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성이 나올 수밖에 없는 이유
2023, 3, 23 경남신문 금요에세이
세상에서 쓸데없어 보이는 일이 정말 쓸데없는 일일까. 사람들 틈에서 쓸데가 있고 없는 일을 생각하다 고개를 끄덕인다. 가만히 눈길만 닿아도 잊을 수 없는 것이 있고 이름만 생각해도 다정한 사람이 떠오르는 것을 보면, 쓸데의 유무 자체가 떨떠름한 일인지 모른다고. 아름다움이 덜하고 눈에 띄지 않더라도 항상성이 세상을 채우듯이, 쓸데 있고 없음과 상관없이 항상 존재하는 것이 소중하다는 것. 나에게 글쓰기가 그렇다.
잔잔한 감동이 일었던 순간이나, 깜짝 놀란 일이나, 머물다 스치고 지나간 이야기를 마음껏 써도 괜찮다는 생각이 들면 안도한다. 특히 공간이나 장소에서 쪼개지거나 이어진 이야기를 누군가
끼어들기 없이 글을 쓰는 순간은 뒤섞인 생각이 자리를 찾듯이 편안하다. 그렇게 탄생하는 글은 세상을 향한 안부다. 피로한 말이나 소문이거나 뒷담화거나 사실과 의견이 혼재한 말이어도 상관없다. 말문이 막히거나 열리는 한숨조차도 생생한 서사다.
글을 쓰다 보니, 언제부턴가, 글을 쓰지 못하면 내 존재는 허물어질지 모른다는 생각이 들곤 한다. 그렇게 쓴 글이 경남신문 신춘문예 수필 당선으로 이어졌다. 그것은 매일 글을 쓰는 일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모르는 것처럼, 언제까지 글을 쓸지 모르지만, 매일 글을 쓰는 이유로 충분하다.
절박한 순간에도, 안온한 순간에도 생각나는 모든 것이 숨을 쉰다. 세상에 작고 귀한 것을 알아채는 것은 감개무량한 일이다. 그 순간을 마음에 넣어두었다가 꺼내어 글로 표현하는 시간은 벅차고 흐뭇하다. 침착하지 못하고 겅둥거리는 생각, 허황하고 비루먹은 느낌, 듬성듬성 피어나는 검은 기억조차 글로 탄생하는 순간은 귀하다. 더구나 그 글로 타인과 공감하게 되면 사락거리는 마음이 들뜨기도 한다. 그 마음은 찰나이기도 하고 한동안 지속되기도 하면서 삶의 근력을 이룬다.
문학이란 쓸데없어 보이는 것도 쓸데없어 보이지 않게 만드는 예술이 아닐까, 생각한다. 시간이 모자랄 때나 넘칠 때도 세상의 모든 것들이 움직이듯이, 그 움직임을 포착하여 글을 쓰려는 것은 잘 살아가고 싶기 때문이다. 자음과 모음이 만나 낱말이 되어 뜻이나 품격이 되는 현상은 신기한 일이다. 그것이 내가 글을 쓰는 이유이기도 하다.
내 글은 삶의 집적이다. 나에게 글쓰기는 유익하거나 달콤하거나 유려하지 않더라도 자신을 기만하지 않으려는 많은 사람 마음을 모아 나에게 이르는 길이다. 그 길을 가기 위해서는 힘이 필요하다. 경남신문 신춘문예 등단은 그 힘의 응집이다.
2023년 3월. 싹이 나오는 모든 생명체와 우리는 닮았다. 태어나면서 예술이 아닌 것이 있을까. 돋아나는 푸른 것들을 보면, 미세하게 움직이는 이 모든 것이 미래로 이어져 있다는 것을 모른 척할 수 없다. 이 봄에 탄성이 나올 수밖에 없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