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사람 참 구김살 없어, 할 땐 두 가지 의미가 있겠습니다. 철없단 걸 돌려 말하는 경우일 수도 있고, 사람 좋은 기운을 느낄 때 하는 말일 수도 있어요. 부정과 긍정 모두 담을 수 있는 말인데, 어떤 뜻인지는 대화가 오간 맥락이나 뉘앙스를 통해 분별할 수 있죠. 유독 구김살 없는 사람을 만나본 적이 있나요?
상대의 부족함이나 실수를 넉넉히 대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본래 드넓은 아량을 가진 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은 본인의 지난날에 대한 회고가 건강하게 끝난 사람들이죠. 올챙이 적을 기억하는 개구리, 우물 밖으로 나와 본 개구리처럼 어린 올챙이 시절이 있었으며, 우물 안이 전부라고 생각한 때가 있었다며 상대가 자랄 때까지 기다릴 줄 아는 사람이 된 거죠. 어차피 지나고 보니 별 일 아니었기에 굳이 뾰족한 잔소리를 보태기보다 괜찮다는 미소, 등 두드림, 머리 쓰다듬음, 파이팅 손동작 등으로 응원합니다.
생각 없이 사는 것 같아도 말을 섞다가 우연히 깊은 얘기로 들어가면 나름의 굴곡들이 있습니다. 구김 없이 살아온 사람이 얼마나 있겠어요. 우리 모두, “내 인생을 엮으면 대하소설이야.” 하잖아요^^
굳이 말로 표현하지 않아도 저 사람도 나름 굴곡이 있구나 느끼게 하는 사람도 있어요. 얼마 전 예능 프로그램에서 ‘과거로 돌아가고 싶지 않다. 지금이 가장 행복하다.’는 말을 듣고 단번에 ‘다들 힘들었구나, 사느라 고생했다.’며 눈물 흘리는 장면이 있었어요. 나이가 들면요, 눈물이 많아져요. 말하지 않아도 보이는 게 있어서 그런 거죠. 세월이 준 선물이랄까요.
해탈하면 웃게 됩니다. 구겨진 채로 살다가 자기 생이 가여워지는 순간이 오는데, 그때 깊고 넓은 사고를 거쳐 자신과 세상을 용서하며 비로소 다림질을 하게 돼요. 진정한 해방이요, 해탈이 이루어지는 순간이죠. 말할 수 없는 자유함을 느끼며 결국 구김살 없는 사람과 같은 모양으로 웃게 됩니다.
그런데 깊고 넓은 사고를 거치지 못한 채 본인의 구겨진 모습을 남 탓으로만 돌리게 되면 타인은 물론 자신과도 화해하지 못하게 돼요. 입으로 나오는 말이 온통 남 탓이거나 상황에 대한 불평불만이기 때문에 주위 사람들을 질리게 만듭니다. 절대 구겨지면 안 될 고귀한 인생이 따로 있나요? 자신에게만은 좌절과 절망이 비껴가야 하나요?
너무 당연하게 좋은 것만 취하고 궂은일은 마다하는 사람을 보면 저 사람 참 이기적이야, 말이 절로 나오는데 “그게 왜 나빠?” 하니 할 말을 잃게 됩니다. 나이가 들면요, 구겨질 틈 없이 본능에 충실한 채 살아온 사람을 볼 때 가여워집니다. 매 순간 저렇게 회피하면서 살았겠구나. 보기 싫은 건 눈 감고, 하기 싫은 건 뒤로 빠지고, 편한 길로만 걸어와 덕을 쌓지 못했겠구나 싶어요.
다른 의미의 회피도 있습니다. 어느 순간 깨달았는데요, 힘든지 모르고 사는 것도 회피고, 조금만 더 생각하면 거절해도 될 일인데 거절하기 힘들어 자신을 혹사시키는 것도 회피더군요. 나를 희생하고 이타적으로 사는 삶에도 ‘습관화된 회피’가 있을 수 있더라고요. 어떤 사람은 생각해 봤자 골치 아프니 그냥 늘 하던 방식, 말하자면 쉬운 그 길로만 가요. 이미 몸과 마음에 길이 나 있는 거예요.
