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SH Apr 24. 2024

기존의 룰을 정확히 알아야 혁신적인 것을 만들 수 있다

룰을 고려하지 않은 창의성은 상상의 나래일 뿐이다

1.

음악에는 머니코드라는 게 있다. 귀에 잘 들어오는 멜로디를 만들 수 있는 코드 진행이다. 예를 들어 C-G(E7)-Am-F 이런 식으로 곡의 흐름을 만드는 것이다. 보통 음악을 만들 때, 이런 코드 진행을 바탕으로 악기와 탑라인을 추가해서 곡을 완성한다.



2.

이런 코드 진행은 일종의 음악 제작 공식이자 규칙이다. 모든 음악이 이런 코드 진행을 따르는 것은 아닌데, 많은 음악들이 이런 코드 진행을 바탕으로 코드 진행을 변주하고, 또 새로운 악기를 추가하고, 새로운 탑라인을 만들면서 새로운 음악을 만들어낸다. 이런 규칙 없이 원하는 아무 코드로 음악을 만들면, 상당히 낯설고 듣기 힘든 음악이 나온다. 그래서 작곡을 배울 때는 가장 먼저 코드 진행, 즉 음악을 전개하는 규칙을 배운다.



3.

프로덕트도 음악과 같아서 좋은 프로덕트, 잘 만든 프로덕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프로덕트 제작의 규칙을 먼저 익혀야 한다. 그리고 그 규칙은 UX 법칙이 될 수도 있고, 법적 제약 같은 것이 될 수도 있다. 기존 시장에 나와 있는 프로덕트들보다 더 좋은 프로덕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프로덕트 제작의 룰을 익혀야 한다.



4.

예를 들어, 기존에 없던 새로운 이커머스 프로덕트를 만들고 싶다고 한다면, 기존 이커머스 프로덕트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일련의 프로덕트 규칙을 익혀야 한다. 좋아요 혹은 저장한 상품을 보여주는 방식, 할인 상품에 대해 할인 정보를 표시하는 방식 등, 기존 프로덕트가 어떻게 전개되는지에 대한 규칙을 먼저 익혀야 한다.



5.

보통 이런 프로덕트의 공식은 따로 나와 있는 게 아니라, 여러 프로덕트를 보면서 귀납적으로 규칙을 찾아야 한다. 이런 규칙을 찾지 않은 채 상상에 의해서, '유저들은 이런 게 필요할 거고, 이런 건 필요 없을 거야, 이 기능 혹은 정보를 다른 프로덕트와 다르게, 여기서 보여주는 게 차별화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요소일 거야' 등의 생각으로 프로덕트를 만든다면 기존에 없던 프로덕트를 만들 수는 있어도, 기존 프로덕트보다 더 나은 프로덕트를 만들어낼 수는 없다.



6.

기존에 없던, 혹은 혁신적인 프로덕트는 시장에 존재하던 기존 프로덕트들의 규칙을 완벽히 익히고, 그 규칙 안에서 개선할 수 있는 부분, 효율화시킬 수 있는 부분 등을 개선해서 만든 것이다. 단순히 이게 불편하니까 개선하자가 아니라, 기존 프로덕트는 이러한 특정 규칙에 의해서 프로덕트를 만들었고, 여기서 지켜야 하는 규칙은 무엇이고, 개선해야 하는 규칙은 무엇인지 파악한 다음, 프로덕트를 개선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프로덕트를 전개해 나가야 한다.



7.

실제로는 어떨지 모르겠지만, 외부에서 볼 때는 토스가 이런 식으로 기존 프로덕트들의 전개 규칙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하는 일을 정말 잘한다. 토스의 이런 기존에 없던 새로운 프로덕트의 전개 과정은, 독이 되는 레퍼런스 활용법, 송금할 때 은행 이름을 꼭 입력해야 할까요? 이런 글들을 통해서 잘 볼 수 있다. 이런 새로운 프로덕트의 출시 과정은 여기서 글로 풀어서 설명하기보다, 직접 보는 게 더 좋을 것 같아 원문 링크로 대신한다.



8.

사실 그로스해킹도 마찬가지다. 기존 사용자들의 행동 규칙을 파악하고, 이 규칙을 바탕으로 프로덕트를 개선하는 것이다. 프로덕트의 개선은 기존 규칙을 파악하고, 기존 규칙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참신하고 좋은 방법을 찾아서 구현하는 식으로 이뤄져야 한다.



9.

창의성, 혁신은 기존의 규칙이나 문법을 완전히 무시하고 아예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다. 기존의 규칙과 제약을 완벽히 이해한 다음, 기존에 나오지 않았던 참신한 개선안 방법 혹은 솔루션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규칙을 이해하지 않은 채 만드는 아예 새로운 방안이나 솔루션은 그냥 공상일 뿐이다.



10.

기존에 없던 입체주의라는 새로운 사조를 만들어낸 피카소도 처음 그림을 그릴 때부터 입체주의적인 그림을 그린 것은 아니다. 기존의 정석적인 그림 기법을 완벽히 이해한 뒤,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사조를 만들어낸 것이다. 이처럼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시도는 기존의 규칙을 바탕으로 만들어진다.

매거진의 이전글 Why 만큼이나 How도 중요하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