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Euan Oct 09. 2022

끝여름

습기와 열기에 미뤄뒀던 온갖 감상이 밀려드는 때가 왔다. 따로 계절이라 부르기엔 너무 짧다지만 그럼에도 여름의 끝자락은 김동률이 불러주기 훨씬 이전부터 존재했던, 여름과 가을 사이에서 제 색깔을 또렷이 내던 별개의 계절이었다.

 

땀이 비정상적으로 많은 나에게 한국의 여름은 그저 지옥과도 같아서, 가겠다는 여름 붙잡고 싶은 마음은 결단코 1도 없지만 그럼에도 한 해의 정점을 지나 생명력이 쇠해가는 변곡점을 맞이하는 심정이 단순 할리 없다. 어릴 때부터 그랬다. 딱 알맞게 뜨거운 태양과 시원해진 바람이 상쾌하면서도 시원해진 딱 그만큼 마음 한 구석은 어딘가 허전해졌다. 한 해의 끝이 벌써 저만치 보이는 것 같고 또 이렇게 1년이 가는가 싶기도 하고, 더위에 시달리느라 돌보지 못한 7, 8월을 더듬어보면서 내 시간들에 얼마나 충실했을까 겁이 나기도 한다.

 

이런 걸 보면 든 자리는 몰라도 난 자리는 안다는 말이 비단 사람에게만 해당되는 말은 아닌 것 같다. 여름을 아쉬워 할리 없는 나조차도 여름이 떠난다는 사실에는 조금 슬퍼지니까 말이다. 아니면 여름이 못돼쳐먹어서 일지도 모른다. 착한사람보단 나쁜 사람이 상대방에게 여운을 남기는 것처럼. 그럼 난 애저녁에 글러먹었겠다. 딱히 착한 건 아닌데 나쁜사람 하기에는 너무 뚝딱거려서.


어찌 되었든 잘 가고, 내년에 또 욕하면서 만나자.



22. 8. 30.

매거진의 이전글 선빈에게(3)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