고 공부한 내용을 여기 이곳 브런치에서, HR 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HR 담당자분들과 HR 업무에 관심이 있는 모든 분들과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그 첫 번째 주자는 바로 6개월 차 신입사원 저 스칼렛입니다. 


모든 배움의 시작은 바로 기본기를 다지는 것이라고 하잖아요? 그래서 제가 선정한 책은 바로 홍석환 저자의 <어서 와 HR은 처음이지>입니다. <어서 와 HR은 처음이지>는 저를 포함한 HR을 처음 시작하는 초보 인사 담당자는 물론, 현업 HR 담당자 그리고 인사전문가로 성장하고자 하는 모든 이들을 위한 책이라고 생각되는데요. 읽으면서 기억하고 싶은 포인트,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포인트를 하나씩 적어보겠습니다. 자, 그럼 이제 시작합니다!








| HR 원칙을 정하는  필요한 7가지 항목


HR 원칙을 수립하는 궁극적 목적은 회사의 지속 성장이다.

올바른 가치관이 인재 중심의 기본이다.

현업과의 소통을 기반으로 현업 중심의 인사가 되어야 한다.

글로벌 경쟁력이 있는 전문가 확보가 시급하다.

인사를 공정하게 해서 구성원의 수용도와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회사 전략과 인사전략은 연계해야 한다.

성과 지향의 인사가 되어야 한다.



출처 - 어서 와 HR은 처음이지




홍석환 저자의 <어서 와 HR은 처음이지>




 | HR 부서의 역할


첫째, 행정 전문가의 역할

기업의 규모가 작고 창업 기일 경우에 가장 중요한 역할이다.

조직과 제도를 정비하고 직원을 채용하고 육성하며 효율적인 인프라 구축을 해야 하고, HR 전반에 대한 지식, 프로세스 개선, HR 서비스 진단과 분석 역량이 필요하다.


둘째, 직원 옹호자의 역할

기업이 창업단계에서 성장단계로 전개되며 직원 수가 증대되는 시기에 중요한 역할이다.

직원의 요구와 역량 수준을 측정하고 질적인 향상을 위해 개선 노력을 전개해야 한다. 직원들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직무교육 등의 역량 기회 등의 지원을 제공하고, 구성원 만족도 평가, 리더십과 직무교육에서의 체계 수립 및 지속적 육성, 성과관리 프로세스 역량이 필요하다.


셋째, 전략적 파트너로서의 역할

기업이 위기를 극복하고 안정적인 성장을 하기 위해 회사와 그 나라에 맞는 철학, 원칙, 제도, 문화, 시스템을 구축하고 구성원을 선발하고 육성시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성과를 내게 해야 한다.


넷째, 변화 주도자로서의 역할

관행과 관습에 익숙해진 안정적인 조직과 구성원에게 변화역량을 확보하여 조직 효과성을 높이는 것이 목표이다. 변화를 인식하고 한 발 빠르게 대처하는 변화관리 능력, 회사 각 조직과 계층별 변화의 수준을 점검하고 차이가 크게 나는 조직과 계층을 지도 코칭하고 컨설팅하는 역량, 장기적 관점의 사업과 연계하여 조직과 구성원에 대한 변화 이슈를 찾아 이끄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


-> HR 부서는 올바른 품성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조직과 사람의 경쟁력을 높여 회사가 지속 성장하도록 이끄는 부서이다. 전략적 파트너로 회사의 비전과 전략을 달성하도록 인사 방향을 제시하고 전략적 사고와 변화를 주도하며 실천하는 부서로, 경쟁 기업보다  빨리 변화하고 학습하며 움직이고 행동하는 조직을 만들어야 생존할 수 있다.







HR 용어로 다시 보면, 

행정전문가/직원 옹호자 - 전사적 자원관리(ERP) , 

전략적 파트너 - 인적자원관리(HRM) , 

변화 주도자 - 인적자원개발(HRD) 

이렇게 볼 수 있을 것 같네요! (스칼렛답게, 깔끔하게 표로 정리해드릴게요!)










인사담당자가 갖춰야 할 역량


인사담당자는 사업 창출자 / 무한 추구 혁신가 / 성과 지향 조정자로서의 역량을 갖춰야 한다.


1. 사업 창출자는 전략 수립력관계 형성력주도적 행동력을 갖춰야 한다.

    - 전략 수립력 : 경영목표 달성을 위해 본 사안을 장차 어떤 단계와 순서로 진행시켜야 할 것인지를 원인과 결과의 관점에서 치밀하게 파악하고 사전 대책을 수립하는 능력

    - 관계 형성력 : 효과적인 업무 수행을 위해 현재와 미래의 관련 인사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능력 

    - 주도적 행동력 : 누가 시킨 것도 아닌데 남보다 한 발 앞서 비즈니스 기회를 찾아내고 곧바로 행동으로 옮김으로써 시장을 선점하는 능력



2. 무한 추구 혁신가는 기업가정신변화 추진력, 도전정신을 갖춰야 한다.