유독 마음이 넓어 ‘어려운 일 아니니 내가 하자.’ 여러 일들을 해오고, 그래서 사람 좋다고 인정받았을 수 있어요. 그러다 보면 어느 순간엔 내가 소화할 수 있는 이상의 일들도 습관처럼 끌어안게 됩니다. 숨이 턱턱 막힐 때가 되어서야 ‘왜 맨날 나만 하지?’ 사람과 상황에 대한 불평이 올라오고, 그런 자신에게 자괴감이 들기도 합니다. 누구보다 넉넉한 마음을 가진 사람인데도, 불평불만이 올라올 땐 자기 맘이 한없이 좁은 것 같아 괴로워지죠. 아이고, 착한 사람…
돌아볼 때입니다. 나는 왜 나 자신을 위할 때 마음이 괴로워질까? 왜 괴로울 때마다 스스로를 더 채찍질할까? 이 억울함을 증명하기 위해 상대를 더 악인으로 만들고 있는 건 아닐까? 내 탓도 할 수 없고 남 탓도 할 수 없어 속이 곪아버리는데 어떻게 하면 좋지?
직면할 때가 온 신호예요. 저 질문들에 대한 답을 정성스럽게 찾다 보면 구김이 펴집니다. 내 탓 앞에서 멈추지 마세요. 남 탓 앞에서 멈추지 마세요. 내 탓도 남 탓도 아닌 걸 깨닫게 될 때, 그래서 멈추기보다 다시 앞으로 앞으로 나아감을 선택할 때 구김이 펴집니다.
깊고 넓게 들어갔다 나오면 이런 말을 하게 되지 않을까요?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로다.
성철 스님의 말씀인데 다양한 해석이 있습니다. 당신은 어떻게 해석하나요?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인 것에 아무 이의가 없는 것. 내 인생에 걸림돌이 찾아오고 마음 구겨질 일이 생기는 것이 전혀 이상할 일이 아니란 걸 알게 되는 것. 저마다의 굴곡을 넘으며 살고 있으니 잘했네 못했네 할 것 없이 응원하면 된다는 것. 이것이 해탈의 경지고, 이때 비로소 산은 산으로 물은 물로 보이는 것이 아닐까 싶어요.
대한민국은 열심히 살다 지쳐 소확행을 외치기 시작했습니다.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을 누리며 살자고, 그렇게 자신을 보듬을 줄 아는 사람이 되기로 했지요. 이제 그것도 사치인가 봅니다. ‘트렌드 코리아 2025’에 따르면 아보호가 새로운 키워드래요. ‘아주 보통의 하루’를 보내는 것만으로도 행복이 아니겠냐, 사건사고 없이 무탈하게 보낸 하루가 축복 아니겠냐는 뜻인데, 필자의 바람이 있다면 우리도 이렇게 서서히 북유럽의 정서와 닮아갔으면 좋겠어요. 북유럽의 정서라는 게 그렇잖아요. 일만 하는 게 아니라 자연도 보고, 이웃도 보고, 나의 내면도 들여다보면서 사는 거. 여유가 있어야 사는 게 즐겁고, 일도 즐거운 거 아니겠어요?
문득 모델 홍진경님의 행복론이 떠오르네요.
자려고 누웠을 때, 마음에 걸리는 게 하나도 없는 것.
유플리더 여러분, 오늘 밤에 마음에 걸리는 게 하나도 없어 푹잠 자길 바랍니다. 마음이 구겨지더라도 정성스럽게 잘 펴가며 살길 바랍니다. 구김살 없는 유플리더로서 2025년에도 유플리트 안에서 ‘나의 성장, 좋은 동료, 일의 즐거움’이 성취되길 응원할게요!
유플리더가
사랑받는 사람이 되도록
트렌디한 사람이 되도록
재치있는 사람이 되도록
다양한 잽을 날릴 것이다.
대화의 소재를 주고
사색하게 하고
발전하게 할 것이다.
그래서 유플위클리가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