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향 정하기, 환경 찾기
2년 전에 나는 긴 휴식기를 가졌다. 5년 동안 웹 에이전시와 스타트업에서 UI/UX 디자이너로 일한 뒤였고, 비슷한 패턴으로 일을 반복하는 것에 많이 지쳐있었다. 나는 일을 오래 하고 싶었기 때문에 일단 멈추어서 생각할 시간을 갖기로 했다.
쉬기 전 나의 5년을 주니어 시절이라고 부르겠다. 그때는 어떤 일에 더 흥미를 느끼고 잘하는지, 어떤 환경이 나에게 맞는지 섣불리 확신할 수 없는 시기였기에 본업과 더불어 이런저런 경험을 했다.
디자인한 것을 직접 구현하기
기획에 참여하기
에이전시에서 다양한 종류의 웹 제작 경험하기
스타트업에서 하나의 프로덕트에 집중해보기
그 외에 UI/UX 디자인에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업무들...
하드 스킬을 단련하는 것에 집중했던 시기였기에 '디자인한 것을 직접 구현'하는 일에 초점을 맞춰 커리어를 쌓아왔다. 시니어로 들어서는 길목에서 이 방향으로 계속 갈 것인지, 바꿀 것인지 결정해야 했다.
디지털 프로덕트를 다루는 디자이너의 역할은 날이 갈수록 넓어지고 있다. UI를 그리는 일에만 집중해도 먹고사는 걱정이 없다면 좋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나의 영역을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내가 어떤 디자이너가 되고 싶은지 고민했다. 디자이너는 기획과 구현을 잇는 사람이라는 것을 생각했을 때 선택지는 두 가지였다.
a. 코딩을 더 공부해서 구현의 완성도에 기여하는 디자이너 되기
b. 기획에 참여해서 프로덕트의 앞을 이끄는 디자이너 되기
a 선택지로 계속 가는 것이 나의 길이었다면 그 길에서 멈추지는 않았을 것이다. 멈췄다는 것은 이제 다른 선택을 해야 한다는 것의 방증이기도 했다. 내가 디자인하고 스스로 구현하는 일도 좋았지만, 내 의견을 프로덕트에 반영하고 성공적인 결과에 기여했을 때 보람이 더 컸던 것 같다. 방향을 조금 틀어서 ‘프로덕트의 앞을 이끄는 디자이너’가 되기로 했다.
방향을 정했으니 회사를 찾아야 한다. 내가 정한 방향대로, 그리고 더 깊이 성장하려면 어떤 곳으로 가야 할지 크게 세 가지 조건을 설정했다.
1. 프론트엔드 개발자와 기획자가 있는 곳
2. 디자인팀에 사수가 있는 곳
3. 유관부서에 시니어급의 직원이 많은 곳
그동안은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없는 조직에서 코딩과 디자인을 병행했고 기획자 없이 일한 적도 많았다. 이제 코드로 디자인을 구현하는 것은 전문가에게 맡기고 기획자와 적극적으로 협업하며 그들이 어떤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지 배우고 싶었다.
한때는 직접 몸으로 부딪치며 배우고 그 과정을 함께할 좋은 동료로 충분하다고 생각한 적도 있다. 사수는 인터넷에 있는 좋은 레퍼런스들로 대체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시행착오를 겪으며 성장하는 것은 속도가 느리고, 인터넷에 있는 좋은 레퍼런스들은 생각보다 친절하지 않다. 멋진 결과물은 많지만 어떤 의사 결정을 통해 만들어진 건지 그 과정을 알아내는 것은 어렵다. 사수가 알려주는 지름길로도 가보고, 의사결정 하는 과정을 가까이서 보고 싶었다.
주니어 시절을 보낸 조직들은 규모가 작았고 직원 대부분이 나와 비슷한 또래였다. 그렇다보니 커뮤니케이션은 수월한 편이었다. 그와 같은 환경만 찾아다니며 일하면 문제가 없겠지만, 더 큰 조직에서 더 다양한 사람들과 일해보고 싶은 나로서는 환경을 바꿔볼 필요가 있었다. 경력이 많은 분들과 일하며 커뮤니케이션의 스펙트럼을 넓히고 싶었다. 특별히 유관부서인 이유는, 커뮤니케이션 이슈는 같은 직군 내에서 보다는 다른 직군과 소통할 때 더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작년 여름에 이 세 조건을 충족하는 회사에 들어가게 되었고 기대 이상으로 성장하고 있다.
사실, 이런 기준을 세우면서도 내가 성장할 수 있을 거라는 확신은 없었다. 직접 경험해보지 않고 상상하기란 어려운 일이니.. 그저 막연하게 환경이 달라지면 나도 달라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가설을 세우고 실험해본 것에 가까웠는데, 결과는 꽤 성공적인 것 같다.
주니어 시절에 겪었던 환경과 많이 달라서 힘든 날도 많았다. 하지만 하나씩 해결해나가다 보니 과정 속에서 배우고 성장하는 것이 스스로도 체감된다. 앞으로도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산을 넘으며 성장해갈 것을 상상하면 나의 앞날이 더 기대된다.