    - 기업가정신 : 누군가에게 기대고 누군가를 탓하는 월급쟁이가 아니라 내 사업을 하는 자세로 매사를 대하는 자세

    - 변화 추진력 : 요동치는 경영 환경 속에서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강한 믿음과 신념으로 변화를 주도하고 관리해 나가는 능력

    - 도전정신 :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본인의 과제나 새로운 분야에 적극적으로 도전하는 불굴의 의지와 능력



3. 성과 지향 조정자는 대외 교섭력공정한 조직관리설득력리스크 대처능력을 갖춰야 한다.

    - 대외 교섭력 : 발주처, 현장, 본사 등 관련된 이해관계자와 다들 만족하는 대안을 찾아내고 합의를 이끌어내는 윈-윈 실현 능력 

    - 공정한 조직관리 특정 현장이나 특정 직원을 편애하지 않아 일체의 잡음 없이 조직을 관리하는 능력

    - 설득력 : 본인의 생각이나 아이디어를 자신의 경험과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상대방에게 논리적으로 설명함으로써 이해와 공감을 얻어내는 능력

    - 리스크 대처능력 : 리스크가 있음 직한 부분에 대해서는 사전에 점검하고 위기상황 시 신속하게 대처하는 능력



* 미래 인사 담당자는 기업교육을 통해 조직과 구성원의 역량을 향상해 회사의 성과 향상과 조직 변화를 추구해야만 한다그러기 위해서는 인사담당자는 생각의 전환과 일하는 방식을 바꿔야 한다. 교육 과정의 기획과 운영을 잘하면 된다는 사고에서 수행성과 향상과 조직 변화 촉진을 하고 있는가를 판단하고 점검해 성과를 창출해야 하고, 운영도 중요하지만 측정하고 평가하며 공유하는 활동이 더 중시되어야 한다. 






| HRD 부서의 역할



첫째, 웨이 교육   

핵심가치를 기반으로 하는 회사의 철학, 인재상, 원칙, 가치를 구성원들에게 내재화시키고 업무를 통해 반영되도록 하는 교육

ex. 한화그룹 ‘밸류데이’ , SK그룹 ‘SKMS’


참고)

한화그룹 ‘밸류데이’ 관련 기사

https://www.mk.co.kr/news/special-edition/view/2012/10/696620/

SK그룹 ‘SKMS’

https://www.skcareers.com/CONTENT/KOREAN/SKM/SKM1001.aspx



저희 21그램에서도 SK그룹 교육 - SUPEX Spirit Camp , JW그룹 - JW WAY CAMP 등의 ‘웨이 교육’을 진행했었는데요. JW그룹의 경우 승진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웨이 교육’으로 ‘승진’이라는 새로운 시작을 앞두고 회사의 핵심가치를 리마인드하고 이에 따른 회사의 구성원으로서의 비전을 재 수립하는 시간으로, 역할 변화에 따라 나의 역할과 나의 일, 우리 회사와 조직에 대해 고민하고 우리 회사와 함께 더 발전하기 위한 비전을 그림으로 그리는 교육이었습니다. 


참고) 21그램 JW WAY CAMP 교육 현장

https://blog.naver.com/e101gram/221564893510



둘째, 그룹 리더 육성


셋째, 직무전문가 육성   

기업의 경영 여건과 무관하게 추진해야 한다.

필요 전략 1. 전략적 HRD 수행   2. 성과주의 HRD 추진  3. 현장중심 HRD 구축

*  HRD가 해야 할 일은 가치관 경영, 선택형 리더의 선발과 육성, 핵심 직무 전문가 선발과 육성, 글로벌 교육, 미래 먹거리 창출, HRM과 HRD의 연계이다.


예시) 롯데케미컬 인재육성 로드맵

출처 - 롯데케미컬 | 인재육성 https://www.lottechem.com/kor/recruit/personnel-system/training/contentsid/844/ind





오늘은 여기까지 <어서 와 HR은 처음이지>를 통해 배운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아직 더 재미있는 이야기가 남아있답니다! 유익한 내용이 가득한 <어서 와 HR은 처음이지>! 기본부터 차근차근해나가다 보면 저 스칼렛도 이 분야의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겠죠? 


HR 담당자, 관심 있는 분들 저희와 함께 공부해요! 그럼 스칼렛은 다음 주에 돌아오겠습니다:)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4125800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